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질문 드립니다.

조회 수 2603 추천 수 0 2017.09.07 18:29:59

첫시도를 단양주로 하였다가 제대로 식초를 만들어버리고 (지금 생각해보면 밥을 너무 설익혀서 그런것 같네요^ ^;)


덧술의 과정이 추가될수록 술이 잘된다 하여 이양주를 도전하는중입니다. 


부피로 측정하였습니다.


밑술: 멥쌀 250ml으로 죽을 쑤고 + 누룩(금정산성) 200ml + 밀가루 한스푼을 넣고 스테인레스에 넣어 비닐에 구멍 네다섯개쯤? 뚫어 덮어주었습니다.


주인장님의 글에서 죽으로 밑술을 하는경우 36시간째에 덧술을 추천하시어 기다리는 중입니다만

. 어떤 글에서는 술이 끓기 시작하면 그순간부터 36시간이라고 하는글도 있어서 어느것이 맞는 것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제가 술이 끓는다는 표현이 어떤 상황인지를 잘 몰라서 현재 밑술에서 부지런히 보글거리는 소리가 계속 들리긴 합니다만...^ ^;



1. 밑술이 죽일때 덧술하는 정확한 시기

2. 술이 끓는다는 표현이 정확히 어떤 상황인지

3. 덧술을 한뒤 뚜껑을 닫아놓아야 할까요? 지금까지는 비닐로 막아놨었습니다만...


질문드립니다.


덧술은 

멥쌀 300ml + 찹쌀 450ml로 밥을 지어서 추가해줄 예정인데 물을 더 추가할지 말지는 고민중입니다. 목표로 하는 컨셉은 달면서 진한 맛이나고  알콜은 그리 높지않은 술로 잡고 있습니다.


내용추가) 이제 36시간이 되어서 덧술 추가할려고 밑술의 맛을보니 톡쏘는 신맛이 나네요 ㅠ 약간 아릿한 맛도 섞여있고요 ㅠ 

주인장님의 어떤글에서 밑술은 시고 쓴맛이 나는게 발효가 잘된거라 좋다 라는게 기억나서 혹시나해서 덧술을 하긴했는데 ...

죽으로 해서 그런가 생각보다 밑술의 물이 양이 많은데 그래서 더 시어졌는가도 의심되고요ㅠ

단양주때도 시어져서 낙심하고 식초나 되어라 하고 박아뒀는데 이양주도 그럴까봐 걱정이 되는군요



누룩

2017.09.25 15:24:23
*.234.113.35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1. 지금 하시고 계신 술같은 경우, 밑술이 죽이라고 표현하셨지만, 정확히 들어간 물의 양을 알 수가 없습니다. 전체 술의 쌀과 물의 비율을 같은양으로 맞춰주세요.
덧술을 하는 시기는 밑술의 비율이나 온도, 관리상태에따라 변하기때문에, 정확한 시기를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쌀과 물의 비율이 1:5정도일때, 덧술의 시기가 36시간 전후에 온다고 생각하시면 맞을 것 같습니다.

2. 술이 끓는다는 표현은 밑술을 만들 때 더 잘 알 수있습니다.
밑술의 비율에 따라 그 모양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마치 물을 약한 불에 끓이는 것 같이 기포가 올라오는 현상을 보고 술이 끓는다고 표현합니다. 농도에 따라 어떤경우에는 빗소리처럼, 어떤 경우에는 탄산음료와 같은 소리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3. 네, 뚜껑을 닫아두어야 합니다.
촘촘하고 깨끗한 천이나 종이호일등으로 막아주시면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가득 한 혐기적인 환경이 만들어지게되고, 그러한 환경에서 효모가 알코올을 원활하게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다만 완전치 밀폐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벌레가 들어가지는 못하고, 안쪽의 이산화탄소는 빠져나올 수 있도록 조치해주시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41 술의 숙성에 대하여 [1] 우리술이좋아 2011-05-24 7770
440 초일주 술 거르기 질문드립니다. file [1] 잉맨 2011-05-15 8581
439 애주-물과쌀비율이.... [1] 선주도가 2011-05-04 7205
438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5838
437 흑미주 빚는법... [1] 0심이 2011-04-14 7143
436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hedge 2011-04-08 6613
435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302
434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11-03-10 5186
433 용수를 박았습니다. file 보리콩 2011-02-11 6004
432 향온주 좀더 두어야 할까요? [2] 보리콩 2011-02-07 4746
431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493
430 백국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두메 2011-01-20 6434
429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막걸남 2011-01-12 6629
428 끓어 넘치기 일보직전... file [3] 보리콩 2011-01-06 4797
427 잡내 제거는 어렵나요? [2] 보리콩 2011-01-05 4515
426 늙은 호박으로 호박주를 담그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1] 강술 2011-01-02 6411
425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5851
424 술에 단맛을 더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2] 두메 2010-12-13 4109
423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0 3744
422 술거르는 시기 [1] 우리술이좋아 2010-12-10 4614
421 항아리 안쪽 표면에 희꽃 공팡이가... [2] 막걸남 2010-12-09 4603
420 따라하기로 동동주만들기에 대해서 여쭙니다, 단술 2010-12-07 4505
419 누룩 사진 한 번 봐주세요. file [2] 비니 2010-12-06 5082
418 용수냄새가 나서 [1] 고천 2010-12-06 3678
417 주정계 와인 2010-11-24 4490
416 <포도막걸리> 채주해도 될까요 file 빵순이 2010-11-22 4836
415 술의 신맛잡기3 우리술이좋아 2010-11-09 4555
414 "銀杏酒" 에 대하여 궁금증을 풀어 주세요 surisan420 2010-10-28 4007
413 에탄올 만들기! secret [2] 아줌마 2010-10-20 162
412 청주 초보입니다. [1] 소심녀 2010-10-19 3414
411 술의 신맛잡기2 [1] 우리술이좋아 2010-10-18 4207
410 술의신맛잡기 [1] 우리술이좋아 2010-10-18 4867
409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10-10-17 3602
408 물관련질문입니다. 아트지 2010-10-17 2801
407 답변주셔서감사~!!! 0심이 2010-10-03 2684
406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0심이 2010-09-30 3568
405 멥쌀주의 맛 행유 2010-09-23 3477
404 막 초보입니다. 덧술이후 술 거를 시기에 대하여 문의합니다. file [2] 막걸남 2010-09-19 3973
403 향기와 맛은 따로 국밥인가요? [1] 보리콩 2010-09-15 3692
402 덧술 시기는요? [1] 막걸남 2010-09-14 448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