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여러가지 의문 점

조회 수 3886 추천 수 0 2012.10.31 00:41:43

1. 술이 맑게 떴을 때.

술독에 술이 맑게 떴다는 것은 술이 완전하게 발효를 마쳤다는 것입니다. 이때 술 위에 뜬 것을 먼저 받아내고 남아있는 술은 용수를 박아 술이 맑아지면 떠내게 됩니다. 이 방법은 가장 확실하지만 완전발효가 일어나 술의 맛이 독하고 시간이 지나면 빠르게 간장취 등이 나게 됩니다. (간장취란 아미노산 발효에 의해 나타나는 향) 이러한 향은 술을 마셨을 때 좀 느끼한 맛을 갖게 되는 것이 단점입니다.(술빚기 Q&A. 23페이지 -> 62번.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

 

2. 술이 완전히 위에 고일때까지 기다린다.

시간이 지나면 술이 완전히 위에 고여 있다. 이것은 술의 발효가 완전히 끝난 것으로 빠르게 술을 걸러주는 것이 좋다. 좀 더 시간을 끌면 술에서 조금씩 간장맛이 나기 시작하여 술이 느끼해지기 때문에 거르는 시기를 잘 맞춰야 한다.(술빚기 Q&A. 21페이지 -> 104번.술을 언제 걸러야 하나요?)

 

3. 술이 완전히 발효되기를 기다리지 않는 이유는 술 맛이 느끼해 지기 때문입니다.
(술빚기 Q&A. 23페이지 -> 62번.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


● 주인님이 윗글 3번에서 언급한 내용도 있고,
완전발효가 일어나고 시간이 지나면 술에서 간장맛이 나고 느끼해지는 단점이 있는데...
[ 1번 술이 맑게 떴을 때. = 2번 술이 완전히 위에 고일때. ]<- 이 시기를 "술 거르는 시기"에 포함시킨 이유가 궁급합니다.

 

● 1번의 경우, 술독에 술이 맑게 떴을 때(완전발효) 청주를 뜨고 막걸리를 걸러 함께 냉장보관하면 시간이 지나도 술에서 간장맛이 나고 느끼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까요?

 

● [술이 맑게 떴을 때. = 술이 완전히 위에 고일때.]에 술을 거르지 않고 상온에 오랜 기간 놔뒀을 때 변해가는 과정은 어떻게 되는지요.

그리고, 최후에는 어떻게 변하게 되는지요.

 

● [술이 맑게 떴을 때. = 술이 완전히 위에 고일때.]에서 시간이 지나면 간장맛이 난다고 했습니다.
윗글에서 "간장취란 아미노산 발효에 의해 나타나는 향" 이라 했습니다.
그러면, 아미노산이 완전발효(질좋은 아미노산을 얻을 수 있는 시기를 얘기함)되면 술에서 어떤 징후가 나타날까요?

간장취가 심하게 날것 같은데.. 그 기준이 모호하네요.
필수 아미노산이면 좋을 둣 한데.. 아미노산의 종류 중에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을까요?
발효 식초처럼 아미노산을 건강 음료로 이용하면 좋을 듯 해서 질문 드립니다.


酒人

2012.11.07 10:02:21
*.32.96.174

1. 술이 맑게 뜨거나 완전히 고일때는 간장취 등이 없어요. 여기서 시간이 더 지났을 때를 말합니다.
2. 저온에 보관하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색은 짙어져 검게 되고, 향은 발효취, 알코올취에서 바닐라, 캬라멜 향으로가고 더 지나면 간장취, 된장취가 납니다.
4. 아미노산과 당이 결합하여 색이 짙어지게 됩니다. 또한, 대표적인 20가지의 아미노산에서 필수 아미노산의 상당량이 술에 들어 있습니다. 술을 어떤 원료로 빚었냐에 따라 달라지겠죠.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민속주

2012.11.11 23:57:01
*.248.61.61

주인님 덕분으로 많은 궁금증을 풀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43 마늘술을 담글수 있을까? [3] 내사랑 2008-10-12 6219
242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8-10-10 4570
241 불패주와 미생물에 대한 문의 내사랑 2008-10-10 4438
240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酒人 2008-10-04 5372
239 <b>[답변]2009년 교육 일정</b> 酒人 2008-10-01 3602
238 혹시.. 전통주 배우는 프로그램은 없는지요...? 이선아 2008-10-01 3438
237 누룩이.. [1] 2008-09-30 4598
236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587
235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813
234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酒人 2008-09-18 8230
233 누룩보관하기 좋은 방법 알고 싶어요 [3] 신의 2008-08-19 9845
232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신의 2008-08-18 7803
231 전통주 만들기에서.. 2008-08-16 4349
230 덧술시기... [1] 2008-08-09 4615
229 삼지구엽주 ? 녹야 2008-08-08 5975
228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애주가 2008-08-08 5041
227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476
226 [re]화주(火酒)에 대하여... 酒人 2008-07-28 7679
225 한국에도 화주(火酒)가 있나요? 박보경 2008-07-28 4979
224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2] 酒人 2008-07-27 4231
223 지황주 아시는분? 금은화 2008-07-25 3667
222 복분자식초 만들기 질문 입니다, [1] 녹야 2008-07-15 5455
221 <b>최고의 건강 식초 - 복분자 식초 만들기 </b> [1] 酒人 2008-07-12 16474
220 [re] 답변입니다. ^^ secret 酒人 2008-07-02 578
219 와우. 점점 알수없는 술의 세계.ㅋ secret 아카스아 2008-07-02 554
218 이 더위에도 맛있는술이 담궈 질런지요 [3] 애주가 2008-06-30 4997
217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봇뜰 2008-06-28 5067
216 호산춘 2차덧술 시기? 돌돌이 2008-06-13 5509
215 쑥술을 빚었습니다...^^ file [3] 봇뜰 2008-05-25 4552
214 [re] 어떤술이 나올까요?? file [3] 더블엑스 2008-05-23 4432
213 어떤술이 나올까요?? [3] 더블엑스 2008-05-07 5234
212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6045
211 더블엑스님 보세요. ^^ [1] 酒人 2008-04-15 5028
210 막걸리 현재 상태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file [4] 더블엑스 2008-04-13 6533
209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미루 2008-04-11 5071
208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酒人 2008-04-07 5959
207 쓴술맛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3] 김정옥 2008-04-04 9664
206 막걸리 담는데 온도가 낮아도 되나요? [3] 더블엑스 2008-04-04 14751
205 덧술을 준비하면서 ?? [1] 꽁꽁이 2008-03-03 4916
204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1] 미루 2008-02-24 63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