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조회 수 5775 추천 수 0 2020.07.07 10:01:53

안녕하세요 !! 항상 술을 만드는데 있어 도움주심에 감사드립니다 ㅎㅎ


현재 오양주와 삼양주 각각 거른 뒤 가수하지않은채로 냉장숙성하어 청주만 떠낸상태입니다


전내기가 각 4리터씩. 술지게미도 4키로정도씩 있습니다 !


그리고 술지게미만 3키로 남아있는 것도 있습니다.


1. 전내기 4리터. 술지게미 4키로가 있을때 도수 8~10도정도의 탄산감있는 막걸리를 만들고자하는데. 찹쌀과 물. 누룩을 얼마나 넣어야할지 아무리 찾아봐도 감이 안잡힙니다 ㅠㅠ 찹쌀. 물. 누룩을 얼만큼 더 넣어야할까요? 비율이 어떻게되나요?


2. 술지게미만 3키로 있는 친구도. 술지게미를 이용할경우 누룩앙만 조금 줄이고 단양주 만드는 비율로 다시 담구면 되는것일지.. 쌀 물 누룩 비율을 어떻게 잡아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전내기의 도수는 각 18도를 넘습니다.

* 술지게미는 냉동해놓은 상태입니다.

* 각각 거른 후 1달정도 김치냉장고 2도 온도에서 보관했습니다.


도와주십시오 ㅠㅠ 감사합니다 !!


도원

2020.07.07 15:30:42
*.149.116.45

우선 삼양주 오양주를 얼마나 담그셔서 전내기, 지게미 양이 저렇게나 나오셨나요? 저 같이 10리터짜리 소량 양조인에겐 전내기와 술지게미양이 어마어마 하네요.
본론으로 들어가서 전내기 도수가 18도 정도 된다면.. 같은 레시피로 물양을 2배 정도 하시면 원하시는 도수로 맞춰지지 않을까요?
허나 요즘 같은 날씨에 물양이 많아지게 되면 쉽게 변질 될 수 있으니,
그냥 같은 레시피로 양조하시고 후에 물을 섞어 도수 맞추는게 제일 좋은 방법일 듯 합니다.

술지게미는 냉동 시키면 다시 사용가능한가요? 저온보관은 가능한걸로 아는데, 냉동 했다가 해동해도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괜찮으면 보관 문제 때문에 저도 앞으로 냉동 해야겠어요.

여튼 제 짧은 지식으로는 전내기와 지게미를 사용해서 술을 빚으시려 한다면 처음에 누룩을 넣지 않고 빚어 하루 정도 경과를 지켜보시고 효모 생성이 잘 된다면 구지 누룩은 추가 하지 않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하루정도 지켜보시고 이산화탄소가 많이 발생 하지 않는다면 그때 누룩을 기존 레시피에 1/2 정도 넣어보는 걸 고려해보시면 좋을거 같아요.

술빚는요리사

2020.07.11 01:21:23
*.131.168.104

앗 안녕하세요 ! 댓글 감사드립니다.
우선 댓글에서 질문 말씀드리면, 쌀 10 물 8정도의 흑미주에서 술지게미가 5키로 정도 나왔고 (흑미로 고두밥했습니당) 삼양주 두통 빚을때 지게미는 쌀 6키로정도에 지게미가 2키로정도 나왔어요! 예전에 알아봤을때 다른 분들보다 많이 나왔던걸로 기억해여 광목천이어서 그런건지, 주조법이 잘못된건지, 아마 잘못된거겠져? 헿

냉동보관은 서적으로나 공식적인 자료로 찾아보고자 했으나 그런건 없었고, 다른 막걸리빚는 블로그 하시는 분들 글 보면 냉동하여도 효모의 힘 (질이려나요?)은 약해지더라도 정상발효는 되었다고 하니 가능할 것 같습니다. 오늘 해동했고 내일 술빚을 예정이니 확인할 수 있겠네요 !

탄산이 많은 막걸리를 원하기에 단양주의 배합?으로 술을 빚을 예정인데 전내기와 지게미를 함께 써서 탄산감있는 막걸리를 빚는 레시피는 본적이 없어서..뭐 해봐야죠 .. 조언 감사드립니다!!

도원

2020.07.11 20:34:01
*.149.116.45

전내기 및 찌게미에는 효모만 있는게 아니고, 다른 좋은 균들도 많이 있는걸로 압니다. 냉동으로 사멸되는 좋은 균들이 있어서 냉동은 권장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잇어요. 보관은 얼지 않는 가장 낮은 온도로 하는 걸 추천드리고,
주조하신 술들이 다들 지게미가 많네요. 이유는 고두밥 찌는 시간이 짧았거나, 발효 기간이 너무 짧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흑미 같은 경우엔 맵쌀로 취급하시면 안되고, 현미로 분류 하셔야 합니다. 고두밥을 지으시면 호화가 잘 안되서 발효가 더디거나 안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지게미가 많이 나오신걸 수도 있어요.
흑미의 경우, 분쇄하여 죽이나 설기를 지어 술을 담그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탄산이 많은 막걸리를 빚고 싶으시면 효모생성 이틀동안 저어주신 후 부터 거르기 전까지 완전 밀봉을 하시면 탄산이 술 속에 다 녹아 들어 많은 탄산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단, 내압병을 사용하셔야 하고 내압병을 사용하지 않으시면 발효 중 터질 수도 있는 점 주의하세요!
그리고 청주가 고이기 전에, 너무 빨리는 말고 하루나 이틀 정도 전에 미리 걸러서 내압병에 밀봉 병입 하시면 숙성하는 동안에도 계속 이탄이 발생해서 폭발감 있는 탄산을 느끼실 수 있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03 <b>독한 술은 어떻게 만드나?</b> [6] 酒人 2006-06-01 5248
402 제가 정리한 레시피입니다. [1] 갈매기 2009-12-08 5249
401 예쁘게 끓는술 2탄 file [1] [3] 제천인어공주 2012-12-01 5252
400 어떤술이 나올까요?? [3] 더블엑스 2008-05-07 5256
399 &lt;포도막걸리&gt; 채주해도 될까요 file 빵순이 2010-11-22 5256
398 삼양주 물의 양에 대한 질문입니다 [2] [7] 요롱이엄마 2012-11-16 5256
397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258
396 과하주에 관한 문의 [1] 케이원 2014-08-01 5258
395 [선배님들 살려주세요] 첫 막걸지 제조 망한건가요? file [1] 시골필부 2024-03-15 5260
394 송학곡자 박상근사장과 인터뷰 글 중에서 청주sam 2007-09-22 5262
393 끓어 넘치기 일보직전... file [3] 보리콩 2011-01-06 5266
392 삼양주 제조 및 채주 관련으로 질문드립니다. [1] 꿈길 2024-02-28 5267
391 [re] 술 담그는 방법 [1] 酒人 2008-10-27 5283
390 증류주 보관법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3] 키 작은 사랑 2018-03-01 5287
389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3] 어화둥둥 2007-06-02 5289
388 고두밥나눠넣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7-31 5293
387 누룩을 사용해도 될까요???? [1] 얄리야리 2021-01-19 5295
386 삼양주 만들기 도전....1차덧술 준비... 창힐 2012-06-24 5300
385 딸기 및 다른 부재료 넣기 mekookbrewer 2022-04-11 5303
384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酒人 2006-03-18 5305
383 생애 처음으로 술을 빚었습니다 file [1] 석탄 2009-03-07 5308
382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Heron 2017-12-17 5308
381 막걸리 산미 [1] 맑고달고시고 2024-04-24 5310
380 술빗는 용기는 뭐가 좋을까요? [2] 포항현주 2012-04-20 5311
379 산막일까요? file [3] [1] 제천인어공주 2013-01-11 5311
378 쑥술 애주 주방문 하나 부탁 합니다. [2] 오렌지컴 2015-05-25 5311
377 누룩법제방법에 대해 문의드려요 [1] 전통가양주최고 2016-03-22 5324
376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酒人 2006-01-12 5328
375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酒人 2006-07-19 5328
374 최소한의 누룩 비율이 궁금해요. [1] 신디 2020-04-16 5329
373 덧술후에 술이 괴어넘치는 현상 [1] 회곡양조 2013-09-08 5342
372 양파로 술을 담그면? [1] 창힐 2015-06-25 5345
371 막걸리공장의 입국 [1] yk 2014-07-22 5347
370 증류주로 뿌리주를...??? [1] 김진영 2007-12-27 5369
369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2] 酒人 2006-10-23 5373
368 멥쌀 삼양주와 찹쌀 삼양주의 차이 file [2] 술빚기가좋아 2024-04-10 5374
367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酒人 2008-10-04 5377
366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384
365 덧술하기에 관하여.... [4] 공주 2008-02-13 5387
364 찐쌀로 이양주 빚으려고 합니다 [2] 오렌지컴 2015-07-25 538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