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조회 수 6859 추천 수 0 2020.12.25 12:30:56

안녕하세요!

현재 집에서 열심히 술을 만들고 있는 초보입니다.^^;


- 밑술(범벅): 맵쌀가루 1.25kg 물 3L 누룩500g

- 덧술1(범벅): 맵쌀가루 1.25kg 물 2.4L 누룩50g(원래 물3L넣으려 하였으나 범벅이 물처럼풀어져서.. 물량을 줄임)

- 덧술2: 찹쌀 5kg

(이때 고두밥 찹쌀+밑술을 2개의 용기에 나누어 넣고

1번용기는 오디500g / 2번용기는 솔잎300g를 추가로 넣어

술을 만들었습니다.)

- 방온도: 25.8도- 26.3도


현재 2차덧술 후 19일째입니다.

맑은술이 위에 떠서 완성된 것으로 판단은 됩니다.


여기서 추가로 궁금한점 있습니다.


1) 현상태유지하에서 1달정도 그대로 더 두어도 될까요? 장맛이 날수도 있다는 글도 보았고,, 깊은 향과 맛이 난다라는 내용도 본적이 있어서... 햇갈립니다..

물론 현상태에서 걸러도 되겠지만,, 한달정도 더 이상태로 두어도 상관없을까요??


2) 1번에 이어서 술을 냉장숙성을 시키려고 하는데,

술항아리 채로 냉장보관하는 것은 어떨까 궁금합니다.

전엔 술을 거르고 병입하여 냉장보관하였는데.. 

항아리채로 냉장보관하는건 어떨까요? 

걸러서 병입하는것보다 술의 맛과 향이 더 좋을지.. 


아직 많은것이 궁금한 초보입니다ㅜㅜ

따뜻한 답글 부탁드립니다.


도원

2020.12.25 19:41:20
*.149.116.45

1) 거르는 시기는 정말 중요합니다. 누룩과 곡물의 종류도 술의 맛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지만, 거르는 시기 또한 맛이 결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거든요.
술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당이 알콜로 변하는게 가장 중요한 과정이긴 하지만, 곡물에 전분, 당만 있는게 아니지요? 단백질과 지방도 함께 존재 합니다. 이 단백질과, 지방이 분해되면서 안 좋은 맛이 나는 겁니다.
너무 빠르게 거르면 당이 알콜로 다 변하지 않게 되고, 너무 늦게 거르면 단백질과 지방이 분해 되어 안 좋은 맛이 나기 시작합니다.
상온에서 계속 발효를 하게 되면 잔존하는 당이 다 발효되어 더 이상 분해할 당이 없어지거나, 알콜 도수의 상승으로 효모가 사멸 하여 발효가 멈추게 됩니다. 그래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발효 지속은 무의미 해집니다.
청주가 위에 고이기 시작했다는 말은 곡물 속 당이 거의 다 발효되어 곡물 껍데기가 가라 앉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구~~~~~지 한달을 더 발효 한다는 것은 불필요한 맛을 더 내겠다는 얘기가 될거 같네요.

2) 냉장고에 충분한 공간만 있다면 항아리 채로 보관하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산소와의 접촉을 최대한 줄여 산화를 방지해, 맛을 유지 시키는것에 도움이 되거든요.
1)의 질문의 여담으로 이어가자면 거르지 않고 더 발효를 시키고 싶으시면 상온에서 말고 냉장으로 지속하는걸 추천드립니다. 당은 낮은 온도에도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발효되고, 숙성 되지만, 단백질과 지방은 낮은온도에선 분해가 잘 안되거든요!

기분좋게한잔

2020.12.25 21:28:04
*.143.162.155

자세하고도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일단 상온발효는 이제 멈추는게 좋은 것으로 생각되네요.^^
내일 숙성용기 채로 냉장고네 옮겨서 냉장숙성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1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603
120 증류기를 샀습니다. 증류에 대하여 질문드려요. [2] 걷는바람 2013-10-21 6609
119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610
118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611
117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626
116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희진 2023-03-21 6676
115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682
114 [질문] 겨울에 술만들때 온도와 발효후 거르기 할때 궁금점이 있습니다. [4] 초초보 2014-02-13 6686
113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hedge 2011-04-08 6692
112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698
111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700
110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막걸남 2011-01-12 6716
109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6723
108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6725
107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730
106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754
105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6766
104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807
103 누룩 당화력에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1] 투덩잉 2013-07-19 6812
102 달콤한 술 만들기? 의문점 [2] [75] 민속주 2012-07-05 6849
»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6859
100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861
99 밑술 항아리 용량으로 적당한것이? [4] 창힐 2013-07-19 6875
98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6879
97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6941
96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6941
95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6948
94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983
93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993
92 연습용으로 밑술 제작중인데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file [2] 한소리 2011-08-01 7011
91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7026
90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7026
89 [re] 고구마술 [4] 酒人 2009-01-16 7045
88 가양주 막걸리 만드는법 피리피리 2014-11-04 7061
87 입국의 당화력은 얼마나 되나요? [2] 오렌지컴 2015-02-05 7076
86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7079
85 막걸리 제조중 밥알이 안 가라앉을 때 file [2] 2P 2012-04-18 7129
84 감주빗기 [2] 우리술이좋아 2011-11-28 7138
83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오포 2023-04-16 7141
82 쌀과 물량 봐주세요.... [1] 성학맘 2011-08-09 718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