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막걸리 맛있게 만드는 방법

조회 수 17717 추천 수 47 2009.01.07 10:45:01
막걸리 맛있게 만드는 방법


음,,, 그렇습니다.^^ 일단, 막걸리를 잘 만들기 위해서는 막걸리 만들 술이 맛있어야 해요. 정확히는 좀 단맛이 강해야 합니다. 그래야 물을 타도 자신이 원하는 맛을 가진 막걸리를 만들 수 있어요.

다음 제조법을 한 번 볼까요.

석탄주

밑술 : 멥쌀 2되, 물 10리터, 누룩 1되가 들어갑니다.
덧술 : 찹쌀 1말이 들어가요.

이양주 호산춘

밑술 : 멥쌀 2되, 물 5.4리터, 누룩 1되가 들어갑니다.
덧술 : 찹쌀 1말이 들어가요.


이 두 술의 차이는 물의 양입니다. 이 두 술로 막걸리를 만들어 볼까요. 석탄주의 경우는 지게미를 제외하고 총 18리터 정도의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50% 정도는 청주를 얻을 수 있어요. 물론, 좋은 장치가 있으면 더 많은 청주를 얻을 수 있겠죠.

1. 여기에 약 12리터의 물을 혼합해서 총 30리터의 술을 만들어 놓고,,

호산춘의 경우는 약 13리터의 술을 얻을 수 있으며 청주의 양은 많아야 6리터 정도가 나오게 됩니다.

2. 여기에 약 17리터의 물을 타서 총 30리터의 막걸리를 만들어 놓았다고 해요.

두 술을 막걸리로 만들어 놓고 맛을 보면 어떤게 맛이 더 좋을까요. ^^ 뭐 입맛이 다 달라서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2번 호산춘을 막걸리로 만들었을 때 더 맛이 좋습니다. 그리고 맛을 맞추기가 좋아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도가 높다는 것은 그 만큼 발효조 내에 당이 알코올로 변하지 않은 것이 많다는 것이고요. 알코올 도수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당이 알코올로 변했다고 생각하면 되겠죠.
호산춘의 경우 석탄주보다 물이 적게 들어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당도가 높습니다. 그만큼 알코올 도수는 석탄주보다 낮겠죠.

여기에 물을 타서 두 술 모두를 30리터로 만든다면 상대적으로 당도가 높은 호산춘의 맛이 더 좋아지는 것입니다. 우리술은 단맛이 강하면 향도 따라서 강해집니다. 때문에 막걸리를 만들어도 석탄주보다는 호산춘이 맛과 향에서 더 좋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석탄주를 맛있는 막걸리로 만드는 방법은 없는가.

있죠. 일단 용수를 박아서 맑은 술을 떠 내고 나머지 남은 술을 짜게 되면 상대적으로 당도가 올라갑니다. 쌀이 가지고 있던 당이 짜는 과정에서 밖으로 나오기 때문이죠. 따라서 석탄주 청주 보다는 걸러 놓은 술이 더 단맛이 강해 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맛이 좋은 그러나 당도는 낮은 술은 일단 용수를 박아 청주를 얻고 나서 물을 혼합해 짜는 것이 좋은 것입니다.

맛이 좋지 않은 술은 막걸리로 만들어도 맛이 좋지 않아요. 그렇기 때문에 좋은 막걸리를 만든다고 하는 것은 좋은 청주를 얻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좋은 청주를 제조할 수 있는 사람은 맛 좋은 막걸리를 자동적으로 얻게 되는 것입니다.

마치면서...

항상 글은 길지만 요약하면 간단하죠. 물의 양을 줄여 당도와 향을 높여야 물을 많이 타도 좋은 맛과 향을 유지한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 전통술은 "술독"이 이끌어 갑니다.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963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酒人 2005-09-06 5252
962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6094
961 누룩만으로 술이 될까? 酒人 2006-01-12 5079
960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447
959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酒人 2006-01-12 5175
958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5027
957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8440
956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16
955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4883
954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669
953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230
952 정신없이 글을 쓰다보니... [2] 酒人 2006-03-03 4082
951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024
950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518
949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833
948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814
947 전통주 기초강의 1. 술이란 酒人 2006-03-17 4051
946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567
945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856
944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7029
943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243
942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酒人 2006-03-18 5163
941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673
940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260
939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362
938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4896
937 술빚기 기초강의 2. 도구의 선택 酒人 2006-04-04 4154
936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188
935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577
934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200
933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442
932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9326
931 질문 드립니다. [2] 김강훈 2006-04-24 4579
930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3996
929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418
928 현미 쌀 타피오카 절감 등의 전분가 file 酒人 2006-04-27 4136
927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4996
926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1544
925 전통주 중급강의 1. 효모의 증식과 발효. 酒人 2006-05-04 4175
924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56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