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조회 수 3716 추천 수 4 2010.10.17 21:31:15
>양조회사에서 선전하는걸 봤는데 알카리수가 술을 만들때가장
>좋은술이 나온다고 선전하더라구요
>제가아는것과 조금달라서요
>그게 맞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전기충격받은 물을 미생물들이 좋아할까요. ^^ 일반 발효주를 제조할때 알칼리환원수를 사용하는 것은 양조회사가 미친거죠. 그러나 미치지 않으려면 발효주에 알칼리수를 넣는 것이 아니라 주정(에탄올 98.2%)에 물을 희석해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는데요.

이때 물 대신 알칼리수를 넣어 알코올 도수를 낮추고 여기에 갖가지 첨가물을 넣어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게 됩니다. 그러니 좋은 술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고 하는 것이 맞고요.

물은 물이고 알칼리수는 물에 미네랄이 녹아있는 것을 말하는데요. 물에 전기충격을 가하면 산성과 알칼리로 나눠지게 되고 이때 알칼리 쪽을 걷으면 그것이 알칼리수가 되는거죠. 그러니 순수한 물과는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무엇이든, 자연 그대로의 상태가 가장 좋겠죠. 사실 알칼리수에 대해 아직도 논란이 많습니다. 법적소송이 진행되고 아주 복잡했죠.

그러나 요즘 알칼리수가 많이 뜨는데요. 이는 우리몸이 산성화로 가고 있어 알칼리수를 섭취, 지나친 산성화를 막는다는 취지인데요. 모두에게 좋은 물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알칼리수를 너무 많이 먹는 것도 좋지 않겠죠

결론

1. 술을 빚을 때, 발효주를 제조할 때는 알칼리수가 좋지 않습니다.
2. 주정에 물탄 희석식 소주를 제조할 때 알칼리수를 넣는 것은 하나의 마케팅적인 측면이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희석식 소주는 죽은 술인데, 여기에 전기로 죽인 물을 혼합하면 다 죽은 술이죠. 좋을 이유가 하나도 없습니다.
3. 살아있는 사람은 살아있는 술을 마셔야죠.
4. 막걸리 들고 다니는 사람이 소주 들고 다니는 사람보다 훨씬 오래삽니다. 이유가 있겠죠.
5. 희석식 소주 자체가 좋지 않은 술인데 여기에 알칼리수 넣었다고 무엇이 더 좋아질까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아트지

2010.10.18 18:10:40
*.46.54.166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2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5478
281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479
280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485
279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487
278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98
277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98
276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오렌지컴 2015-01-05 5511
275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KoreanBrewers 2019-04-03 5526
274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530
273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536
272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536
271 술 거르는 시기 [1] aladinn 2015-03-26 5544
270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545
269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546
268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547
267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555
266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562
265 삼양주 만들고 있는데 질문 드립니다. [1] 썬연료 2023-11-22 5563
264 씨앗술과 밑술의 차이가 뭘까요 [1] PJC0405 2023-12-04 5564
263 청주 제조원가 계산서... 고래 2013-06-27 5568
262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82
261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589
260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5589
259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590
258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590
257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594
256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609
255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611
254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612
253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621
252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631
251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오렌지컴 2014-12-02 5640
250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642
249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663
248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664
247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675
246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685
245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687
244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697
243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7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