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단양주 층 분리

조회 수 6840 추천 수 0 2020.11.25 15:39:09

안녕하세요


단양주를 쌀 : 물 : 누룩 = 1 : 1.1 : 0.1 비율로 하여 빚었습니다.

쌀은 멥쌀 1kg 사용하였습니다.


3일간 저어주고 5일간 뚜껑 덮고 발효시켰습니다. 온도는 22도 안팍으로 유지하였습니다.


문제는 걸러준 후 냉장보관을 하였는데 2주째가 되어가도 층 분리가 되지 않습니다.

층 분리를 시켜 약주도 받아보고 싶었습니다.

맛도 단맛은 거의 없고 살짝 새콤하니 성공한 단양주는 아닌것 같으나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을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문제가 발생했을만한 부분들을 적어보자면,


1. 수곡을 만들어서 누룩은 제거하고 사용하였는데 수곡을 만드는 과정에서 너무 입자가 고운 면보를 사용해서인지 짜고 면보 안쪽을 보니 걸쭉한 입자들이 면보를 통과하지 않고 남아있었습니다.

(다이소에서 면보를 사서 사용하였는데 혹시 사용해보신분 계실까요? 시아주머니를 따로 구매해야할까 싶습니다.)


2. 멥쌀을 이용해도 잘 발효가 된다면, 발표 끝에쯤 거르기 전에도 층 분리가 되는게 보통 아닌가요? 저는 분리가 되지 않고 뿌옇게 계속 유지되었습니다.

(멥쌀은 7시간 물에 불리고 한시간 채에 말리고 한시간 쪘습니다.)


3. 발효통을 5리터짜리를 사용하여 빚어 넣은 막걸리 높이가 중간도 오지 않았었습니다.

간혹 글을 보면 발효통을 너무 큰 것을 사용해도 안좋다고 하더라고요.


혹시나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하신 분이 있다면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원

2020.11.27 19:11:43
*.149.116.45

1. 수곡은 얼마나 불리셨는지요? 대부분 수곡을 몇시간 물에 담궜다 빼서 걸러주는 오류를 범하는데, 10%누룩으로 수곡을 만들면 물에 녹아 나오는 효모의 수가 얼마 되지 않습니다. 효모가 물에 녹아 나오는 양 보다 누룩에 그대로 붙어 있는 양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수곡으로 이용 하시려면 적어도 20% 정도의 누룩을 사용해야 원활한 발효가 가능한 효모가 물이 녹아 나올꺼예요.
2.부족한 효모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당화 시켜야 할 전분의 양에 비해 효모의 수가 터무니 없이 모자라기에 발효가 덜 된 상태에서 걸러 주어서 걸렀음에도 계속 층분리가 안 되고 발효 진행되고 있어 청주 분리가 안되는거 같네요.
3. 발효통이 크면, 그 공간에 오염 된 공기가 존재할 공간 또한 커지므로 선호 하지 않는 것입니다.
발효실 공기가 크게 오염 되지 않고, 소독을 잘 해주셨다면 큰 통이 발효 자체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아요.
막걸리 높이가 중간도 오지 않았다는거 자체가 효모 부족의 증거 입니다. 충분한 효모가 있었다면 끓어서 적어도 병의 2/3정도까지는 자국이 남았어야 할텐데 말이죠.

전체적인 평가로 수곡에 대한 이해도가 충분치 않아 효모 부족으로 생긴 일 같습니다.
그 술을 살리시려면.. 수곡을 쓰지 마시고 누룩을 10%정도 더 쓰셔서 이양주로 만들것을 권유 드립니다.

아보카도요거트

2020.11.29 18:31:12
*.147.219.60

아 답변 감사드립니다.
수곡은 6시간쯤 불린 것 같습니다.
저도 생각했던 것보다 막걸리가 크게 끓지 않아서 이상하다 생각되었는데 역시나 효모가 부족했었나보네요.

수곡을 사용하면, 물에 효모가 녹아 나와 막걸리에 더 골고루 분포되어 발효가 잘 일어날 것이라 예상했는데
다음에는 수곡 만들때 누룩을 늘리거나 그냥 누룩만을 사용해서 빚는 방법을 사용해야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63 안녕하세요! 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ㅡ^ㅋ [3] 한국인 2007-03-25 3625
162 진행과정 보고 [1] 신원철 2007-03-25 3652
161 술 색깔을 맑고 투명하게 만들려면요.. [2] 봄날은간다 2007-03-23 4646
160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4057
159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967
158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4978
157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9208
156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642
155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5072
154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377
153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715
152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857
151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688
150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801
149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617
148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247
147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974
146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660
145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650
144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703
143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171
142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682
141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4997
140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520
139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853
138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873
137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2497
136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721
135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627
134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9575
133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611
132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4174
131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822
130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4092
129 싸레기 쌀 문의 [1] 대암 2007-01-30 4959
128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3069
127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985
126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588
125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3178
124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45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