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글을 읽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남깁니다

조회 수 4382 추천 수 0 2020.05.03 00:29:49

글내용


//이양주(밑술, 덧술)를 빚을 때는 매일 신맛때문에 고민하던 분들이 삼양주(이양주에 한 번 더 덧함)를 빚으면 신맛이 사라지고 맛이 좋은 술이 만들어 진다고 하는데요. 왜 이양주에서는 특별한 오염이 없는데도 신맛이 많이 나고 삼양주에서는 신맛 없이도 단맛이 좋아질까요.

이 모든 것이 미생물의 수 때문입니다.

이양주에서 만들어진 많은 미생물들이 덧술에 들어오는 많은 양의 곡물을 분해할 수 있는 만큼의 힘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쌀에서 얻어야 할 포도당을 얻지 못하고 결국에는 알코올 생성력도 저하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밑술에서 증식되 많은 미생물에 다시 한 번 편하게 먹을 수 있는 밥을 투입해 줌으로서 밑술에 증식된 미생물의 수보다 상대도 안될 만큼 많은 양의 미생울이 다시 생겨나고 이것이 결국에는 당화와 발효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




성공과 실패에 올려진 글을 보다 너무 궁금했던 부분에 대해 적혀져있어서 질문남깁니다


이양주(석탄주)때는 신맛?요거트맛이 강했는데 그다음 삼양주를 할때는 너무 맛이 좋아 이양주를 잘 안빚었거든요


방금 막 죽을쑤고 마침 글을 읽는데 너무 공감이 가서요,


이양주는 삼양주에비해 신맛이 날수밖에 없는걸까요? 

그럼 고두밥양을 적게하여 미생물들이 편하게 먹게해주어야 되는걸까요?



지금 만들고 있는 생각하고 있는 밑술(죽) 비율은


600(쌀가루) : 2.5L(물) : 300g(누룩) 이렇습니다.  


酒人

2020.05.04 10:35:24
*.159.69.191

안녕하세요.
효모의 개체수가 많아야 동시에 많은 효모들이 만들어내는 알코올 양도 많아지겠죠.
이양주도 산미가 적은 술들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일단, 밑술에 한 번의 배양으로 효모의 개체수가 적어 산미가 강하기 때문에 효모 투입 없이 산미를 없애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우 쉬워요.

1. 쌀과 물의 양에서 쌀을 10~20% 더 넣어 줍니다. 고두밥(찹쌀) 양을 늘리면 됩니다.
2. 이것은 잔당의 양을 높게 만들어서 산미가 적게 느껴지게 하는 방법입니다.
3. 가장 좋은 방법은 효모의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덧술 회수를 늘리거나 효모를 투입하는 방법인데
이렇게 하지 않고 고두밥 양을 늘려 해결할 수 있습니다.
4. 밑술 레시피대로 한다면, 덧술에 찹쌀 2.5kg을 고두밥 쪄서 넣으면 될 것 같아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03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844
802 발효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술을 빚어보자 2018-07-03 3849
801 송순주 [1] yk 2014-08-02 3856
800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858
799 술이 너무 빨리 끓은것 같습니다 [1] 문석호 2010-03-25 3860
798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864
797 소주내리기위해 술을빚을때 쓰는 주방이 따로있나요? [1] synop 2019-10-01 3868
796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870
795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873
794 술빚기 Q&A 20페이지. 120번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의문점 [2] 민속주 2012-10-22 3874
793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877
792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3878
791 주인님, 아래 제 글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에 대한 답변 좀... 해난 2010-06-08 3878
790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10-10-17 3878
789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酒人 2006-10-26 3879
788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889
787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891
786 쌀과 누룩 질문 [1] 식초나라 2013-03-06 3895
785 여러가지 의문 점 [2] 민속주 2012-10-31 3900
784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0심이 2010-09-30 3901
783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김정은 2006-05-18 3902
782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904
781 막걸리 이양주 진행상황 검토부탁 드립니다. [1] Emiju 2020-05-24 3910
780 술의 유지 방법. [2] 눈사람 2010-03-22 3916
779 오랜만에 복분자 주를 만들려고 하는데 비율을 잘 모르겠습니다 ㅎ [2] 술도하가 2012-09-13 3916
778 씨앗술이 왜??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10-09 3918
777 술이 되어가고있네요 [3] 배병임 2006-10-06 3922
776 거른 오미자주 상태입니다. file [1] 하제 2012-05-04 3930
775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930
774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1-21 3931
773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937
772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939
771 2차 덧술할때... [1] 마중물 2008-12-12 3941
770 급질문입니다.. [1] 2009-01-07 3946
769 덧술재료 [1] 마중물 2008-12-10 3947
768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이승욱 2007-01-10 3951
767 이양주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2-10-29 3952
766 이스트?효모영양제 사용방법및 시기 문의 [1] 호박654 2020-07-24 3964
765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우리술이좋아 2010-05-03 3965
764 삼양주 빚는중에 나는 향 [2] mekookbrewer 2020-06-20 396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