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조회 수 6704 추천 수 0 2020.12.30 19:52:23

안녕하세요,


코로나로 집콕하다보니 이렇게 집에서 전통주를 담게될 줄 몰랐네요.


잊혀진 우리 전통을 찾기 위한 가양주 연구소의 다양한 가르침의 문헌 속에 저도 이제야 제 옷을 찾은 마냥 집에서 술을 빚기 시작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에 3번째 전통주에 도전 중입니다.


지금까지 이력은 이렇습니다.


1번째 : [11월 초, 단양주] 너무 시큼한 식초 맛이 강해서 집 마당 나무에 뿌렸습니다. 

2번째 : [11월 말, 이양주] 나중에 고수가 되면 단양주 도전하기로 하고 이양주에 도전했습니다. 여전히 시큼하지만, 한살림 쌀막걸리 비슷한 맛이 나서 채주한 술들은 가수하여 주위에 기부 나설 예정입니다. (11/28 밑술, 11/30 덧술, 12/27 채주, 지금 숙성 중)


이번에 용기를 얻어 다시 시큼한 맛 없는 이양주에 도전했습니다. 

(2번째 이양주 레시피와 같은데, 대신 밑술을 찹쌀에서 맵쌀로 변경, 누룩은 수국으로 변경, 범벅은 4L 물의 죽에서 3L 물의 범벅으로 변경)


밑술 : 201227_21시 : 맵쌀 가루(1kg) + 물(3L) => 범벅 / 금정산 분말 밀누룩(0.4kg) + 물(1L) => 수국 6시간 (면보에 걸러 맵쌀 범벅에 투입)


48시간 동안 당화&발효


덧술 : 201229_21시 : 찹쌀 (3kg) => 고두밥 + 밑술


덧술 1일차 (201230 ) : 그 동안 없었던,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가 퇴근과 함께 택배 도착하여 술덧 온도 확인


-> 온도가 무려, 33도 입니다. (문득, 어제 덧술 후, 라면 끓는 소리와 함께 요란하게 끓어 오르던 술덧이 생각납니다. (이때도 이불로 감싸진 술독))


급히, 술독을 야외로 옮겨 온도를 낮춰줬는데, 이대로 계속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24시간 이상 고온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보입니다. 포기하고, 이제 온도를 알았으니, 다시 시작해야 할까요?)


그 동안 온도를 몰랐는데, 단순히 겨울이라 지속적으로 담요로 술독을 감싸줬는데, 오늘 온도계가 와서 집안 온도를 확인하니, 25 ~ 26도 정도로 나오네요. (단독주택인데, 보일러 제어기에는 23 ~ 24도 정도로 나오는데, 실제 공기 온도가 2도 이상 높았네요.)


1/2번째 술이 시큼한게 온도가 너무 높아서 일까요, 아님, 다른 추가적인 교정이 필요한 과정이 있을까요 ?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꾸뻑 !!


도원

2021.01.01 12:10:27
*.149.116.45

온도 문제가 큰거 같네요. 실내 온도 20이하로 안 떨어지면 구지 담요는 패스 하세요!

Blues

2021.01.01 16:31:32
*.195.62.43

가르침 감사합니다.
그 동안 시큼함의 원인이 담요 품온에 의한 것인가 보네요.
야외에서 냉각한 술독을 드레스룸으로 옮기고 오늘 온도를 보니, 23도로 안정화가 된 것 같습니다.
신맛이 나도 어쩔 수 없기에 보쌈 해제하고 그냥 발효를 계속 지속하고 맛을 보겠습니다.
다음 도전엔 온도에 특별히 주의를 해야겠네요.

*** XE Skin에 문제가 있네요. 대댓글을 못다네요.

도원

2021.01.04 17:55:39
*.149.116.45

품온 온도는 크게 신경쓰지 마시고, 외부온도 25도 이상 안올라가게만 맞춰주시면 온도는 크게 신경 안써주셔도 됩니다. 높은 온도 보다는 차라리 낮은 온도가 느리지만 술이 익는것엔 더욱 좋아요^^

Blues

2021.01.06 22:05:01
*.195.62.43

@도원,
조언 감사합니다.
끓어 넘치던 술덧을 진정시키고 이양주의 최종 맛을 보고 싶어서, 궁금해도 그냥 그대로 계속 두고 있습니다.
발효가 중지하는 그 날, 걸러서 다시 후기 올리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41 초보 질문입니다. [1] 김경희 2007-01-15 3988
840 바닥 찌꺼기를 [1] 박창수 2007-01-16 3663
839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741
838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322
837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3028
836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467
835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74
834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2923
833 싸레기 쌀 문의 [1] 대암 2007-01-30 4751
832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942
831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661
830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3986
829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455
828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9098
827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77
826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55
825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2022
824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763
823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738
822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65
821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4779
820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546
819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049
818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515
817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511
816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64
815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858
814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084
813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488
812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662
811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526
810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677
809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548
808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199
807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4903
806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65
805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8699
804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4813
803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840
802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39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