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전통주 여과방식에 질문있습니다!!

조회 수 3762 추천 수 0 2020.05.26 06:56:21

이번에 16리터정도를 거르면서..

40 50 사이즈의 삼베주머니와 광목주머니를 이용했는데

너무 작아서 여러번 나눠 짜야하고.. 한 4시간 걸린거같아요


광목주머니는 짜지지도않더라구요!? 해서 대부분 삼베로 짰는데 목넘김이 거친듯 하여..

이미 병입은 완료한상태라 광목천으로 다시거를수도 없고 ㅠ


질문은

1. 광목천으로 짜도 원래 탁주가 목넘김이 거친편인건지..? 삼베주머니로만 짜도 되는것인지?

2. 휴롬착즙기 같은걸로도 0.1m 필터라는데. 여과해도 되는것일지 질문드립니당

여과 후 광목천에 걸르면 훨씬 노동력이 줄거같아서요 !


도원

2020.05.27 20:21:20
*.149.116.45

초창기 저와 비슷한 딜레마에 빠지셨네요.
여과가 잘 안 된다면 이유는 딱 한가지 입니다. 분해되지 않은 전분!!
전분이 여과구멍을 막아서 잘 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 분해되지 않은 전분 때문에 목 넘김이 거칠게 느껴지시는 겁니다.
이유는 2가지
1. 곡물이 제대로 익지 않아서 호화가 되지 않은 전분이 분해 되지 않고 그대로 남음.
2. 아직 당으로 변할 전분이 많이 남았음.
입니다.
2번의 경우는 발효를 더 시키면 해결 되는데, 충분한 기간 발효하셨다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1번의 경우인데, 1차 여과시 채반 같이 구멍이 전분 보다 굵고 지게미보다 작은 것으로 한번 걸러서 몇일 냉장 보관하셔서 바닥에 완전 가라 앉은 하얀 전분 위쪽만 떠 마시고 바닥의 전분은 과감히 버리시는 겁니다.

착즙기 사용은 절대 하시면 안되요. 전분이 필터 다 막아서 기계 무조건 망가집니다. 제가 경험자입니다.
착즙기는 아닌데.. 손으로 짜는게 힘들어 기계의 힘을 빌어 진공 필터로 거르다 거르지도 못하고 필터 구멍 다 막혀서 세척도 못 하고 해서 비싼 필터 하나 날려 먹었었죠.

술빚는요리사

2020.05.28 14:29:49
*.111.13.116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마지맛 덧술 후 30일은 지났으니 발효문제보단 익지않은 전분이 들어갔나보네요.. 가수해서 병입한 상태라 가라앉은것만 먹을수도 없는 노릇이고..속상하네요 ㅋㅋㅋㅋ
그렇다면 완전 호화된 전분만 사용한다면 광목천으로만 걸라도 충분히 잘 걸러진다는 것이군요.

아.
착즙기랑 원액기랑 다르다던데 원액기도 마찬가지로 안되겠죠?

도원

2020.05.28 19:54:12
*.149.116.45

기계는 무조건 쓰지마세요. 호화되지 않은 전분은 무조건적으로 기계 망가집니다.
구지 쓰셔야 겠다면 저는 원심분리기 정도는 써야 가능한 일처럼 보이네요.

가수하셨으면 그대로 1~2주 두시면 가라앉은 전분 분리가 더 용이할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처음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했을때, 호화시키는걸 몰라서 전분 때문에 버린 막걸리가..ㅜㅠ
경험과 노하우가 쌓이시면 자연스레 해결되실거예요^^

술빚는요리사

2020.05.28 20:26:58
*.192.251.249

자칫하다 비싼 기계 골로갈뻔했네요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말씀하신 부분은 1~2주 가만히 뒀다가 병입한 술의 90%정도 (가라앉은 전분을 제외한)를 다른 병에다 병입해서 마시는.. 뜻 맞을까요 !?

도원

2020.05.28 21:03:32
*.149.116.45

네^^ 뜻 맞습니다. 그렇게 하셔도 되고, 아니면 청감주로 재사용하시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41 불패주와 미생물에 대한 문의 내사랑 2008-10-10 4215
240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酒人 2008-10-04 5104
239 <b>[답변]2009년 교육 일정</b> 酒人 2008-10-01 3390
238 혹시.. 전통주 배우는 프로그램은 없는지요...? 이선아 2008-10-01 3249
237 누룩이.. [1] 2008-09-30 4365
236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375
235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591
234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酒人 2008-09-18 7984
233 누룩보관하기 좋은 방법 알고 싶어요 [3] 신의 2008-08-19 9016
232 보리누룩은 발효가 더딘가요? [7] 신의 2008-08-18 7470
231 전통주 만들기에서.. 2008-08-16 4119
230 덧술시기... [1] 2008-08-09 4369
229 삼지구엽주 ? 녹야 2008-08-08 5714
228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애주가 2008-08-08 4770
227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317
226 [re]화주(火酒)에 대하여... 酒人 2008-07-28 7382
225 한국에도 화주(火酒)가 있나요? 박보경 2008-07-28 4653
224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2] 酒人 2008-07-27 4060
223 지황주 아시는분? 금은화 2008-07-25 3439
222 복분자식초 만들기 질문 입니다, [1] 녹야 2008-07-15 5224
221 <b>최고의 건강 식초 - 복분자 식초 만들기 </b> [1] 酒人 2008-07-12 15620
220 [re] 답변입니다. ^^ secret 酒人 2008-07-02 578
219 와우. 점점 알수없는 술의 세계.ㅋ secret 아카스아 2008-07-02 554
218 이 더위에도 맛있는술이 담궈 질런지요 [3] 애주가 2008-06-30 4658
217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봇뜰 2008-06-28 4805
216 호산춘 2차덧술 시기? 돌돌이 2008-06-13 5242
215 쑥술을 빚었습니다...^^ file [3] 봇뜰 2008-05-25 4352
214 [re] 어떤술이 나올까요?? file [3] 더블엑스 2008-05-23 4212
213 어떤술이 나올까요?? [3] 더블엑스 2008-05-07 4929
212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5754
211 더블엑스님 보세요. ^^ [1] 酒人 2008-04-15 4668
210 막걸리 현재 상태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file [4] 더블엑스 2008-04-13 6191
209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미루 2008-04-11 4770
208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酒人 2008-04-07 5724
207 쓴술맛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3] 김정옥 2008-04-04 8774
206 막걸리 담는데 온도가 낮아도 되나요? [3] 더블엑스 2008-04-04 13865
205 덧술을 준비하면서 ?? [1] 꽁꽁이 2008-03-03 4595
204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1] 미루 2008-02-24 6090
203 덧술하기에 관하여.... [4] 공주 2008-02-13 5103
202 동방주 빚기에 대하여 [2] 강현윤 2008-01-14 44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