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조회 수 6930 추천 수 0 2020.12.30 19:52:23

안녕하세요,


코로나로 집콕하다보니 이렇게 집에서 전통주를 담게될 줄 몰랐네요.


잊혀진 우리 전통을 찾기 위한 가양주 연구소의 다양한 가르침의 문헌 속에 저도 이제야 제 옷을 찾은 마냥 집에서 술을 빚기 시작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에 3번째 전통주에 도전 중입니다.


지금까지 이력은 이렇습니다.


1번째 : [11월 초, 단양주] 너무 시큼한 식초 맛이 강해서 집 마당 나무에 뿌렸습니다. 

2번째 : [11월 말, 이양주] 나중에 고수가 되면 단양주 도전하기로 하고 이양주에 도전했습니다. 여전히 시큼하지만, 한살림 쌀막걸리 비슷한 맛이 나서 채주한 술들은 가수하여 주위에 기부 나설 예정입니다. (11/28 밑술, 11/30 덧술, 12/27 채주, 지금 숙성 중)


이번에 용기를 얻어 다시 시큼한 맛 없는 이양주에 도전했습니다. 

(2번째 이양주 레시피와 같은데, 대신 밑술을 찹쌀에서 맵쌀로 변경, 누룩은 수국으로 변경, 범벅은 4L 물의 죽에서 3L 물의 범벅으로 변경)


밑술 : 201227_21시 : 맵쌀 가루(1kg) + 물(3L) => 범벅 / 금정산 분말 밀누룩(0.4kg) + 물(1L) => 수국 6시간 (면보에 걸러 맵쌀 범벅에 투입)


48시간 동안 당화&발효


덧술 : 201229_21시 : 찹쌀 (3kg) => 고두밥 + 밑술


덧술 1일차 (201230 ) : 그 동안 없었던,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가 퇴근과 함께 택배 도착하여 술덧 온도 확인


-> 온도가 무려, 33도 입니다. (문득, 어제 덧술 후, 라면 끓는 소리와 함께 요란하게 끓어 오르던 술덧이 생각납니다. (이때도 이불로 감싸진 술독))


급히, 술독을 야외로 옮겨 온도를 낮춰줬는데, 이대로 계속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24시간 이상 고온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보입니다. 포기하고, 이제 온도를 알았으니, 다시 시작해야 할까요?)


그 동안 온도를 몰랐는데, 단순히 겨울이라 지속적으로 담요로 술독을 감싸줬는데, 오늘 온도계가 와서 집안 온도를 확인하니, 25 ~ 26도 정도로 나오네요. (단독주택인데, 보일러 제어기에는 23 ~ 24도 정도로 나오는데, 실제 공기 온도가 2도 이상 높았네요.)


1/2번째 술이 시큼한게 온도가 너무 높아서 일까요, 아님, 다른 추가적인 교정이 필요한 과정이 있을까요 ?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꾸뻑 !!


도원

2021.01.01 12:10:27
*.149.116.45

온도 문제가 큰거 같네요. 실내 온도 20이하로 안 떨어지면 구지 담요는 패스 하세요!

Blues

2021.01.01 16:31:32
*.195.62.43

가르침 감사합니다.
그 동안 시큼함의 원인이 담요 품온에 의한 것인가 보네요.
야외에서 냉각한 술독을 드레스룸으로 옮기고 오늘 온도를 보니, 23도로 안정화가 된 것 같습니다.
신맛이 나도 어쩔 수 없기에 보쌈 해제하고 그냥 발효를 계속 지속하고 맛을 보겠습니다.
다음 도전엔 온도에 특별히 주의를 해야겠네요.

*** XE Skin에 문제가 있네요. 대댓글을 못다네요.

도원

2021.01.04 17:55:39
*.149.116.45

품온 온도는 크게 신경쓰지 마시고, 외부온도 25도 이상 안올라가게만 맞춰주시면 온도는 크게 신경 안써주셔도 됩니다. 높은 온도 보다는 차라리 낮은 온도가 느리지만 술이 익는것엔 더욱 좋아요^^

Blues

2021.01.06 22:05:01
*.195.62.43

@도원,
조언 감사합니다.
끓어 넘치던 술덧을 진정시키고 이양주의 최종 맛을 보고 싶어서, 궁금해도 그냥 그대로 계속 두고 있습니다.
발효가 중지하는 그 날, 걸러서 다시 후기 올리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963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酒人 2005-09-06 5253
962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6094
961 누룩만으로 술이 될까? 酒人 2006-01-12 5080
960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447
959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酒人 2006-01-12 5175
958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5027
957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8441
956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18
955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4885
954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669
953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230
952 정신없이 글을 쓰다보니... [2] 酒人 2006-03-03 4082
951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025
950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518
949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834
948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818
947 전통주 기초강의 1. 술이란 酒人 2006-03-17 4051
946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567
945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856
944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7030
943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245
942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酒人 2006-03-18 5164
941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673
940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260
939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362
938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4897
937 술빚기 기초강의 2. 도구의 선택 酒人 2006-04-04 4155
936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189
935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579
934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201
933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443
932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9327
931 질문 드립니다. [2] 김강훈 2006-04-24 4579
930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3996
929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418
928 현미 쌀 타피오카 절감 등의 전분가 file 酒人 2006-04-27 4136
927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4996
926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1544
925 전통주 중급강의 1. 효모의 증식과 발효. 酒人 2006-05-04 4175
924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56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