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미국에서 쌀가루 질문

조회 수 25539 추천 수 0 2012.08.10 09:40:57

안녕하십니까?

 

1년간 미국서 연구하고 있는데 여기서도 술을 빚고 싶습니다.

 

문제는 방앗간이 너무나 멀리 있는 겁니다. 그래서 쌀을 적절히 불린 다음 빻을 수 없습니다.  

 

대책으로  한국 식품점에서 파는 쌀가루를 구입했습니다. 다행히 소금이 안 들어 있는 걸로요.

 

질문은요, 이런 가루 (냉장/냉동 식품 아니라서 물에 불리지 않고 그냥 빻아 놓은 것 같습니다) 사용할때 물의 양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 지 좀 알고 싶습니다.

 

내년 한국에 돌아가서 직접 인사 드릴 때까지....

 

감사합니다.  

 

 


酒人

2012.08.12 10:16:08
*.151.218.8

보통 쌀가루 1kg에 물 3리터의 비율을 맞춰 보세요.
어짜피 쌀가루는 밑술 제조에 이용되니까
밑술 제조에 가장 이상적인 비율이 1:3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밑술에는 물 양이 쌀보다 많아도 되지만
전체 비율은 물 양이 머무 많으면 알코올 도수가 낮아지고
신맛이 강해지기때문에 가능하면 마지막 덧술 할 때
쌀양으로 전체 비율을 맞추시면 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johnfrankl0

2012.08.13 13:17:54
*.228.201.155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술이좋아

2012.09.15 07:13:23
*.137.220.60

불패주를 담그면서 한국식품점에서 판매되는 쌀가루를 사용 했던적이 있습니다.
쌀가루 1.6kg 에 끓는 물 6 리터를 조금씩 넣고 범벅을 만들때
아주 힘들었든 기억이 생생합니다. 부피도 상당히 늘었지만, 거의 떡과
같은 수준이어서 주걱으로 뒤집을 때 그릇과 범벅 전체가 같이 움직여
애를 먹었습니다. 할 수 없이 끓는 물을 0.8 리터를 더 넣었더니, 여전히
뻑뻑했지만, 범벅 같이 보였고 쌀가루가 골고루 잘 섞여졌습니다.
쌀가루 1.6kg, 끓는 물 6.8 리터가 사용되었습니다. 밑술과 덧술을 하면서
0.8리터씩 더 넣은 것은 전체 물양을 계산할 때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결과는 실패도 없이 처음으로 맛있는 술을 빚었든 기억이 있네요..ㅎㅎ

식품점의 쌀가루는 수분함량을 따로 표시는 하지 않았아서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그 손의 느낌은 굉장히 마른 상태였고 입자도 굵었던 것 같습니다.
쌀을 물에 불리면 약 25 - 30% 수분함량 증가하고 이런 쌀로 쌀가루를 내면,
수분함량이 쌀보다 높은 쌀가루가 만들어 지며, 이러한 쌀가루가 전통 가양주
술빚기에 사용 된 것이죠. 그래서 마른 쌀가루(판매용)를 밑술이나 덧술에 사용할 때는
제조법의 물 양보다 약 30%를 더 넣어셔야 앞뒤가 맞는 것 같습니다.(개인적 소견)

쌀가루 대신...
쌀을 불려서 믹서기에 넣어 최대한 가늘게 갈아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죽도 아닌 것이, 범벅도 아닌 것이...그런 상태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1 글을 읽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남깁니다 [1] 레오몬 2020-05-03 3940
680 쌀 누룩 질문 [5] 택현 2020-10-19 3940
679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942
678 멥쌀술 질문이요 [1] [1] 반애주가 2012-08-13 3945
677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3946
676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3946
675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3951
674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이화곡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mekookbrewer 2020-06-28 3951
673 질문을 자주해서 죄송 [3] 우리술이좋아 2009-11-10 3953
672 실패한것 같습니다. 오야봉 2009-03-14 3955
671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shosho 2019-07-19 3955
670 솔잎으로 누룩을 만들어도 되나요? [1] 새로미 2010-03-01 3966
669 누룩에 곰팡이가 피었어요ㅠ [1] 스투찌 2014-03-17 3968
668 삼양주 1차 덧술 후 신맛 [2] 꺄초쇌두 2024-03-06 3973
667 [질문 2]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2] 초초보 2014-02-13 3979
666 감향주3 만들기에 도전했습니다...주인님의 시간좀 뺏을게요.. [3] 바보 2013-02-02 3983
665 호산춘...배우고나서 첫 실험 올겨울은 술을 두번 담구고 끝? 세번으로 ㄱㄱ [1] 창힐 2014-02-24 3985
664 맑은 술 증류 후 [3] 방구석신선 2023-02-06 3985
663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3986
662 전통주 기초강의 1. 술이란 酒人 2006-03-17 3988
661 초보 질문입니다. [1] 김경희 2007-01-15 3988
660 연잎주 질문? [3] 오렌지컴 2014-10-03 3997
659 <b>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b> 酒人 2006-12-12 3998
658 술독 입구 봉하는거요,, [2] 산우 2007-04-27 3998
657 전통주 청주와 탁주 사용법 [2] mekookbrewer 2020-09-12 4017
656 정신없이 글을 쓰다보니... [2] 酒人 2006-03-03 4019
655 이양주를 해보는 중입니다 궁금한것이 있어서요 [2] 수오기 2014-09-26 4026
654 재료의 양에 따라 발효기간이 차이가 있는지요? [5] 보리콩 2010-06-13 4029
653 초일주 또 질문입니다...^^;; [2] 투덜이 2012-06-11 4030
652 보쌈이 무엇인가요 [1] 무등산 2018-04-12 4034
651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오씨 2018-12-01 4035
650 [re] 답변입니다. [5] 酒人 2006-08-02 4042
649 증류에 관해 질문요 [1] [1] 바커스 2012-05-12 4043
648 누룩투입시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3-08 4046
647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050
646 책에 나와있는 "류가향" 은 어떤 술인가요? [2] 허주영 2014-08-10 4052
645 쌀 종류에 따른 술맛이 궁금합니다. [2] 오렌지컴 2014-09-23 4053
644 막 초보입니다. 덧술이후 술 거를 시기에 대하여 문의합니다. file [2] 막걸남 2010-09-19 4057
643 현미 쌀 타피오카 절감 등의 전분가 file 酒人 2006-04-27 4058
642 주안님에 맛이 독한 술 처리법을 읽어보고... [2] 오렌지컴 2014-09-13 405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