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조회 수 3808 추천 수 0 2018.04.30 09:20:44
첫막걸리.jpg :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런 좋은 커뮤니티가 있는줄 좀더 일찍 알았더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자료올려진걸 아무리 찾아봐도 제경우에 해당되는 것이 없어 이렇게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해봅니다. 나흘전 만든 첫아이가 제작 하루부터 아주 풍성하게 활동하여 제작 이틀까지 이어가 저를 흐뭇하게 하더니 삼일째 부터는 부풀어 올랐던 수위도 거의 내려가고 미약하게만 방울들이 밑에서 올라올 뿐이네요. 재료들은…


현미 1500g

누룩 350g

이스트 1ts

물 3L     

 

요렇게 말이죠. ‘술독’ 자료를 보니 방법이 단양주 약식인 같네요. 하루전 물에 불린 현미를 압력밥솥에 고들밥으로 지어 식힌후 세시간 불린 누룩과 이스트를 혼합한 물에 치대 유리용기에  덩어리와 투입해 손으로 섞은후 천으로 입구 막고 부엌 구석에  두었습니다. 그후 젓지도 뚜껑오픈도  않했어요.

 

활동이 거의 죽은게 갑자기 떨어진 기온 탓인가 싶어 장소도 따뜻한곳(실내온도 19~24도)으로 옮기고 입구도 플라스틱 뚜껑으로 덮고 천으로 몸을 감싸주었는데도 너무 조용합니다. 시간은 자꾸 가는데 아픈건지 죽었는지 살았는지 이시점에서 뭔가 조치를 취해야 되지않을까? 위아래를 고루 저어주어야되나? 이제라도 이양주로 갈수 없을까? 등등 고민이 많습니다. 

선배님 많은 조언 부탁합니다. 


누룩

2018.05.21 16:47:34
*.234.113.35

안녕하세요 한국가양주연구소입니다.

올려주신 질문 잘 확인했습니다.
먼저 술이 기포가 줄어든 이유는 처음 활발하게 증식하던 효모가 영양분이 고갈되면서
서서히 증식되는 숫자와 사멸하는 숫자가 비슷해지는 시기에 들어섰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를 "정지기"라고 부릅니다.
단양주의 경우 이 상태에서 술의 알콜발효를 진행하고, 이양주나 삼양주등의 술은 덧술을 합니다.


하지만 비율로 볼 때 이 술은 단양주라기보다는 밑술에 가까운 비율이네요.

일단 현미는 물에 불릴때 생각보다 더 오랜시간 불려야
고두밥으로 만들었을때 호화에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약 7~8시간/ 하룻밤)

먼저 밥으로 만들어 사용하셨기 때문에, 호화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술 안에 들어간 총 물양과 쌀의 비율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쌀1 : 물 2의 비율로 술을 만들면, 술이 단맛이 하나도 없는 것은 물론이거니와(전분->당->알코올+co2),
도수도 그리 높게 나오지 않습니다.

다음에 시도하실때는 (똑같은 단양주를 하신다면) 현미는 찹쌀로,
쌀과 물의 비율은 1:1로 하시는 것이 좀 더 성공적인 술을 만드실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지금 만들고계신 술은 윗물이 맑게 술이 뜨고 있을꺼라고 생각됩니다.
그렇게 만들어지면 걸러서 맛을 보시고, 다음에 다시 시도 해보실 때 수정하시는것이 어떨까합니다.
감사합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연구소로 전화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61 술 색깔을 맑고 투명하게 만들려면요.. [2] 봄날은간다 2007-03-23 4538
160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3924
159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840
158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4813
157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8697
156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65
155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4903
154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199
153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548
152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677
151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526
150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661
149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488
148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084
147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857
146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64
145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511
144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515
143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049
142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546
141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4779
140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65
139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738
138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763
137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2019
136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55
135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77
134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9098
133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455
132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3985
131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661
130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941
129 싸레기 쌀 문의 [1] 대암 2007-01-30 4751
128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2923
127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74
126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467
125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3028
124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322
123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741
122 바닥 찌꺼기를 [1] 박창수 2007-01-16 366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