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고구마술

조회 수 6964 추천 수 25 2009.01.16 10:13:34
>맛있는 레시피 구할 수 없을까요?
>


......................................................................................


고구마는 수분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물이 적게 들어가는 방향으로 술을 빚어야 합니다.
나중에 물을 추가하더라도 고구마로 빚는 술은 물을 적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미생물 증식부터 시작하죠.

요즘 날씨가 추우니까. 미생물을 좀 더 증식시켜서 빚는 삼양주로 빚어 볼까요.

밑술

1. 멥쌀 1되(1리터)를 깨끗이 씻어 물에 3시간 담가 둔다.
2. 10분 정도 물기를 빼고 곱게 가루 낸다.
3. 끓는 물 3리터를 가루에 부어 잘 혼합한다.
4. 식으면 누룩가루 2되(1kg)를 넣어 잘 혼합한다.
5. 실내온도 20~25도 사이에서 정확히 36시간 후에 덧술 한다.

덧술

1. 멥쌀 2되를 깨끗이 씻어 물에 불렸다가 가루 낸다.
2. 끓는 물 3리터로 범벅을 만든다.
3. 차게 식으면 밑술과 혼합한다.
4. 20~25도 사이에서 정확히 36시간 후에 덧술 한다.

이렇게 해서 미생물의 수를 늘린 후에 최종적으로 덧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덧술

고구마(쪘을 때 맛이 좋은 고구마를 이용해야 한다. 밤 고구마) 8kg
밤 고구마로 하면 이 제조법으로 그냥 하시고, 호박 고구마로 하시면 고구마의 양을 4kg으로 줄여서 빚는 것이 좋습니다.

1. 고구마 8kg을 깨끗이 씻어 쪄서 식힌다.
2. 찹쌀 1말(8kg)을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갔다가 찐다.
3. 식으면 밑술과 찹쌀 지에밥, 찐 고구마를 함께 혼합한다.
4. 20~25도에서 2일 후에 점검하고 다시 1주일 후에 술독을 연다.  
5. 긴 주걱으로 한 번 뒤집어 준다. 다시 1주일 후에 뒤집어 준다.
6. 맑은 술이 생기고 용수를 박는데 용수 박고 다시 1개월 후에 사용한다.

참고> 맑은 술이 술 표면에 생겼을 때, 맛이 너무 달고 진하면 물 3리터 정도를 추가한 후에(끓여 식힌 물) 용수를 박아 주면 됩니다.
또한, 점도가 낮은 술을 빚으려면 2차 덧술때 찹쌀 대신 멥쌀을 사용하면 됩니다.


고구마 술은 술이 완성되고 바로 마시는 것 보다는 시간을 두고 완전히 맛이 들었을 때 꺼내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용수에 맑은 술이 생기고 그 맑은 술의 맛을 보고 맛이 좋을 때 꺼내서 냉장고에 보관하며 마시면 좋습니다.


복드림님 술 완성되면,,    저 1착.~ ^^




복드림

2009.01.16 12:03:40
*.73.63.84

성공하면 당근 주인님부터 챙겨야죠.ㅋㅋ^^
고구마술 발효기간이 저리 길 줄은 몰랐네요.
저는 고구마 가루를 이용해서 조금 만들어 보았었는데..
고구마 가루와 찐고구마와의 술 맛 차이는 어떤지?

酒人

2009.01.16 13:20:41
*.66.164.248

가루가 있으면 더 좋죠.
찐 고구마는 아무래도 수분이 많아서 물 조절이 중요하지만
가루를 이용한다면 일반적인 술 빚기에 쌀과 함께 쪄서
술을 빚으면 됩니다.

술을 빚는다고 해도 고구마의 향이 강하지는 않고요.
맛은 가루와 찐 고구마의 차이 보다는 원료 배합의 양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개인적으로는 찐 고구마로 빚었을때가
좋았던 것 같습니다.

지난번 도사님께서 빚으신 것처럼 가루를 이용해 고구마 조청을 만들어 사용해도 맛이 좋습니다.

복드림

2009.01.16 13:45:51
*.73.63.84

ㅋㅋㅋ 도사님 술빚는법은 워딨데유..지도 쉬운게...ㅋㅋㅋ

복드림

2009.01.16 13:50:47
*.73.63.84

허걱~ 찾았구먼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921 누룩에 대한 질문입니다. secret 김상현 2006-05-08 786
920 [re] 답변입니다. secret [2] 酒人 2006-05-08 1083
919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551
918 [re] 답변입니다. ^^ [5] 酒人 2006-05-11 5262
917 알콜 70% 감홍로주 file [6] 酒人 2006-05-14 5903
916 <b>완성된 "쑥술" 병입완료</b> file 酒人 2006-05-16 2984
915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김정은 2006-05-18 3778
914 전통주 중급강의 3. 봄철 밑술과 보쌈 [2] 酒人 2006-05-23 4094
913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5949
912 달콤한 술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1] 酒人 2006-06-01 3545
911 <b>독한 술은 어떻게 만드나?</b> [6] 酒人 2006-06-01 5049
910 <b>내가 빚은 술,, 몇 리터나 얻을 수 있나?</b> [2] 酒人 2006-06-04 4613
909 <b>증류주 만들때 꼭 알아야 할 것</b> 酒人 2006-06-08 3572
908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2] 박상진 2006-06-12 4029
907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540
906 침출주를 증류하면... [2] 김기욱 2006-06-16 4268
905 <b>넌 왜 범벅으로 술을 빚냐~?!</b> 酒人 2006-07-04 4714
904 <b>술 제조해서 팔다 걸리면 어떻게..??</b> [1] 酒人 2006-07-06 4325
903 <b>여름에는 술을 어떻게 빚나요.??</b> 酒人 2006-07-10 3595
902 누룩 속에 알코올이 있나요?? 酒人 2006-07-13 3904
901 [re]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3] 윤승구 2006-07-15 3877
900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629
899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酒人 2006-07-19 5120
898 <b>전통주 상급강의 1. 효모의 세대시간과 증식</b> [1] 酒人 2006-07-22 4979
897 <b>약주란 무엇인가.</b> 酒人 2006-07-28 3057
896 <b>전통주 상급강의 2. 알코올의 끓는 점의 변화</b> [1] 酒人 2006-08-02 4042
895 전통주의 기본적인 맛? 궁금합니다. 김정옥 2006-08-02 3377
894 [re] 답변입니다. [5] 酒人 2006-08-02 3991
893 두가지 질문 입니다. [1] 이선화 2006-08-03 4573
892 애주 [1] 이선화 2006-08-04 4110
891 신맛나는 술 [2] 이선화 2006-08-10 4708
890 소주를 어떻게 내리는지 ??(박수덕님) 酒人 2006-08-17 3386
889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酒人 2006-08-21 3847
888 진상주 질문입니다. [1] 이유미 2006-08-23 2774
887 포도주 빚기에 관해 [1] 유욱재 2006-08-24 3678
886 <b>석탄주는 어떤 맛일까?</b> 酒人 2006-09-07 4489
885 밑술담기의 적정온도는? 김정옥 2006-09-15 4209
884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650
883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 </b> [2] 酒人 2006-09-19 5211
882 주정분표(알코올 도수환산표) 보는 방법 file 酒人 2006-09-27 1726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