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삼양주 빚는중에 나는 향

조회 수 3708 추천 수 0 2020.06.20 05:34:54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삼양주를 빚어보고있고 (처음으로 빚는 술입니다!) 2차 덧술을 한지 보름이 지났습니다. 항아리에 해서 안이 보이지는 않구요 비율은 이정도로 했습니다


1.밑술 맵쌀 500g 쌀범벅 누룩 200g 물 1리터 (끓여서 범벅에 사용)

방 온도는 22~24도유지 2. 1차덧술 맵쌀 500g 쌀범벅 누룩 없음 물 1.3리터 (끓여서 범벅에 사용) 방 온도는 22~24도유지

3. 2차덧술 찹쌀 1.8kg 고두밥


이렇게하고 그 다음날 아무 소리도 안들려서 보니 너무 뻑뻑해서 끓였다 식힌물 250ml 넣고 섞은다음에 닫아둠


2차 덧술 6일 후까지 방 온도는 22~24도유지

2차 덧술 6일후에 열어서 섞어줌. 이때 맛은 달고, 요거트보다 살짝 신맛이 났구요

그 이후 온도는 21.5에서 23.5도 사이로 맞췄으나 한번 24.1도까지 올라감 (에어컨을 깜빡해서)


지금 2차 덧술후 15일이 지났습니다. 저어줄때 빼고는 뚜겅을 열지 않았구요. 냄새는 더 시어지진 않고 기포가 터지는 소리는 10초에 한번정도. 항아리에 바로 같다대고 향을 맡아보면...

국순당 생 막걸리 냄새에 요거트 만큼의 신냄새정도가 항아리 밖으로 나오고 있네요.


이정도 신냄새는 정상인가요? 아니면 빨리 걸러서 고두밥과 누룩을 더 넣어서 한번 더 빚는게 좋을까요?

뚜껑열면 성공할 술 시어지게 만들까봐 못열어보고 있습니다.



도원

2020.06.24 19:31:32
*.149.116.45

제대로 잘 익고 있습니다. 물과 곡물의 양이 거의 1:1 일 때, 삼양주는 2차 덧술 후 20~25도로 유지 된다면, 한달 정도는 발효를 시켜야 합니다. 온도 유지만 잘 되고 발효에 이상이 없을시 더 오래 묵히셔도 관계 없습니다.
위쪽 표면에 맑은 술이 보인다 싶으시면 위에 떠있는 밥알을 손으로 으께 미끌거리지 않는다면 거르셔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공기가 오염되지 않았다면 일주일에 한두번 열어보시는건 발효에 큰 지장을 주지는 않습니다.
참고로 팁을 하나 드리자면 처음 시도하실 땐, 항아리 보다 투명한 유리병을 이용하시면 뚜껑을 열지 않아도 발효과정이 잘 보이기 때문에 숨쉬는유리병 사용을 추천합니다.

mekookbrewer

2020.06.25 01:15:04
*.237.242.91

감사합니다! 향이 바뀌지 않고 온도는 22도쯤으로 계속 유지됬으니 한달쯤 되면 밥알을 으깨보고 걸러야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23 초일주 술 거르기 질문드립니다. file [1] 잉맨 2011-05-15 8790
922 이양주 빚는 중에 거르는 시기 질문입니다, file [2] anakii 2013-11-14 8700
921 술덧 위에 이게 뭘까요?? file [3] 자두맛사탕 2023-05-23 8675
920 삼양주 채주 시기 [3] 키키요 2021-04-02 8506
919 양조 과정 중 여러가지 여쭤봅니다! [3] 희진 2023-04-13 8482
918 밑술의양은얼마나 [2] 지허 2011-07-12 8389
917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酒人 2008-09-18 8142
916 옥수수술 담그기 도전 ( 배울수가없어서) [2] 창힐 2013-07-20 8133
915 죽으로 밑술을 했는데요 혹시 산막이 생긴걸까요? file [1] 류슈뮤 2023-04-05 8124
914 소주 주정 만들기 [1] 포수 2013-06-11 8073
913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8053
912 삼양주를 만드는데 문제가 생긴듯 하여 여쭤봅니다 file [1] 희진 2023-03-10 8050
911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8022
910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8005
909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Emiju 2021-01-05 7981
908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우리술이좋아 2011-05-24 7979
907 <b>누룩만들기 제 5장 &#8211; ‘누룩 집’ 만들기</b> [5] 酒人 2007-11-05 7977
906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오포 2023-04-16 7939
905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ekookbrewer 2021-04-09 7932
904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930
903 삼양주를 빚는다면 밑술, 1차덧술, 2차덧술로 나누어서 쌀과 물의 비율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나요? [2] 민속주 2012-06-23 7885
902 단양주 빚어보는데 [1] 김해삼 2013-06-13 7853
901 이화주를 빚어 보고 싶습니다. [2] 누룩마죽 2011-10-19 7851
900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청송옹기 2021-03-07 7802
899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AppleTree 2013-04-06 7769
898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푸른땡땡이 2021-04-24 7752
897 막걸리 빚을때 이스트의 양은 어떻게되나요?? [1] 찰리와막걸리공장 2019-12-20 7748
896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7745
895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701
894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신의 2008-08-18 7672
893 술찌끄미 이용법 [1] 포수 2013-06-14 7667
892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7655
891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1-01-24 7655
890 밑술시 물과 쌀 비율 질문입니다 ^^ [5] 적초 2009-06-17 7597
889 [re]화주(火酒)에 대하여... 酒人 2008-07-28 7574
888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7569
887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7569
886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희진 2023-03-21 7486
885 삼양주 만들기 도전...덧술2. [5] 창힐 2012-06-25 7474
884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47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