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동동주를 빚어보고

조회 수 3716 추천 수 9 2010.06.06 07:52:49
왕초보입니다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로
멥쌀  4Kg
누룩  500g
물     4L   로 술덧을 만들어 13 L 의 항아리에 단양주를 빚어보았습니다

23~25도를 유지하여 12일만에 성냥불이 꺼지지 않아 바로 술를 걸렀습니다

맑은술이 고이지 않고 흰 죽처럼 걸직하여 체에대고 억지로  비벼짜내어 희석하지않은술 6300cc를 얻었는데 약간 신맛이 나고 단맛은 적고 독합니다
너무 걸찍하여 1:1로 희석하여 측정결과 알콜함량 8%가 나와 16%의 술임을 확인 하였습니다
의문점
1. 술이 너무 걸직하여 묽을 죽을 마시는 것 같습니다    얼마나 희석해야  
   하는 지요   (1:1로 하여도 8도가 되며 그래도 많이 걸직합 니다)
   일반적으로 알콜 몇%로 하여 마시는지요 ?
  
2.전반적이 술빚기에 어떤 잘못이 있는지요?  아니면 정상인지요 ?
  술 거르는 시기      지나친 걸죽함     물의 사용량      멥쌀사용    
  약간의 신맛    단맛의 부족     알콜함량  등등
  바쁘신데 지도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 합니다

酒人

2010.06.07 23:10:07
*.106.6.205

단양주의 가장 큰 문제는 당화입니다.

당화가 잘 되지 않으면 술이 잘 걸러지지 않고
걸죽하죠. 그래서 단양주는 대부분 거의 모든 술이
멥쌀이 아닌 찹쌀을 사용합니다. 그래야 잘 삭으니까요.

1. 멥쌀로 빚은 술은 청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찹쌀보다 단맛이 적게 나오고 잘 걸러지지 않은 단점
이 있는 반면에 드라이하고 맑은 술이 나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의 혼합은 자신의 입 맛에 맞게 타는 것이 정석입니다.
단맛과 신맛, 알코올 도수에 따라서 먹는 사람이 결정
할 문제입니다.
대부분 1:1 정도로 희석하나 발효가 다 끝나지 않은 술은
걸러도 너무 걸죽하여 물을 많이 희석해도 맛이 좋지 않습니다.

2. 잘 삭은 술은 짜지 않아도 술이 잘 걸러집니다.
그러나 멥쌀술의 경우 완전히 발효가 돼도 잘걸러지지
않습니다. 당연히 단맛이 적고 단맛이 적으니 신맛이 나기
시작합니다.

3. 전체적으로 쌀의 비율이 물의 비율보다 많습니다.
1:1이란, 같은 용기에 1:1을 말하는 것으로 쌀 4kg과
물 4리터를 혼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광이

2010.06.09 07:47:51
*.148.60.30

바쁘신중 자세하게 지도하여 주셔서 대단히 감사 합니다
많이 배워 좋은술을 빚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광이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3 호산춘에 대하여.. [1] [1] 민속주 2012-09-16 4034
242 누룩 띄우기 Jtracey 2020-07-24 4027
241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4012
240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4011
239 안녕하세요 술을 빚어보려 합니다. [4] 루덴스 2019-05-01 4004
238 [re]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3] 윤승구 2006-07-15 4000
237 고두밥과 밀가루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이미남 2019-12-08 3986
236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비바우 2009-12-28 3985
235 청주 빨리 생기게 하는 방법? [2] 오렌지컴 2016-06-24 3984
234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새로미 2010-06-18 3982
233 누룩 속에 알코올이 있나요?? 酒人 2006-07-13 3982
232 삼양주 씨앗술 사용양 [4] mekookbrewer 2020-07-30 3981
231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3980
230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투덜이 2012-06-06 3978
229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5-05-19 3976
228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바나나우유 2010-08-14 3976
227 걱정했는데... [1] 마중물 2008-12-16 3976
226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09-11-03 3974
225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술향 2010-02-10 3971
224 떡으로 막걸리 빚을 수 있나요? [1] 백프로찹쌀 2016-05-01 3955
223 멋진 답변~~~ 떳다 2008-10-16 3950
222 가입인사 드립니다. [1] jun 2015-01-31 3946
221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酒人 2006-08-21 3946
220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944
219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0 3941
218 호산춘레서피 질문이 있어요 [2] 버지니아 2020-01-26 3940
217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케팔로스 2018-10-26 3940
216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섬누룩 2009-11-23 3939
215 진상주를보면서......... [2] 배병임 2006-09-27 3937
214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933
213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933
212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강현윤 2012-12-21 3928
211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9-03-14 3928
210 향기와 맛은 따로 국밥인가요? [1] 보리콩 2010-09-15 3924
209 질문드립니다! [1] Elucidator 2019-02-15 3923
208 왜 생막걸리여야만 하나요? [2] mumu 2014-07-14 3920
207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우리술이좋아 2010-05-03 3912
206 용수냄새가 나서 [1] 고천 2010-12-06 3896
205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895
204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388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