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밑술 발효 완료는 어느 정도 기다려야 하는건가요?

조회 수 6083 추천 수 0 2015.11.18 09:16:58

이번이 두번째 술을 담그는 중인데 레시피는 모 사이트에 있는 이양주를 기준 했습니다.

첫번째도 모 사이트 이양주 기준으로 담궜는데 차이점이 하나 있긴 합니다.

 

일단 저의 경우 술을 잘 못 마시고 집에서 술을 마시는 사람은 집 사람 하나 뿐이라 술 만드는 양을 적게 합니다.

그리고 기본 비율은 쌀/누룩/물 => 1 / 0.3 / 1.5 로 합니다.

여러 군데 찾아보니 쌀 1을 무게로 제지 말고 부피로 재어서 1로 하라는데 저는 그냥 무게로 1을 잡았습니다.

 

그래서 밑술을 담을 때  쌀 200g / 누룩 30~35g / 물 300mL를 기준으로 작업 했습니다.

이게 첫번째는 + 효모 5g 정도를 투하했고, 고두밥이 아닌 구멍떡을 만들어 밑술 하였습니다.

추후 덧술은 쌀 1.8kg(고두밥) / 누룩 200g / 물 2.5L 정도를 더 추가하였고 상당히 드라이한 술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번 두번째 입니다.

기본 레시피 양은 위와 같고 이번엔 범벅을 시도 했는데 범벅이 충분히 익을 수 있도록 팔팔 끓인 물로 범벅을 해야 하는데

구멍떡 반죽 하듯 범벅을 해버려 첫번째는 실패하고 두번째는 아에 죽을 쑤었습니다.

여기에 또 차이점은 이번에는 효모를 투하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36시간 정도 내버려 두었는데 당화는 진행되어 있는거 같습니다만... 밑술이 전혀 끓을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저번 1차 때는 36시간만에 끓는것까지 마쳐서 금방 덧술하고 일주일만에 술을 거르기 까지 했는데요..

 

이번에 밑술은 처음엔 아주 끈적끈적한 죽에서 24시간 정도 지나고 보니 완전 녹아내려 물처럼 찰랑 거리긴 한데 그후 12시간 정도를

더 지켜 보았지만 이후 변화가 없습니다.

저어 줄겸 살짝 맛을 보았더니 마냥 단맛만 나는 상태구요.

죽으로 하면 고두밥에 비해 당화나 발효가 빠르게 일어 난다고 하는데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하는지 아니면 이번에도 효모 투입을 해야

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아 참 누룩은 직접 만들 수준이 되지 못해 '금정산성' 누룩을 구해서 한거구요.

따로 법제를 하진 않았습니다. 첫번째도 두번째도 김치 냉장고에 보관 했다가 빚기 전에 잘 빻아서 투하 했구요.

 

그리고 밑술, 덧술 둘 다 찹쌀로 하였습니다.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누룩

2016.01.10 22:51:17
*.234.113.218

안녕하세요. ^^

1. 가장 큰 차이는 효모의 투입여부인 것 같습니다. 첫번째는 효모를 투입하였고. 두번째는 효모를 투입하지 않았는데요.

2. 기본적인 술을 빚을 때 밑술을 제조하는 이유는 누룩에 있는 효모를 대량으로 증식시키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두번째 술은 누룩만을 이용하였고 쌀과 물의 비율에서 물의 양이 적기때문에 효모 증식시기가 늦어진 것 같습니다. 효모 증식이 잘 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맛만 나는 상태가 유지된 것이고요.

3.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번처럼 효모와 누룩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효모를 사용하지 않고 술을 빚기 위해서는 쌀양 대비 물을 3배 정도 넣어 범벅을 하고 1일 1회 충분히 저어준 다음 덧술을 2-3일 후에 진행하면 큰 무리없이 덧술 시키를 맞출 수 있을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2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789
201 거른 오미자주 상태입니다. file [1] 하제 2012-05-04 3788
200 술이 되어가고있네요 [3] 배병임 2006-10-06 3786
199 가입인사 드립니다. [1] jun 2015-01-31 3784
198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781
197 떡으로 막걸리 빚을 수 있나요? [1] 백프로찹쌀 2016-05-01 3775
196 또 궁금합니다. [7] 오야봉 2009-03-19 3767
195 삼양주 씨앗술 사용양 [4] mekookbrewer 2020-07-30 3764
194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762
193 씨앗술이 왜??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10-09 3761
192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3755
191 호산춘레서피 질문이 있어요 [2] 버지니아 2020-01-26 3750
190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케팔로스 2018-10-26 3734
189 <b>쌀알이 삭는 시간..</b> 酒人 2006-10-08 3734
188 술의 유지 방법. [2] 눈사람 2010-03-22 3732
187 이양주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2-10-29 3730
186 포도주 빚기에 관해 [1] 유욱재 2006-08-24 3729
185 물과 시간에 대한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떳다 2008-10-14 3728
184 질문드립니다! [1] Elucidator 2019-02-15 3727
183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10-10-17 3725
182 여러가지 의문 점 [2] 민속주 2012-10-31 3724
181 왜 생막걸리여야만 하나요? [2] mumu 2014-07-14 3719
180 쌀과 누룩 질문 [1] 식초나라 2013-03-06 3717
179 오랜만에 복분자 주를 만들려고 하는데 비율을 잘 모르겠습니다 ㅎ [2] 술도하가 2012-09-13 3717
178 주인님, 아래 제 글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에 대한 답변 좀... 해난 2010-06-08 3716
177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0심이 2010-09-30 3707
176 <b>독특한 제조법을 가진 술(응용능력키우기)</b> 酒人 2006-12-04 3698
175 바닥 찌꺼기를 [1] 박창수 2007-01-16 3695
174 술빚기 Q&A 20페이지. 120번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의문점 [2] 민속주 2012-10-22 3689
173 1. 2차 덧술할때 누룩과 항아리 [1] 두영 2010-05-14 3689
172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686
171 삼양주 담갔습니다. [2] 미얄 2014-09-30 3682
170 오늘 술빚기에 들어갑니다. 비설 2008-12-12 3681
169 쌀알누룩을 만들고 있는데요 색이~(ㅠ.ㅠ) [1] 수오기 2014-10-09 3679
168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678
167 긴급 질문입니다. [3] 보리콩 2010-09-04 3677
166 술이 너무 빨리 끓은것 같습니다 [1] 문석호 2010-03-25 3673
165 청주만들기2 [2] 우리술이좋아 2010-01-22 3671
164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3663
163 전통주에 쓰이는 재료비율에 대해서 질문좀요 [2] 바나나우유 2010-08-10 365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