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조회 수 8079 추천 수 0 2021.01.05 23:43:41

안녕하세요. 

쌀1 : 물 1.2의 비율로 이양주를 담궜습니다. 그런데 현재 덧술한지가 2주가 되었는데 이번에는 발효중에 중간에 층이 생기지 않고 바로 맑은 물이 위쪽에 살짝 고인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이제 나오지 않고 술향도 잘 나며 맛도 좋으나 보통 3주정도 지나야 거름을 하고 이보다 맑은 물도 더 고이는데 이미 발효가 끝난 것으로 보여 술을 거르는 것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알코올 도수를 최대로 끌어올리고 청주를 많이 얻기 위해 발효가 완전히 끝났을때 술을 거르고 싶은데 현재 상태라면 거르는 것이 맞을까요?


맑은 술이 많이 나오지 않는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일까요? 누룩이 부족했을까요? 누룩은 쌀2kg 기준 170g 사용했습니다. 지난번 200g 넣었는데 누룩취가 있는 것 같아 조금 줄였거든요. 


참고로 제가 사는 지역은 동남아시아로 습도가 높고 실내온도도 약 26도 정도로 유지되어서 온도가 조금 높은 편입니다.

도움 부탁 드립니다. 




Blues

2021.01.06 22:23:17
*.195.62.43

저와 같은 이양주에 도전 중이시네요.

저도 처음인데, 저 같은 경우엔 층이 분리가 계속 되고 있어요, 그래서, 최종적으로 맑은 술이 떠오르는 시점까지 기다리고 있습니다. (현재, 마지막 덧술 후, 9일 경과, 1주 정도 더 기다릴 예정입니다~~)

또한 다른 점은 저 같은 경우는 전통 누룩 기준으로 쌀 1KG에 누룩 0.1KG으로 사용해도 이양주는 시기가 중요한 것 같은데, 누룩에서 효소가 일하는 것과 효모의 생성을 정확하게 맞추는게 너무 힘든 것 같아요.

선생님이 제시한 레시피는 쌀에 비해 누룩의 양이 살짝 부족한 것 같은데, 이런 밸런스를 맞추려면 아무래도 삼양주 이상으로 가야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구요.

이상, 전통주 초보의 의견입니다.

--------------------------------

아무래도, 전통주 전문가님들의 조언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도원

2021.01.07 11:44:02
*.149.116.45

맑은 술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고두밥이 제대로 쪄지지 않았다거나, 과발효가 되었거나, 아직 발효 중이거나, 효모부족이거나
원인는 정말 다양합니다.

중간에 층이 생기지 않은 것은 쌀의 종류에 따라 종종 발생하는거구요.
고두밥이 제대로 안 쪄져서 호화가 제대로 안 되었을때도 그렇고,
층이 생기지 않고 바로 위에 맑은 청주가 뜨는 경우도 많아요.

과정이나 사진 같은 자료가 정확하지 않으면 원인 파악이 어렵습니다.

발효 기간이 어느 정도 되었다면 걸러서 냉장 보관으로 숙성시키며 청주가 분리되고 맛이 좋아지길 기다리는 수 밖에 없을거 같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963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酒人 2005-09-06 5394
962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6170
961 누룩만으로 술이 될까? 酒人 2006-01-12 5129
960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521
959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酒人 2006-01-12 5242
958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5099
957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8571
956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65
955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4947
954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747
953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314
952 정신없이 글을 쓰다보니... [2] 酒人 2006-03-03 4139
951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100
950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579
949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882
948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938
947 전통주 기초강의 1. 술이란 酒人 2006-03-17 4095
946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627
945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913
944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7105
943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312
942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酒人 2006-03-18 5225
941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725
940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318
939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416
938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4967
937 술빚기 기초강의 2. 도구의 선택 酒人 2006-04-04 4203
936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240
935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629
934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243
933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511
932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9471
931 질문 드립니다. [2] 김강훈 2006-04-24 4643
930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4043
929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484
928 현미 쌀 타피오카 절감 등의 전분가 file 酒人 2006-04-27 4196
927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5069
926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1673
925 전통주 중급강의 1. 효모의 증식과 발효. 酒人 2006-05-04 4208
924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60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