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조회 수 5247 추천 수 0 2018.11.19 14:31:57

가입하자마자 질문부터 남기네요..


당화력 관련해서. 


전분이 당화되어 당분이 생성되는 속도와, 효모가 당분을 소모하는 속도가 일치하면 가장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지금까지 그걸 잘 맞추지는 못하고 있긴 합니다.. 당화는 1~2일 안에 다 이루어지고 발효는 3~4일에 완료되는 패턴..

문제는 당화가 빨리되어 당도가 올라가 발효가 멈추는 현상이 종종 나타나는것입니다.


질문 드리고 싶은것은


1SP 라는 단위는 정해진 실험 조건에서 1시간에 효소 1g이 포도당 10mg을 생성하는것을 말한다고 하는 글을 봤습니다.


이 말은 효소 1g으로 2시간이면 20mg을 생성하고 3시간 이면 30mg, 

즉 시간의 제한이 없다면 효소 1g으로 얼마든지 많은 전분을 당화 할 수 있다는 말인가요?


따라서 적은양의 누룩으로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한 것인가요?

예를들어) 이상적인 조건이라 가정하고 10g의 누룩으로도 얼마든지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할까요?


효소는 얼마든지 많은양의 전분을 당화 시킬 수 있는것인지. 아니면 어느정도 당화를 하면 효소가 파괴된다든지 하여 소모되어

일정한 양의 전분을 분해하기 위해선 그에 비례하는 양의 당화효소가 필요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두루봐

2018.11.19 20:32:50
*.226.208.223

당화력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알고 계신것 같습니다. 이해하신 대로 당화력은 시간에 비례하고 이론적으로는 말씀하신대로 시간이 걸려서 그렇지 적은 양의 당화제로 많은 양의 전분질을 당화 시킬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해보면 너무 작은 양의 누룩을 쓰면 술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를 경험 합니다.
효소력은 온도, pH, 술덧의 농도 등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단순하진 않습니다.
제 생각엔
1. 아무래도 시간이 지나면 당화력이 자연 퇴화되는 것 같고
2. 백국균을 사용 하는 입국은 덜하지만 전통 누룩 효소의 경우 산에 약해(내산성 당화력) 술이 산성이 되면(시어지면) 당화력이 급격히 떨어 집니다. 술은 잘 됐는데 시다라는 말은 모순이란 얘기죠. 결국 시어졌다는 말은 전분질이 최종 단계인 알코올로 제대로 전환 되지 못했다는 거죠.
어떤효소를 말씀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효소제 마다 특성을 숙지 하시고 이론과 실제는 차이가 있기에 많은 시행 착오를 축적 하는게 최선 인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62 발효가 덜된 걸죽한 술을 망으로 걸렀는데... [2] 허허술 2009-12-18 4421
561 오양주를 빚고있는데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서.. [2] 술빚는요리사 2020-06-09 4421
560 [선배님들 살려주세요] 첫 막걸지 제조 망한건가요? file [1] 시골필부 2024-03-15 4423
559 삼양주 제조 및 채주 관련으로 질문드립니다. [1] 꿈길 2024-02-28 4427
558 쑥술을 빚었습니다...^^ file [3] 봇뜰 2008-05-25 4431
557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8-10-10 4431
556 술이 걸쭉하게 된거같아요... [1] 공대생 2014-10-15 4434
555 맞있는 술이 너무 진하고 독해요. [1] 신원철 2007-04-10 4443
554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445
553 <b>내부비전국(內腐秘傳麴)에 대해서</b> [3] 酒人 2007-05-09 4459
552 시작하기 전에 준비물이요. [2] 술똑다컴 2009-01-28 4464
551 덧술 시기가 궁금해요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06-18 4464
550 이곳에는 방앗간이 없습니다. [6] 갈매기 2009-12-03 4469
549 멥쌀 삼양주 채주 시기 file [2] 술빚기가좋아 2024-03-27 4471
548 초보자 따라하기 덧술 만들때 물은 더이상 않넣고 밑술과 고드밥을 버무리나요? [2] 머스마 2010-05-19 4474
547 누룩이.. [1] 2008-09-30 4478
546 덧술시기... [1] 2008-08-09 4483
545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486
544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1] 민속주 2012-07-14 4489
543 발효 온도 [1] 상자 2018-11-18 4489
542 봉밀주도 빚어보았습니다 file [1] 석탄 2009-03-07 4495
541 흑미 육양주 발효 질문있습니다. file [4] 술빚는요리사 2020-05-26 4495
540 <b>물이 좋아야 술이 좋다. </b> 酒人 2008-12-11 4498
539 멥쌀 삼양주와 찹쌀 삼양주의 차이 file [2] 술빚기가좋아 2024-04-10 4508
538 동방주 빚기에 대하여 [2] 강현윤 2008-01-14 4515
537 식초와 막걸리 걸음후 관리에 대해서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4-15 4515
536 석탄주 덧술한 다음 현재 상태입니다. file [1] 원삼규 2006-11-26 4526
535 이제 화살은 시위를 떠났습니다. [2] 비설 2008-12-15 4533
534 죽이 따뜻할때 누룩을 넣으면.... [2] 보리콩 2013-12-28 4533
533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1] 우리술이좋아 2010-05-14 4534
532 저온 발효에관하여 여쭤 봅니다. 오작교 2022-10-29 4535
531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537
530 황금주 만들때...*^^* [1] 왈순아지매 2009-12-04 4537
529 <b>석탄주는 어떤 맛일까?</b> 酒人 2006-09-07 4540
528 예쁘게 끓는술 3탄 file [1] [2] 제천인어공주 2012-12-10 4541
527 두강주 만들때요~ [1] 초히 2009-05-11 4543
526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545
525 덧술할 고두밥에 물을 섞을때와 그냥 넣을때의 차이점.. [2] 나이스박 2014-03-22 4546
524 술 색깔을 맑고 투명하게 만들려면요.. [2] 봄날은간다 2007-03-23 4550
523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55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