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막걸리 만들기 제 1장 : 막걸리란?

조회 수 16291 추천 수 86 2007.12.26 19:06:33
막걸리 만들기 제 1장 –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 말만 들어도 정감이 가는 이름입니다. 어머니께서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곳에 가서 막걸리 반 되만 받아오라고 하면 작은 발걸음으로 한참을 걸어 읍내에 있는 양조장에 들어가 양은 주전자에 막걸리를 받아 가곤 했습니다. 햇볕이 쨍쨍 내려쪄서 목이 마를라 치면 주위 한 번 들러보고 아무도 없으면 한 모금,, 한 모금 하다가 밭에 도착하면 얼굴이 벌개져 버리죠.^^ 오늘은 추억의 막걸리를 이야기하려 합니다.

막걸리는 막 걸렀다 해서 막걸리입니다. 흔히 동동주라고도 하는데요. 동동주와 막걸리는 다릅니다. 동동주는 술을 빚어 완성되면 술 표면에 술이 맑게 고이면서 위에 쌀 알이 동동 떠 있는 상태를 동동주라고 하는 것이고요. 막걸리는 “물을 타서 술의 양을 늘리고 알코올 도수를 낮춘 술”입니다.

막걸리를 맛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누룩을 가급적 적게 넣고 술에서 단 맛이 좀 강하게 해야 좋은 막걸리를 만들 수 있어요.

1. 누룩을 적게 넣는다.
2. 물을 적게 잡아 단맛이 강하게 술을 빚는다.


누룩을 많이 넣게 되면 당화와 알코올 발효가 많이 되어 술이 써지고 누룩 향이 많이 나게 됩니다. 또한, 물을 많이 잡아 술에 단맛이 없으면 나중에 막걸리를 만들기 위해 물을 타면 너무 밍밍하게 술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멥쌀 보다는 찹쌀을 이용하고 당도를 높이기 위해 찬 곳 보다는 더운 곳에서 술을 빚는 것이 좋습니다.

1. 멥쌀 보다는 찹쌀을 이용한다.
2. 따뜻하게 빚어 당도를 높인다.


멥쌀로 술을 빚는 것 보다 찹쌀로 술을 빚는 것이 시간이 단축되고 단맛이 강한 술을 제조할 수 있습니다.(이유는 사이트에 많이 나와 있으니 참고하세요.) 또한, 효소가 당을 잘 만들 수 있도록 술독을 따뜻하게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한 번에 빚는 것 보다는 두 번, 세 번 빚어서 막걸리를 만드는 것이 맛이 좋습니다.


탄산이 들어 있는 막걸리는 …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막걸리는 대부분 탄산을 술에 주입하여 출시하게 됩니다. 이런 술을 먹게 되면 입 안에서 톡톡 쏘는 것이 시원한 청량미를 줍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탄산을 주입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죠. 방법을 알기 전까지는 말입니다. ^^

이번 막걸리 시리즈에서는 술에 탄산을 자연적으로 주입하는 방법과 어떤 방식으로 빚어야 맛 좋은 막걸리를 만들 수 있는지 또한, 물을 어느 정도 첨가해야 원하는 알코올 도수와 당도를 맞출 수 있는지를 상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등급은 초급, 중급, 고급의 모든 분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쓰도록 하겠습니다.

제 2장 “천연 막걸리” 편을 기대하세요.  ^^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1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361
240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362
239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367
238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378
237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381
236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382
235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394
234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398
233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399
232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04
231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404
230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405
229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06
228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410
227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27
226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442
225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445
224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5445
223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454
222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5475
221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479
220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5480
219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485
218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506
217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15
216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538
215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559
214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568
213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572
212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578
211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602
210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609
209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5609
208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5612
207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624
206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5630
205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5631
204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1-27 5640
203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645
202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65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