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삼양주 빚는중에 나는 향

조회 수 3203 추천 수 0 2020.06.20 05:34:54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삼양주를 빚어보고있고 (처음으로 빚는 술입니다!) 2차 덧술을 한지 보름이 지났습니다. 항아리에 해서 안이 보이지는 않구요 비율은 이정도로 했습니다


1.밑술 맵쌀 500g 쌀범벅 누룩 200g 물 1리터 (끓여서 범벅에 사용)

방 온도는 22~24도유지 2. 1차덧술 맵쌀 500g 쌀범벅 누룩 없음 물 1.3리터 (끓여서 범벅에 사용) 방 온도는 22~24도유지

3. 2차덧술 찹쌀 1.8kg 고두밥


이렇게하고 그 다음날 아무 소리도 안들려서 보니 너무 뻑뻑해서 끓였다 식힌물 250ml 넣고 섞은다음에 닫아둠


2차 덧술 6일 후까지 방 온도는 22~24도유지

2차 덧술 6일후에 열어서 섞어줌. 이때 맛은 달고, 요거트보다 살짝 신맛이 났구요

그 이후 온도는 21.5에서 23.5도 사이로 맞췄으나 한번 24.1도까지 올라감 (에어컨을 깜빡해서)


지금 2차 덧술후 15일이 지났습니다. 저어줄때 빼고는 뚜겅을 열지 않았구요. 냄새는 더 시어지진 않고 기포가 터지는 소리는 10초에 한번정도. 항아리에 바로 같다대고 향을 맡아보면...

국순당 생 막걸리 냄새에 요거트 만큼의 신냄새정도가 항아리 밖으로 나오고 있네요.


이정도 신냄새는 정상인가요? 아니면 빨리 걸러서 고두밥과 누룩을 더 넣어서 한번 더 빚는게 좋을까요?

뚜껑열면 성공할 술 시어지게 만들까봐 못열어보고 있습니다.



도원

2020.06.24 19:31:32
*.149.116.45

제대로 잘 익고 있습니다. 물과 곡물의 양이 거의 1:1 일 때, 삼양주는 2차 덧술 후 20~25도로 유지 된다면, 한달 정도는 발효를 시켜야 합니다. 온도 유지만 잘 되고 발효에 이상이 없을시 더 오래 묵히셔도 관계 없습니다.
위쪽 표면에 맑은 술이 보인다 싶으시면 위에 떠있는 밥알을 손으로 으께 미끌거리지 않는다면 거르셔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공기가 오염되지 않았다면 일주일에 한두번 열어보시는건 발효에 큰 지장을 주지는 않습니다.
참고로 팁을 하나 드리자면 처음 시도하실 땐, 항아리 보다 투명한 유리병을 이용하시면 뚜껑을 열지 않아도 발효과정이 잘 보이기 때문에 숨쉬는유리병 사용을 추천합니다.

mekookbrewer

2020.06.25 01:15:04
*.237.242.91

감사합니다! 향이 바뀌지 않고 온도는 22도쯤으로 계속 유지됬으니 한달쯤 되면 밥알을 으깨보고 걸러야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1 누룩에 관하여~~ [14] 한나다나 2007-10-19 6209
120 덧술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5-13 6224
119 단맛보다 신맛이... [1] 마중물 2008-12-17 6243
118 누룩 보관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보리콩 2016-02-23 6245
117 <b>[re] 복분자주 숙성 답변입니다. </b> [2] 酒人 2007-07-05 6257
116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281
115 늙은 호박으로 호박주를 담그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1] 강술 2011-01-02 6328
114 누룩 당화력에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1] 투덩잉 2013-07-19 6334
113 백국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두메 2011-01-20 6355
112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361
111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6367
110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376
109 밑술 항아리 용량으로 적당한것이? [4] 창힐 2013-07-19 6396
108 불패주 레시피를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2] 감초 2011-12-16 6403
107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415
106 <b>누룩만들기 제 8장 &#8211; '젖산' 이야기</b> [2] 酒人 2007-11-19 6420
105 막걸리 제조와 판매 둘레길 2013-06-05 6420
104 맵쌀로만 빗은 삼양주--시험 file [1] 도사 2009-03-13 6421
103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458
102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461
101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462
100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509
99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515
98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6523
97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524
96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hedge 2011-04-08 6550
95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막걸남 2011-01-12 6551
94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576
93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593
92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618
91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6625
90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631
89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6688
88 달콤한 술 만들기? 의문점 [2] [75] 민속주 2012-07-05 6689
87 가양주 막걸리 만드는법 피리피리 2014-11-04 6691
86 입국의 당화력은 얼마나 되나요? [2] 오렌지컴 2015-02-05 6694
85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6697
84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6816
83 술찌끄미 이용법 [1] 포수 2013-06-14 6849
82 연습용으로 밑술 제작중인데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file [2] 한소리 2011-08-01 688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