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조회 수 5323 추천 수 0 2012.04.22 23:09:31

 

酒人님~~

안녕하세요~!

여쭐게 있답니다.^^

 

술독의 자료를 토대로 몇가지의 술을 담아보고 있답니다.

 

밑술은 두가지 방법으로 만들었는데요.

=>하나는 멥쌀가루를 송편만들때처럼 반죽해서 구멍떡&강원도 감자떡모양으로 빚어서 

끓는 물에 삶아내서 만들었구요.

=>또 한가지는 범벅으로 만들었답니다.

 

근데 술끓는 소리와 거품의 차이가 크네요?

 

현재는 덧술을 한지 일주일이 되어 소리가 사그러들었는데요...

=>범벅밑술로 담은 건...힘이 느껴지기도 하며 오케스트라를 연상케하는 소리가 들리고

=>떡밑술은 파도에 생겨난 포말이 삭아지며 내는 소리랄까?

싸~~하는 균일한 소리가 나요...저음으로..말이죠.

그러면서도 왕성한 활동력이 느껴져요.

 

음..이제부터 질문이랍니다.

같은 멥쌀가루로 만든건데요(차이라면  범벅밑술은 넘치긴 했어요)

근데 끓는 소리가  이렇게 다른 이유가 뭘까요?

그것이 너무 궁굼하구요.

어떤술이 나올지도 궁굼하구요...^^

당도랄까..입안에 감도는 느낌이 이 소리와도 연관이 있는 것일까...하는

궁굼증도 있구요...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꿈 꾸세요...

 

 

 

 ps..

사진을 활성화 할려면 태그만 되나봐요?

어리버리..ㅋ파일로 올렸습니다..

 

 

 범벅밑술-덧술7일경과.jpg 삶은떡밑술-덧술7일경과.jpg

 

 

 


酒人

2012.04.23 03:29:33
*.74.136.95

술 빚는 것을 즐기시네요.^^

잘 보셨어요. 술을 빚어야 소리를 알죠
계속 관찰하다보면 이제는 밑술을 어떤 방법으로 가공했냐를 소리만 들어도
알 수 있을거에요.

술 끓는 소리는 호화도에 따라 다릅니다.

가장 가는 소리를 내는 것은 죽
그 다음이 구멍떡
그 다음이 범벅
그 다음이 고두밥입니다.

입자가 곱고 잘 익을수록(호화도) 곱고 가는 소리가 납니다.
반대로 입자가 굵을수록 거칠고 톡톡 튀는 소리가 납니다.

그런데 소리가 곧 술 맛을 결정하진 않아요. 어떤 방법으로 밑술을 만들던
덧술의 가공방법과 양에 따라 술의 맛과 향에 큰 차이를 가져오기때문입니다.
즐거운 술빚기하세요.~~^^

* 사진을 활성화 하려면 첨부하시고 오른쪽에 본문삽입을 하면 사진이 올라갑니다.
제가 대신 해 드렸어요. ㅎㅎ

바람의딸

2012.04.27 08:13:06
*.185.3.71

아,,그렇군요..답변 감사합니다.^^*
술빚는 묘미가 이 소리에 있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방앗간이 없는 오지에서 동동주 빚는 방법을 찾으려합니다.
맛있는 단술로 많은 량을 내면서 운치있게 밥알이 동동 떠 있는 그런술입니다.
많은 분들의 로망인가요?^^ㅎㅎ

그런술을 빚으려고 하는데 추천해주고 싶은 방법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초보자가 경험으로 터득하기는 어려움이 많네요.^^;

오늘도 酒人님 발걸음마다 행운이 피어나시길 바라면서 즐겁운 하루 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초일주 술 거르기 질문드립니다. file [1]

  • 잉맨
  • 2011-05-15
  • 조회 수 8512

애주-물과쌀비율이.... [1]

누룩 메달아놓기 [2]

  • hedge
  • 2011-04-26
  • 조회 수 5779

흑미주 빚는법... [1]

  • 0심이
  • 2011-04-14
  • 조회 수 7089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 hedge
  • 2011-04-08
  • 조회 수 6567

24일이 지났습니다. [2]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용수를 박았습니다. file

향온주 좀더 두어야 할까요? [2]

향온주 빚을때... file [2]

백국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 두메
  • 2011-01-20
  • 조회 수 6370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끓어 넘치기 일보직전... file [3]

잡내 제거는 어렵나요? [2]

늙은 호박으로 호박주를 담그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1]

  • 강술
  • 2011-01-02
  • 조회 수 6345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 비니
  • 2010-12-15
  • 조회 수 5791

술에 단맛을 더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2]

  • 두메
  • 2010-12-13
  • 조회 수 4058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 비니
  • 2010-12-10
  • 조회 수 3690

술거르는 시기 [1]

항아리 안쪽 표면에 희꽃 공팡이가... [2]

따라하기로 동동주만들기에 대해서 여쭙니다,

  • 단술
  • 2010-12-07
  • 조회 수 4464

누룩 사진 한 번 봐주세요. file [2]

  • 비니
  • 2010-12-06
  • 조회 수 5027

용수냄새가 나서 [1]

  • 고천
  • 2010-12-06
  • 조회 수 3636

주정계

  • 와인
  • 2010-11-24
  • 조회 수 4437

<포도막걸리> 채주해도 될까요 file

술의 신맛잡기3

"銀杏酒" 에 대하여 궁금증을 풀어 주세요

에탄올 만들기! secret [2]

청주 초보입니다. [1]

술의 신맛잡기2 [1]

술의신맛잡기 [1]

[re] 답변입니다. [1]

  • 酒人
  • 2010-10-17
  • 조회 수 3551

물관련질문입니다.

답변주셔서감사~!!!

  • 0심이
  • 2010-10-03
  • 조회 수 2621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 0심이
  • 2010-09-30
  • 조회 수 3522

멥쌀주의 맛

  • 행유
  • 2010-09-23
  • 조회 수 3423

막 초보입니다. 덧술이후 술 거를 시기에 대하여 문의합니다. file [2]

향기와 맛은 따로 국밥인가요? [1]

덧술 시기는요?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