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조회 수 5623 추천 수 0 2023.03.21 23:51:24

1. 쌀의 침지시간. 탁약주개론으로 보았을때에는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3시간을 권장하고 급할때에는 2시간도 상관이 없다고 나와있는데 최근에 그 시간은 도정이 많이 된 일본의 니고리자케를 만드는 방식에서의 쌀 침지시간이고 한국의 탁주를 만들때에는 일반적으로 도정된 쌀을 사용하기 때문에 침지 시간을 더 잡아줘야 한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혹시 이게 맞다면 몇시간이 너무 길지도 짧지도 않은 이상적인 시간이 될까요. 쌀의 침지시간이 길어지면 다른 잡균이나 미생물이 번식하는게 우려됩니다.


2. 와인을 만들때에는 건조된 효모를 재수화 해서 사용하는게 일반적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혹시 누룩에도 그러한 과정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누룩양 대비 몇% 정도의 물 양인지와 몇도의 물에 어느정도의 시간동안 풀어두는게 좋을까요


3. 밀로 만들어진 탁주와 쌀로 만들어진 탁주가 맛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와 보리? 혹은 맥아로도 가능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4. 평소 12L 사이즈의 유리병에 에어락을 꽂고 가양주를 만드는데 냉장숙성 과정에서 병의 높이 때문에 냉장고의 칸막이를 2개정도 빼고 넣어두곤 합니다. 냉장고 공간 차지가 많고 불편함이 느껴져서 발효조 사이즈를 줄이려고 하는데 여기서 두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한번 탁주를 만드는데 '이정도 양은 만들어야 제대로 만들수 있다' 하는 최소치가 있을까요? 예로 1L정도를 만든다면 너무 적어서 발효에 문제가 생긴다던가 하진 않을까 해서요. 그리고 평소에 항상 스테인리스, 유리, 실리콘으로 된 도구들만 사용해서 가양주를 만들어왔는데 플라스틱 발효조는 좋지 않은걸까요?


5. 재래누룩은 당화력이 높지 않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무증자용 누룩을 이용해서 부족한 당화력을 보충하는 방법을 시도했었는데 혹시 맥아로 대체를 해도 가능한걸까요? 당화과정의 대부분은 맥아에 맡기는 식으로 간다면 쌀이나 누룩, 물양 대비 몇%정도의 양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6. 탁주에 가향을 하고 싶은 경우 어느 시점에 넣는게 가장 재료의 향을 많이 이끌어낼수 있을까요. 


7. 탁주 양조중 소량의 밀가루를 넣어주게 되면 좀 더 건강한 발효를 꾀할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 경우 이유는 뭔지, 어느 시기에 전체 재료 대비 몇% 정도가 적당한지와 어떻게 넣어줘야 하는지(가루 상태 혹은 물에 풀어서)가 궁금합니다!


누룩

2023.03.23 20:13:41
*.234.113.35

추천
1
비추천
0

1. 쌀의 침미시간에 따라 맛의 차이는 있지만 장기간 침미만 아니면 크게 신경쓰일 정도는 아닙니다. 저희 교육의 경우에는 멥쌀은 3시간 정도 찹쌀은 7시간 정도로 보통 불리는데 (멥쌀 수분량, 찹쌀 수분량이 다르므로) 보통 물의 온도가 찬 겨울이 아니면 이렇게 진행해도 큰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2. 건조효모를 사용할때는 건조되어 있는 효모를 활성화하기 위해 재수화를 하지만 누룩의 경우에는 법제(햇볕이 좋은 날 바람이 통하게 하여 분술물 제거하는 과정)가 잘 되어 있는 경우에 물에 풀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단양주를 빚을 경우에는 수곡이라는 방법을 통해 술을 빚는 경우는 있습니다.


3. 밀과 쌀 탁주의 차이로는 우선 색깔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밀=좀더 아이보리색, 쌀=흰색) 질감의 차이(밀막걸리는 쌀막걸리에 비해 텁텁) 등등 이 있습니다. 또한 당연히 보리로 빚은 탁주, 수수, 밀 등등 곡물의 종류에 따라 향이나 질감의 차이가 있습니다.


4. 탁주를 제조하고 저온 숙성을 진행할 때에는 보통 용기를 바꿉니다. 술을 빚었던 용기를 덧술까지 진행하고 술이 익을때까지 둔 다음에 술을 거르고 용기를 바꿔 저온숙성을 거치게 됩니다. 보통 가양주할때는 술이 익을때까지 기다렸다가 술을 거르고 1L 나 2L 페트병에 거른술을 넣고 저온숙성을 하게 됩니다.


5. 당화력이 다른 당화제에 비해 낮더라도 재래누룩으로도 충분히 우리술을 빚을 수 있습니다. 만약 그 누룩의 당화력이 낮다면 당화제를 넣을 수 있지만 굳이 안하시더라도 법제를 잘하였거나 잘 띄운 누룩이라면 충분히 당화가 이루어집니다. 흔히 말하는 효모, 효소제를 넣는 경우는 상업적으로 탁주를 제조해야하는 경우(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좀 더 편한 관리를 위해 사용합니다. 맥아로는 해본 적이 없어 모르지만 당화력이 좀 딸렸다면 맥아를 추가적으로 넣어 해보시는 것도 좋은 경험일 듯 합니다.


6. 탁주의 가향을 하는 시기는 대부분이 술이 거의 다 익어갈 쯤 가향을 하거나 술을 걸러 저온숙성을 할때 가향을 많이 합니다. 술이 다 발효가 되지 않은 시점에서 가향을 하게 되면 발효과정에 가향의 향이 많이 손실할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술이 거의 익어 발효가 끝날 때쯤 ~ 술을 걸러 저온숙성을 할때 하시면 원하시는 향을 입히실 수 있습니다.


7. 우리가 술을 빚을 때 밀가루를 넣는 이유는 밀가루에는 효모와 젖산균이 있는데 술을 빚을 때 효모는 술을 발효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젖산의 경우는 젖산균이 술의 pH를 높여 약산성화가 되게 만들어주고 이로 인해 잡균을 증식하는 것을 억제해주기 때문에 술을 안정적으로 발효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보통 밀가루를 넣는 비율은 들어가는 누룩의 양의 30% 정도 넣어줍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지만 혹시나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1 문의 드립니다 [1] 녹야 2009-10-14 3361
120 삼양주 담갔습니다. [2] 미얄 2014-09-30 3355
119 항아리 내부가 너무 조용합니다 [1] 해난 2010-05-13 3355
118 진상주 문의 드립니다. [4] 술향 2010-01-27 3346
117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346
116 막걸리를 만들고싶어요 [1] 새벽바람 2010-02-14 3341
115 酒人님께 여쭙니다. [1] 갈매기 2010-01-04 3340
114 또 질문합니다. [2] 고망고망 2009-08-18 3335
113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34
112 삼양주 빚는중에 나는 향 [2] mekookbrewer 2020-06-20 3332
111 이스트?효모영양제 사용방법및 시기 문의 [1] 호박654 2020-07-24 3330
110 문의드립니다. [1] 나무그늘 2009-10-22 3325
109 주인님이 못봐서 지나간 질문. 3 [2] 민속주 2012-06-24 3313
108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307
107 삼백주가 궁금합니다. [3] 허허술 2009-12-22 3306
106 술 량이 적은것 같아서요~ [2] 두메 2010-02-05 3303
105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297
104 막걸리 이양주 진행상황 검토부탁 드립니다. [1] Emiju 2020-05-24 3286
103 훗~^^ 궁금증 좀 풀어주세요~ 어화둥둥 2007-06-02 3279
102 혹시.. 전통주 배우는 프로그램은 없는지요...? 이선아 2008-10-01 3275
101 서태를 포함한 7곡으로 범벅하여 밑술하였는데.. 솔버덩 2010-04-10 3270
100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265
99 끓인물과 그렇치 않은 물의 차이가 있나요? [1] 잠자는뮤 2019-04-08 3264
98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258
97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256
96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238
95 물에 담근 누룩 어떻게 하나요? [1] 눈사람 2010-03-05 3220
94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218
93 삼양주방식으로 빚는 복분자주 질문 드립니다 [4] 나라랑 2024-01-24 3217
92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212
91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212
90 감주에 대한 질문이요~ [1] 도리버섯 2016-05-26 3207
89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3203
88 누룩 띄울 때 꽃을 넣을 수 있나요? 민속주 2012-06-23 3188
87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187
86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185
85 자료 요청합니다. [1] [3] 엄대장 2012-12-17 3184
84 [re]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2] 酒人 2007-01-01 3184
83 약전에 관하여(이한수님의 질문입니다. ) 酒人 2006-10-31 3184
82 문의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3-21 318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