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안녕하세요, 쌀 관련 질문드립니다!

조회 수 2625 추천 수 0 2020.02.27 16:05:23


안녕하세요, 찹쌀과 멥쌀 관련해서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한국술 소믈리에 과정과 전통주 교과서에서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을시에 호화가 더 잘이루어지기 때문에 찹쌀이 멥쌀보다 호화가 더 잘 된다고 보았습니다.


찹쌀의 아밀로펙틴 구조가 복잡해서 수분이 침투할 여지가 많고 고두밥으로 익혔을시에 수분이 빠져나오면서 기공이 많이 생겨 호화가 잘 된다고 말씀해주셨던것으로 기억이 나는데 그럼 멥쌀의 경우에는 아밀로펙틴과 구조가 단순한 아밀로오스가 섞여 있으니 비교적 구조가 단순해져 수분이 침투를 잘 못하게 되어 호화에 불리해지는것 인가요? 구조가 단순해지면 수분이 더 잘 침투할것 같은데 어렵습니다ㅠㅠ

그리고 찹쌀로 술을 빚었을경우에 단맛이 훨씬 많이 나오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찹쌀이 호화가 잘 되어서 효소에 의해 당으로 분해가 더 잘되는것인지 아니면 애초에 아밀로오스보다 아밀로펙틴이 더 많은 당을 가지고 있거나 아밀로펙틴의 가지부분에서 분해가 덜되어서 잔당으로 남는 다던가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酒人

2020.03.01 20:56:59
*.159.69.191

추천
1
비추천
0
안녕하세요.

1. 멥쌀은 아밀로팩틴과 아밀로오스가 혼합된 구조로 구조가 단순한 것은 아밀로팩틴만으로 구성된 찹쌀입니다. 편하게 생각하면 나무에 칡넝쿨이 얽혀있다 생각하시면 편할거에요. 그러니 공간도 별로 없어 멥쌀은 물에 담가 놓으면 25% 수분을 흡수합니다. 찹쌀은 40% 정도
2. 쌀 안에 공간이 많으니 수분을 많이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은 가열 과정에서 액체가 기체가 되어 부피가 팽창하고 이 과정에서 전분 조직이 산산히 끊어지게 됩니다. 그러니 수분을 더 많이 흡수한 찹쌀이 훨씬 호화가 잘 되죠.
3. 말씀하신것처럼, 찹쌀은 1-4결합으로 되어있고 멥쌀은 1-6결합으로 나뭇가지 모양을 갖게 됩니다. 그런데 1-6결합을 깨는 것은 또 관련 효소가 있어야 하고 이러한 효소가 부족하면 완전히 분해가 되지 않은 상태로 발효가 멈추게 됩니다. 그러니 찹쌀이 좀 더 많은 잔당이 남아 달게 느껴지게 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예술

2020.03.03 15:14:53
*.243.144.187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김슨생

2020.04.09 09:59:36
*.242.210.62

"비밀글입니다."

:

예술

2020.05.01 14:21:13
*.226.10.12

감사합니다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81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6896
880 연습용으로 밑술 제작중인데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file [2] 한소리 2011-08-01 6891
879 술찌끄미 이용법 [1] 포수 2013-06-14 6861
878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6818
877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6706
876 입국의 당화력은 얼마나 되나요? [2] 오렌지컴 2015-02-05 6702
875 가양주 막걸리 만드는법 피리피리 2014-11-04 6696
874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6693
873 달콤한 술 만들기? 의문점 [2] [75] 민속주 2012-07-05 6690
872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636
871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632
870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6631
869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594
868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577
867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막걸남 2011-01-12 6555
866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hedge 2011-04-08 6552
865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6532
864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525
863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516
862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516
861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466
860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465
859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463
858 막걸리 제조와 판매 둘레길 2013-06-05 6423
857 맵쌀로만 빗은 삼양주--시험 file [1] 도사 2009-03-13 6423
856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421
855 <b>누룩만들기 제 8장 &#8211; '젖산' 이야기</b> [2] 酒人 2007-11-19 6420
854 밑술 항아리 용량으로 적당한것이? [4] 창힐 2013-07-19 6411
853 불패주 레시피를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2] 감초 2011-12-16 6407
852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380
851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6376
850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368
849 백국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두메 2011-01-20 6359
848 누룩 당화력에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1] 투덩잉 2013-07-19 6345
847 늙은 호박으로 호박주를 담그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1] 강술 2011-01-02 6330
846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283
845 <b>[re] 복분자주 숙성 답변입니다. </b> [2] 酒人 2007-07-05 6258
844 누룩 보관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보리콩 2016-02-23 6252
843 단맛보다 신맛이... [1] 마중물 2008-12-17 6247
842 덧술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5-13 62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