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삼양주 쓴 뒷맛

조회 수 6021 추천 수 0 2020.09.22 14:56:13

안녕하세요,

그저께 2차 덧술 끝나고 삼양주를 7주일만에 거르고 마셔봤는데요. 기본적인맛은 좋은데 가수를 했는데도 뒷맛이 굉장히 쓰네요.

이 쓴맛의 원인이 뭘까요?


발효는 아주 잘됐습니다. 당도도 높고, 도수도 높고, 지게미도 비교적 적은데다 신맛도 물을 약간만 타면 거의 없어질정도로요.


酒人

2020.09.28 10:08:02
*.159.69.191

쓴맛의 원인은 다양해요. 그런데 덧술을 하고 너무 빨리 거른감이 있네요.
좀 더 뒀다면 잔당이 쌓여서 쓴맛도 많이 없어졌을거에요.
쓴맛은 알코올 도수가 높고 단맛이 적은 경우, 효모의 사멸에 의한 부산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술을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시간이 지나면 쓴맛도 많이 없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mekookbrewer

2020.09.29 03:58:09
*.19.90.90

감사합니다! 삼양주는 보통 어느정도 있다가 거르면 되나요? 온도는계속 22도쯤이었고 처음 해본건 3주만에 거른거라 한달정도 더 익힌것이었는데요,

도원

2020.10.15 19:48:33
*.149.116.45

삼양주든 오양주든 딱 몇일 후에 걸러야 한다! 정해진 기간이 없습니다.
누룩의 비율이 높으면 거르는 시기가 빨라지고, 또 발효온도가 높을 수록 거르는 시기가 빨라져요.
저 같은 경우, 누룩 10%에 온도를 25도 정도 유지하면 보통 3주~4주 정도 걸리더라구요.
거르는 시기는 보통 맑은 청주가 표면에 생성되면 하루 이틀 안에 걸러주는게 제일 좋습니다.

쓰신 글만 보면 거르지 않고 너~ 무 오래 발효를 시켜서 그런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7일만에 거른게 아니고, 7주만에 거르셨단 말이시죠??

삼양주같은 경우 보통 한달 발효 시킨 후에 한번 걸러서 지게미를 제거 하고 후숙을 한달 정도 더 하셔야..
잡맛이 없는 깔끔한 술, 원하시는 술을 얻을 수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거르지 않고 너무 오래 발효 시키면, 온도가 높을 경우 식초가 되어 신맛이 많이 나고, 온도가 높지 않다면 발효 되지 않은 지게미가 너무 삭아서 거를 때 같이 녹아 나와 잡맛을 더하게 되거든요.

발효 환경도 중요하지만 거르는 시기도 못지 않게 중요한거 같아요.

mekookbrewer

2020.10.16 03:54:16
*.19.90.90

감사합니다! 네, 7주 맞습니다! 쌀이 다 가라않고 한달정도 더 익히면 더 맛있다고 이 계시판에 읽어서 그정도 기다린거구요.

어제 거른지 3주정도 냉장고에 있던걸 마셨더니 쓴맛이 다 없어졌네요! 말씀하신대로 냉장숙성이 답이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41 전통주의 기본적인 맛? 궁금합니다. 김정옥 2006-08-02 3404
840 소주를 어떻게 내리는지 ??(박수덕님) 酒人 2006-08-17 3406
839 [re] 걱정했는데... 마중물 2008-12-17 3407
838 하수오주? 강신규 2006-12-21 3411
837 이야기 마당 - 사진게시판 [2] 민속주 2012-06-20 3411
836 이스트?효모영양제 사용방법및 시기 문의 [1] 호박654 2020-07-24 3415
835 발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이해력이 부족해서... [3] 김군 2009-12-19 3416
834 삼양주 빚는중에 나는 향 [2] mekookbrewer 2020-06-20 3417
833 한 여름에 진상주를 - - - [2] 광이 2010-07-28 3419
832 호산춘의 덧술방법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2-04 3429
831 봉출주는 어떻게 빚으셨는지.. [2] 허허술 2010-01-01 3433
830 첫 술을 빚어 보려는데.. [3] 고망고망 2009-08-05 3439
829 삼양주 담갔습니다. [2] 미얄 2014-09-30 3439
828 청주 초보입니다. [1] 소심녀 2010-10-19 3441
827 <b>[답변]2009년 교육 일정</b> 酒人 2008-10-01 3449
826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453
825 술빚는 항아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1] 요롱이엄마 2012-11-12 3458
824 쌀알누룩을 만들고 있는데요 색이~(ㅠ.ㅠ) [1] 수오기 2014-10-09 3458
823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3463
822 예쁘게 끓는술 못본 동영상 file [1] [5] 제천인어공주 2012-12-01 3467
821 질문있습니다! [2] 보해미안 2009-11-13 3468
820 술의 보관.. 2008-11-19 3475
819 지황주 아시는분? 금은화 2008-07-25 3476
818 초보가 질문드려요 ㅎ [2] 바커스 2012-05-10 3476
817 질문드립니다! [1] Elucidator 2019-02-15 3476
816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479
815 삼양주 1차 덧술 후 신맛 [2] 꺄초쇌두 2024-03-06 3482
814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케팔로스 2018-10-26 3487
813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7-06-03 3488
812 누룩이 잘 못 된 것 같아요.. [2] 행유 2010-07-15 3492
811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495
810 왜 생막걸리여야만 하나요? [2] mumu 2014-07-14 3495
809 소주내리기.. [1] 섬누룩 2010-02-22 3499
808 멥쌀주의 맛 행유 2010-09-23 3499
807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502
806 밑술의 맛은 ? 김정옥 2006-11-02 3509
805 밑술을 담그고 문의드립니다 [1] 우정 2007-06-12 3509
804 진행과정 보고 [1] 신원철 2007-03-25 3511
803 안녕하세요! 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ㅡ^ㅋ [3] 한국인 2007-03-25 3513
802 삼양주 씨앗술 사용양 [4] mekookbrewer 2020-07-30 35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