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맑은 술 증류 후

조회 수 3994 추천 수 0 2023.02.06 01:55:50

술 빚기를 하다보니 전통소주에도 관심이 가게 되어 단양주를 빚은 후 잘 가라앉혀 맑은 술 6L를 떠 낸 후 (술맛도 아주 좋았습니다. 증류하기 아까울정도..)

술을 상압식으로 90도의 온도로 증류를 통해 약  1.6리터를 증류해냈습니다 (900ml의 63도 아주 맑은 본류소주, 700ml의 약간 탁한 43도짜리 소주) 


궁금점은 여기서부터 발생했습니다. 시중에 판매하는 여타 다른 증류식 소주들은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쌀, 물, 누룩을 이용한) ex. 화요, 토끼 등등

향이 있습니다. 달큰하거나 특유의 향이  물론, 전문 양조장들만의 비법이 있겠지만 

그래도 흉내라도 낸 제 소주에서는 왜 과학실에서나 맡을수있는 에탄올 냄새밖에 나지 않는지요..

궁금해서 박재서 명인의 안동소주를 사서 먹어보니 맛이 비슷한거 같기도 하고.. 제가 만든건 확실히 이쪽이랑 비슷하더라구요. 

맛이 좀 거칠고 알콜향이 강한.. (박재서 명인의 안동소주가 나쁘다는게 아닙니다.. )


알아보니 보통 대부분의 소주를 만드는 양조장에선 유약을 바르지않은 옹기에다 숙성을 하던데 그게 맛의 비밀이었을까요

어디를 찾아봐도 못찾겠어서 이렇게 자문을 구합니다. 


Q1. 제 소주는 왜 향이 없는가 


Q2. 숙성을 통해 생길 수 있는건가요 



누룩

2023.02.07 15:49:13
*.234.113.35

추천
1
비추천
0

안녕하세요. 한국가양주연구소입니다.


Q1. 제 소주는 왜 향이 없는가 

A1 : 증류식 소주를 내릴 때 소주의 향은 대부분 증류할 술의 향이 나게 됩니다.

따라서, 증류할 술의 향이 어떤 향이 나는지에 따라 증류되는 술의 향이 결정되지요!

또한, 증류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술은 술을 가열했기 때문에 나는 가열취가 나게되고, 증류할 술의 지게미가 있다면 탄내도 

고스란히 넘어오게 됩니다. 그래서 증류주는 증류하고 나서 탈기와 숙성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지요!


Q2. 숙성을 통해 생길 수 있는건가요 ?

옹기에 유약을 바르고 바르지 않고에 따라 분명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전에 탈기과정을 충분히 하셨는지 숙성을 얼마나 오래 했는지에 따라

가열취 화한 향이 나오는 것들은 충분히 없앨 수 있고 부드러운 맛을 가진 증류주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방구석신선

2023.02.13 20:05:02
*.25.30.245

누룩님 감사합니다 저는 술을 증류 후 밀폐된 유리병에 담아 뒀는데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곳에 넣고 시간을 가져봐야겠습니다 ! 

누룩

2023.02.14 21:08:07
*.234.113.35

네^^ 유리병에 숙성을 하신다면 몇일 동안은 뚜껑을 열어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휘발한다고 하는데 그렇게 눈에 띄게 휘발되지는 않으시니 걱정하지 마시고 충분히 탈기과정을 거치시면 더욱 좋은 향이 나오실 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61 술 색깔을 맑고 투명하게 만들려면요.. [2] 봄날은간다 2007-03-23 4539
160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3925
159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840
158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4815
157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8709
156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65
155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4904
154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200
153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549
152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678
151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528
150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664
149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489
148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085
147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862
146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65
145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511
144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520
143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050
142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548
141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4780
140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66
139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740
138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766
137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2025
136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57
135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78
134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9109
133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456
132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3986
131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662
130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944
129 싸레기 쌀 문의 [1] 대암 2007-01-30 4752
128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2924
127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75
126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468
125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3029
124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322
123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743
122 바닥 찌꺼기를 [1] 박창수 2007-01-16 36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