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독에서 술 빚기에 사용하는 단위

조회 수 13094 추천 수 88 2009.01.02 21:42:55
술독에서 술 빚기에 사용하는 단위

쌀이나 누룩, 밀가루 등은 각 원료가 가지고 있는 수분 함량에 따라 무게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원료를 계량할 경우에는 무게 보다는 부피로 계량을 하는 것이 좋다.

쌀 1되 = 1리터        
누룩 1되 = 1리터
밀가루 1되는 = 1리터


이렇게, 무게로 따지면 모두 달라 헷갈리지만 부피로 따지면 쉽게 이해가 가리라 본다.

그럼, 물은 어떠한가. 물은 무게나 부피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둘 다 사용해도 상관없다. 그러나 물을 무게로 재는 것 보다는 부피로 계량하는 것이 쉽고 주변에 도구(바가지, 컵 등)들이 많기 때문에 이용하기 편리하다.

물 1되 = 1.8리터

고문헌을 보다 보면 홉, 되, 말 이외에도 사발, 주발, 대야, 동이 등과 같은 단위가 많이 나온다. 도대체 이런 단위를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몰라서 당황하곤 하는데 걱정할 필요 없다.

옛날에 각 가정마다 사용하는 병, 사발, 주발, 대야, 동이 등의 단위가 지금처럼 표준화 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계량은 “불가능” 하다. 라는 것을 일단 알고 들어가면 된다. 즉, 우리가 생각하기에 대략적인 계량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술독에서는 다음과 같은 계량을 정하기로 하였다.

1병 = 4-5리터 정도          
1사발 = 1-1.8리터 정도
1주발 = 1-1.8리터 정도
1복자 = 1-1.8리터 정도
1동이 = 10-18리터 정도


그럼, 어떨 때는 최소 단위를 사용하고 어떤 경우에는 최대 단위를 이용하는가. 좀 더 단맛을 얻고 싶을 때에는 최소 단위를, 양이 많고 단맛 보다는 쓰고 독한 맛을 원할 경우는 최대 단위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어떤 곳에서는 물 1병을 물 1되, 즉 1리터로 계산하곤 하지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부의주(동동주) 같은 경우를 문헌에서 찾아보면 “물 3병” 이 들어간다. 그러나 이것을 물 1되로 계산하면 5.4리터가 되는데, 찹쌀 1말에 물 5.4리터가 들어가면 술이 완성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물 1병은 물 1되가 아닌 4-5리터로 계산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이다.

참고 : 부의주(동동주)를 빚을 때에는 물 12-15리터에 찹쌀 1말(10리터)이 들어가기 때문에 온도만 따뜻하면 몇 일 만에 밥알이 위로 떠 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치면서…

술에 사용하는 모든 원료, 재료, 물 등은 무게로 계산하는 것 보다는 부피로 계산하는 것이 정확하며 이용하기 편리하다. 집 안에 있는 바가지나 컵의 부피를 알아보고 다음에 술을 빚을 때 계량해서 사용하면 저울을 찾아 헤매는 일은 없을 것이다.



좋은 술은 내 입에 맞는 술이다. "술독" www.suldoc.com

문암

2010.09.06 07:58:08
*.197.89.236

되와 리터의 적용과 계산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酒人

2010.09.06 21:42:50
*.66.176.25

일치하지 않는다면 어디가 어떻게 일치하지
않는지 알려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sun

2011.02.09 22:33:25
*.118.84.70

술독에 와서 이 곳 저 곳을 기웃거리다 보니

모든게 생소하네요.

송구하지만 저도 집에서 만들어 볼 수 있도록.

밑술이 무엇이며 덧술이 무언지 누룩은 국산으로 어디서

만든 것을 구입해야 할지 좀 알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962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酒人 2005-09-06 5226
961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6067
960 누룩만으로 술이 될까? 酒人 2006-01-12 5062
959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441
958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酒人 2006-01-12 5164
957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5020
956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8402
955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00
954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4873
953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658
952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211
951 정신없이 글을 쓰다보니... [2] 酒人 2006-03-03 4068
950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012
949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493
948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830
947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782
946 전통주 기초강의 1. 술이란 酒人 2006-03-17 4045
945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561
944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844
943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7016
942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225
941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酒人 2006-03-18 5154
940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664
939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248
938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352
937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4888
936 술빚기 기초강의 2. 도구의 선택 酒人 2006-04-04 4144
935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178
934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563
933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192
932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426
931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9303
930 질문 드립니다. [2] 김강훈 2006-04-24 4566
929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3989
928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403
927 현미 쌀 타피오카 절감 등의 전분가 file 酒人 2006-04-27 4120
926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4976
925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1515
924 전통주 중급강의 1. 효모의 증식과 발효. 酒人 2006-05-04 4159
923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55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