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

조회 수 4638 추천 수 0 2018.10.17 14:44:16

밑술 -  쌀 2Kg, 탕수 5.5리터, 누룩 600g 범벅으로 밑술을 만들었구요...

덧술은 밑술이 끓어 오른 후 48시간, 밑술 입항 후 55시간만 에 덧술 했습니다.

덧술은 찹쌀 4kg 으로 했습니다. 고두밥이구요...


벌써 세번째 물량을 줄여가며 빚고 있는데 앞서 두번은 술이 너무 시어서 쏟아 버렸습니다...ㅠㅠ

오늘로 덧술한지 3일째 되는 날인데... 맛을 보니 맛이 또다시 산도가 높습니다...

이유를 모르겠어요... 쌀도 열심히 씻고, 소독도 잘했고, 고두밥도 잘 되었다고 생각되고

덧술시 치대는 것도 손에서 뭉쳐질정도록 열심히 치댔고.. 온도도 20~25도 사이로 잘 맞췄는데...

도대체 왜 술이 시어지는건지 알 수가 없네요...


덧술 후 48시간이 되지 강렬히 끓어 오르기 시작했고...

60시간 후에도 끓고 있지만.. 맛은 시네요..

이대로 계속 나둬도 여전히 신 술이 되겠지요?

밑술도 잘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술이 시어지는 근본적인 이유가 있을듯 한데.. 알고 싶구요...

이대로 계속 숙성하면 달아질 가능성은 아애 없는건가요?

온도는 계속 20~25도(외부온도) 내부온도(22~27도)를 오갑니다...

도와주세요...


전통주장인

2018.10.19 15:12:29
*.192.182.16

지금 주방문을 보면 특별하게 수정할 부분은 없는 듯 합니다..

밑술은 찹쌀인지. 맵쌀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찹쌀이 당화가 빠른 부분이 있어 죽이나 범벅으로 밑술시

대부분 맵쌀로 사용하거든요.

소독도 잘하고 밑술도 특별하게 문제 없는 듯 보입니다.

보통 물량도 쌀양의 80~120% 정도 사용합니다..

다만 신맛이 나는 것은 알코올 발효에서 초산 발효로 넘어간다는 이야기 같은데요

혹시 발효중에 술덧을 너무 자주 저어주지는 않았나요? 또 덧술 시 치대는 것도 오래

하셨는데요..덧술전에도 알콜발효가 진행합니다.. 이 때도 너무 많이 치대주면 공기가 많이

들어간다면 알콜이 초산으로 변하기 때문에 신맛이 날수도 있겠네요.

초기 신맛을 잡기 위해서 누룩의 10%정도를 넣어서 밑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도 배우는 중이라 참고만 해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케팔로스

2018.10.22 16:14:53
*.82.93.253

밑술을 당연히 멥쌀로 했구요...
밑술에서는 하루에 한번 정도 저어주었고
덧술 후 1주일은 그냥 젓지 않고 발효했어요...ㅠㅠ
정말 이유를 모르겠네요..
혹시 누룩의 양이 많아도 (온도를 잘관리해도) 시어질 수 있나요?
그리고
초기 신맛을 잡기 위해 누룩의 10%를 넣어서 밑술을 만들수 있다는 무슨 뜻인가요?
누룩을 전체 쌀양의 10%만 넣으라는 말씀이신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41 술덧 위에 이게 뭘까요?? file [3] 자두맛사탕 2023-05-23 6220
840 소주만들기 할 때 언제까지 소주 받아야 하나? file [3] 아침에술한잔 2007-03-26 6212
839 누룩에 관하여~~ [14] 한나다나 2007-10-19 6211
838 [질문] 겨울에 술만들때 온도와 발효후 거르기 할때 궁금점이 있습니다. [4] 초초보 2014-02-13 6207
837 막걸리 현재 상태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file [4] 더블엑스 2008-04-13 6202
836 드뎌 누룩 제조하다... [6] 전통주 love 2009-03-23 6199
835 석탄주 덧술 후 발효가 잘 안되는 문제 file [2] charlie 2021-11-07 6197
834 신맛이 살짝 드는 술. 잘된 술인가? [2] 내사랑 2008-12-07 6197
833 주인님 사진의 이양주 거름시기 좀 가르쳐 주세요 file [2] 瑞香 2015-08-23 6185
832 증류기를 샀습니다. 증류에 대하여 질문드려요. [2] 걷는바람 2013-10-21 6161
831 <b>누룩만들기 제 6장 &#8211;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 </b> [2] 酒人 2007-11-10 6128
830 술 늦게 걸르면?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07-02 6126
829 멥쌀로 고두밥을 쪄서 삼양주를 담근는데...고두밥이 [2] 창힐 2013-08-07 6107
828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1] 미루 2008-02-24 6098
827 단양주 층 분리 [2] 아보카도요거트 2020-11-25 6097
826 저온 발효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민속주 2012-11-07 6088
825 전통주 교과서 이양주 레시피 질문드립니다. [1] 뿌기뿌기 2021-08-26 6061
824 삼양주 술 거르는 시기? file [2] cocomumu 2018-05-30 6047
823 계절별 빚는 주조법 질문 [1] 키키요 2021-04-06 6041
822 양조 과정 중 여러가지 여쭤봅니다! [3] 희진 2023-04-13 6032
821 콩이 들어가는 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2] 집중호우 2007-12-07 6028
820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022
819 학교에서 알코올도수 측정법을 배웠는데요 ..... [2] [2] 바이브가부릅니다술이야 2012-11-14 6009
818 옥수수술 질문입니다~~ [1] sujann00 2012-02-01 6009
817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2] 에어컨 2021-06-17 5995
816 혐기성 발효가 진행되는 것 같지 않습니다.ㅠ_ㅠ file [2] 리볼트 2021-01-11 5994
815 막걸리의 절묘하고 복잡한 맛. [1] alpha 2012-01-27 5987
814 [re] 석임 제조에 대하여 酒人 2009-12-29 5987
813 마늘술을 담글수 있을까? [3] 내사랑 2008-10-12 5987
812 청주를 빚고 있는데요. 그냥 한번 봐주고 평가해주세요. [4] 기록하는자 2015-12-20 5974
811 술 거르는 시기 [2] 내사랑 2008-11-24 5965
810 술 온도와 맛의 변화 [2] 시작은 천천히 2012-03-30 5959
809 밑술 덧술 발효 온도 궁금합니다 [1] 오렌지컴 2014-12-06 5954
808 술찌게미는 꼭 걸러야 하나요? [2] anakii 2013-10-16 5945
807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5945
806 용수를 박았습니다. file 보리콩 2011-02-11 5941
805 단양주가 신맛이 날 때 살리는 방법에 대한 고찰 ㅠㅠ도와주세요 [1] 요리조리 2020-05-27 5935
804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5930
803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 file [2] 瑞香 2015-08-14 5904
802 옻 삶은 물로 막걸리 빚을수 있으까요? [2] 지량 2013-12-05 590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