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조회 수 6157 추천 수 0 2012.03.12 19:42:00

안녕하십니까 ?

 

이제 날도 풀리고 해서 술 빚는 계절이 왔습니다.

그래서 저도 막걸리를 한번 만들어 볼까합니다.

지난번에 밥으로 술을 빚으면 ?... 하고 질문 드렸는데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이번에는 밥으로 막걸리를 만들어 보고 싶은데요....물의양을 어떻게 해야할지....

밥을할 때ㅡ이미 쌀의양과 거의 같은 양의 물이 들어 가게 되는데....

물을 전혀 추가하지 않으면 교반하기가 너무 힘들 것 같아서요.

 

저는 밑술부터 밥으로 해서ㅡ 삼양주로 담아 보고자 합니다...

밑술은 추가급수 없이도 어떻게 해보겠는데 (석임 만들듯이 잘 치대면 되겠는데...)

아무래도 1단, 2단 덧술은 추가급수가 없으면  교반하기가 어려울 것 같아서요...

 

맵쌀 10 Kg으로 ㅡ진하고 걸죽한 막걸리를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회사 회식때 쓸까 해서요...

주인님!!!!   맛있는 막걸리 만들 수 있도록 도움 바랍니다.

 

가능하시다면ㅡ 밑술, 1단, 2단 구분해서 재료의 비율을 알려 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술독의 발전을 바랍니다.

 


酒人

2012.03.20 10:27:08
*.74.136.95

답변이 늦었죠. 회식이 끝난것은 아닌지모르겠네요. ^^
멥쌀로만 빚어지는 술이네요.

밑술

1. 쌀 1kg을 되게(질지 않게) 만들어 여기에 끓는 물 1리터를 부어 25도로 식힙니다.
2. 여기에 누룩 1kg을 넣어 혼합하고 60시간 후에 덧술합니다.

덧술

1. 쌀 4kg을 되게 밥하여 뜨거운 상태일 때, 끓는 물 4리터를 밥에 부어 함께 25도로 식힙니다.
2. 여기에 밑술과 함께 혼합해서 48시간 후에 덧술해요.

덧술2
1. 쌀 5kg을 되게 밥하여 뜨거운 상태일 때, 끓는 물 5리터를 밥에 부어 함께 25도로 식힙니다.
2. 여기에 앞에 빚은 술과 혼합하여 정확히 10일 후에 걸러 맛있게 드세요. ^^


추신 : 맵쌀 -> 멥쌀, 담금 -> 덧술

아리랑

2012.03.20 11:06:17
*.223.222.190

감사합니다. 많이 바쁘셨나 봅니다.
회식 일정때문에 일단 고두밥으로 진행중 입니다.

비율을 보면, 고두밥으로 만들때와 같은 비율이 되겠네요?

1. 밥을 되게 한다고 해도 고두밥보다는 물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데...1:1의 비율로도 제가 원하는 진하고 걸죽한 막걸리가 될까요?

2. 저도 그렇지만 대부분 누룩취를 싫어하는데...10%의 누룩양은 누룩취의 거부감을 해소하기에는 조금 많지 않나 싶은데요...막걸리 담금시의 석임 활용법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누룩양을 조금이라도 줄여볼까 싶어서요...

ㅡ일교차가 심합니다. 환절기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酒人

2012.03.20 11:35:25
*.74.136.95

1. 누룩취는 누룩이 좋으면 누룩취도 덜나게 됩니다. 그리고 밑술과 덧술 제조 후에
누룩을 걸러내고 마지막 술을 하면 누룩취를 줄일 수 있겠죠.

2. 누룩을 적게 넣으면 누룩취는 덜 하겠으나 일반적인 누룩은 곡물양에 맞게 넣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1kg을 사용하시고 밑술이나 덧술시 거름망에 걸러 누룩찌꺼기를 걸러
주시고 덧술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나중에 술이 다 됐을 때, 누룩내가 너무 많이 나면 좀 더 줄여 술 빚는 방법을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서김을 사용하신다면, 마지막 덧술할 때 넣는 것이 가장 좋겠고요.
밥 1kg에 누룩 100g을 혼합해 1-2일 발효시키고 이것을 덧술할때 함께 혼합하여 넣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멋진 술 빚으세요. `~^^

아리랑

2012.03.21 10:46:38
*.223.222.190

감사합니다..말씀하신대로 해보겠습니다..
그런데, 밥으로 빚을때도 쌀:물을 1:1로 해도 진하고 걸죽한 술이 될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63 안녕하세요! 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ㅡ^ㅋ [3] 한국인 2007-03-25 3637
162 진행과정 보고 [1] 신원철 2007-03-25 3666
161 술 색깔을 맑고 투명하게 만들려면요.. [2] 봄날은간다 2007-03-23 4658
160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4074
159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983
158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5028
157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9244
156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666
155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5100
154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408
153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730
152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878
151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700
150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828
149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645
148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273
147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990
146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696
145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674
144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728
143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186
142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707
141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5044
140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547
139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862
138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893
137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2544
136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749
135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664
134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9612
133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643
132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4209
131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848
130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4131
129 싸레기 쌀 문의 [1] 대암 2007-01-30 4992
128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3089
127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4024
126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628
125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3200
124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48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