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조회 수 5672 추천 수 0 2023.03.21 23:51:24

1. 쌀의 침지시간. 탁약주개론으로 보았을때에는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3시간을 권장하고 급할때에는 2시간도 상관이 없다고 나와있는데 최근에 그 시간은 도정이 많이 된 일본의 니고리자케를 만드는 방식에서의 쌀 침지시간이고 한국의 탁주를 만들때에는 일반적으로 도정된 쌀을 사용하기 때문에 침지 시간을 더 잡아줘야 한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혹시 이게 맞다면 몇시간이 너무 길지도 짧지도 않은 이상적인 시간이 될까요. 쌀의 침지시간이 길어지면 다른 잡균이나 미생물이 번식하는게 우려됩니다.


2. 와인을 만들때에는 건조된 효모를 재수화 해서 사용하는게 일반적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혹시 누룩에도 그러한 과정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누룩양 대비 몇% 정도의 물 양인지와 몇도의 물에 어느정도의 시간동안 풀어두는게 좋을까요


3. 밀로 만들어진 탁주와 쌀로 만들어진 탁주가 맛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와 보리? 혹은 맥아로도 가능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4. 평소 12L 사이즈의 유리병에 에어락을 꽂고 가양주를 만드는데 냉장숙성 과정에서 병의 높이 때문에 냉장고의 칸막이를 2개정도 빼고 넣어두곤 합니다. 냉장고 공간 차지가 많고 불편함이 느껴져서 발효조 사이즈를 줄이려고 하는데 여기서 두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한번 탁주를 만드는데 '이정도 양은 만들어야 제대로 만들수 있다' 하는 최소치가 있을까요? 예로 1L정도를 만든다면 너무 적어서 발효에 문제가 생긴다던가 하진 않을까 해서요. 그리고 평소에 항상 스테인리스, 유리, 실리콘으로 된 도구들만 사용해서 가양주를 만들어왔는데 플라스틱 발효조는 좋지 않은걸까요?


5. 재래누룩은 당화력이 높지 않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무증자용 누룩을 이용해서 부족한 당화력을 보충하는 방법을 시도했었는데 혹시 맥아로 대체를 해도 가능한걸까요? 당화과정의 대부분은 맥아에 맡기는 식으로 간다면 쌀이나 누룩, 물양 대비 몇%정도의 양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6. 탁주에 가향을 하고 싶은 경우 어느 시점에 넣는게 가장 재료의 향을 많이 이끌어낼수 있을까요. 


7. 탁주 양조중 소량의 밀가루를 넣어주게 되면 좀 더 건강한 발효를 꾀할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 경우 이유는 뭔지, 어느 시기에 전체 재료 대비 몇% 정도가 적당한지와 어떻게 넣어줘야 하는지(가루 상태 혹은 물에 풀어서)가 궁금합니다!


누룩

2023.03.23 20:13:41
*.234.113.35

추천
1
비추천
0

1. 쌀의 침미시간에 따라 맛의 차이는 있지만 장기간 침미만 아니면 크게 신경쓰일 정도는 아닙니다. 저희 교육의 경우에는 멥쌀은 3시간 정도 찹쌀은 7시간 정도로 보통 불리는데 (멥쌀 수분량, 찹쌀 수분량이 다르므로) 보통 물의 온도가 찬 겨울이 아니면 이렇게 진행해도 큰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2. 건조효모를 사용할때는 건조되어 있는 효모를 활성화하기 위해 재수화를 하지만 누룩의 경우에는 법제(햇볕이 좋은 날 바람이 통하게 하여 분술물 제거하는 과정)가 잘 되어 있는 경우에 물에 풀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단양주를 빚을 경우에는 수곡이라는 방법을 통해 술을 빚는 경우는 있습니다.


3. 밀과 쌀 탁주의 차이로는 우선 색깔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밀=좀더 아이보리색, 쌀=흰색) 질감의 차이(밀막걸리는 쌀막걸리에 비해 텁텁) 등등 이 있습니다. 또한 당연히 보리로 빚은 탁주, 수수, 밀 등등 곡물의 종류에 따라 향이나 질감의 차이가 있습니다.


4. 탁주를 제조하고 저온 숙성을 진행할 때에는 보통 용기를 바꿉니다. 술을 빚었던 용기를 덧술까지 진행하고 술이 익을때까지 둔 다음에 술을 거르고 용기를 바꿔 저온숙성을 거치게 됩니다. 보통 가양주할때는 술이 익을때까지 기다렸다가 술을 거르고 1L 나 2L 페트병에 거른술을 넣고 저온숙성을 하게 됩니다.


5. 당화력이 다른 당화제에 비해 낮더라도 재래누룩으로도 충분히 우리술을 빚을 수 있습니다. 만약 그 누룩의 당화력이 낮다면 당화제를 넣을 수 있지만 굳이 안하시더라도 법제를 잘하였거나 잘 띄운 누룩이라면 충분히 당화가 이루어집니다. 흔히 말하는 효모, 효소제를 넣는 경우는 상업적으로 탁주를 제조해야하는 경우(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좀 더 편한 관리를 위해 사용합니다. 맥아로는 해본 적이 없어 모르지만 당화력이 좀 딸렸다면 맥아를 추가적으로 넣어 해보시는 것도 좋은 경험일 듯 합니다.


6. 탁주의 가향을 하는 시기는 대부분이 술이 거의 다 익어갈 쯤 가향을 하거나 술을 걸러 저온숙성을 할때 가향을 많이 합니다. 술이 다 발효가 되지 않은 시점에서 가향을 하게 되면 발효과정에 가향의 향이 많이 손실할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술이 거의 익어 발효가 끝날 때쯤 ~ 술을 걸러 저온숙성을 할때 하시면 원하시는 향을 입히실 수 있습니다.


7. 우리가 술을 빚을 때 밀가루를 넣는 이유는 밀가루에는 효모와 젖산균이 있는데 술을 빚을 때 효모는 술을 발효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젖산의 경우는 젖산균이 술의 pH를 높여 약산성화가 되게 만들어주고 이로 인해 잡균을 증식하는 것을 억제해주기 때문에 술을 안정적으로 발효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보통 밀가루를 넣는 비율은 들어가는 누룩의 양의 30% 정도 넣어줍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지만 혹시나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41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337
440 밑술범벅을 현미찹쌀로 할 경우 [1] 산에살다 2014-09-30 4336
439 <b>술 제조해서 팔다 걸리면 어떻게..??</b> [1] 酒人 2006-07-06 4336
438 이런 경우도 가능할까요? [1] 둘레길 2013-07-19 4329
437 덧술 시기가 궁금해요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06-18 4324
436 청주가 생기지 않습니다. [2] 걷는바람 2013-11-06 4322
435 밤막걸리 제조 레시피 [1] 마라탕 2020-11-23 4320
434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4317
433 호산춘 도전중 .. [2] 장락 2013-03-10 4317
432 삼양주 범벅 질문입니다 file [1] 레오몬 2020-02-13 4313
431 덧술한지 일주일이 조금 넘었습니다.. file [1] 루덴스 2019-05-20 4313
430 [re] 답변입니다. ^^ [2] 酒人 2008-12-12 4304
429 덧술 상태좀 봐주세요 ㅠㅠ file [1] synop 2015-06-12 4300
428 막거리 레시피 한번 봐주세요 [1] 오렌지컴 2014-10-02 4299
427 누룩과 고두밥 또는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내사랑 2008-11-04 4292
426 소주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3] 두메 2009-01-23 4285
425 삼양주 발효 상태와 채주 시기 문의드립니다. file [3] 와이즈먼 2023-11-20 4281
424 침출주를 증류하면... [2] 김기욱 2006-06-16 4280
423 석탄주 밀봉 방법에 대해 (에어락) 질문입니다 ㅜ [1] 호박654 2020-04-16 4278
422 주경야독? [2] 농부의 아내 2009-03-21 4267
421 불패주와 미생물에 대한 문의 내사랑 2008-10-10 4265
420 발효통 크기 정하는법 [1] 반애주가 2013-02-04 4263
419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262
418 덧술할 고두밥에 물을 섞을때와 그냥 넣을때의 차이점.. [2] 나이스박 2014-03-22 4262
417 오래된 침출주 버리기가 아까운데 [1] 상갑 2008-10-31 4257
416 술이 이상합니다. [3] 비설 2008-12-18 4256
415 [re] &lt;b&gt;도토리술 제조법&lt;/b&gt; 호정 2007-10-25 4252
414 [re] 어떤술이 나올까요?? file [3] 더블엑스 2008-05-23 4250
413 첫 작품 호산춘 때문에 ....... ^^ [1] 장락 2013-04-25 4245
412 용수를 박으면 튀어 올라오는데요..... [4] 고망고망 2009-08-21 4245
411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237
410 씨앗술로 이양주~ [1] 산에살다 2015-05-23 4235
409 빚어야하는 술^^ [1] 술과 함께.. 2007-09-15 4233
408 <b>설날에 먹을 삼양주 "호산춘"입니다.</b> [2] 酒人 2007-01-04 4232
407 식초와 막걸리 걸음후 관리에 대해서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4-15 4228
406 당과 알코올 도수의 차이 [1] 민속주 2012-08-31 4228
405 국내산 쌀과 외국산 쌀로 빚은 술의 차이? [1] 아랫마을 2010-03-27 4226
404 현미찹쌀로도 술을 빚을 수있나요? [2] 새로미 2010-01-24 4226
403 술빚기 Q&A. 5페이지 "379. 청주를 거르고 난 후"에서 질문 글.. [2] [3] 민속주 2012-08-31 4225
402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2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