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

조회 수 6179 추천 수 0 2015.08.14 09:22:42
004.JPG :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003.JPG :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

(아흐ㅠㅠ  사진의 날짜 설정이 잘못 되있는지 모르고 찍어 몇년 거슬러 올라갔네요 ㅠㅠ)

초보라 게시판에 열심히 글을 올렸지만.....

뻔한 질문인지... 답변을 안 해 주시더라고요 ㅠㅠ

그래서 열심히 홈피를 정독해서 담아 보았습니다.

 

이양주로 담았고요, 레시피는 아래

 

 밑술 - 멥쌀가루(시판용) 480g, 물 2L, 누룩200g

덧술 - 찹쌀 840g

 

밑술 -2015년 8월10일 오후 3시30분 범벅으로  담고,

          둘째날과 거르는 날 한번씩 저어주었습니다.

 

덧술 - 2015년 8월 12일 오후 7시(52시간만에 )밑술을 걸러 덧술을 앉쳤습니다.

           밑술은 약간의 신맛과 약간의 떫은맛이 있었습니다. 30분정도 밑술과 잘 섞어 항아리에 담았습니다.

           아직까지 한번도 저어주지 않았습니다.

 

8오늘 2015년 월 14일 오전 7시 아직도 항아리 속에는 끓고 있는 소리가 들리는데 조금은 잦아든 듯 합니다.

 

 

 

질문1. 이 이양주는 현재 제대로 되어가고 있는 걸까요?, 그렇다면 언제쯤 걸러야 할까요?

 

질문2. 단양주(0004번)의 사진도 올렸습니다.(윗 항아리) 봐주시기 바랍니다.

 

            이양주와 같은 날인 8월 10일 오후 11시에

            찹쌀1kg, 물1.6L,누룩200g  고두밥으로 30분정도 잘 섞어 항아리에 담았습니다.

 

            8월14일 오전7시 끓고 있는 소리는 활기차지 않고 퍽 퍽 하는 소리만 납니다

            (처음부터 현재까지 항아리 속 소리는 퍽 퍽 입  니다)

 

           오늘까지 아침 저녁으로 한번씩 저어 주었고, 저을 때 밑에 앙금이 조금씩 저어졌습니다.

           (답변중에 밑에 앙금은 좋지 않은 거라 하셨는데,,,, )

 

             이 단양주의 경우는 언제쯤 걸러야 할까요?

             2015.8.14일 07시 현재 맛을 보니  약간 시큼하고 떫은맛이 아주 약간 있으며, 뒷맛에 단맛도

             느껴집니다. (답변중에 위에 맑은 물이 고일때 걸르라 했는데?)

 

          

          

 

          

 


酒人

2015.08.22 05:43:00
*.234.113.218

안녕하세요. 잠시 해외에 갔다와서 답변이 늦었네요. ^^

1. 지금쯤 신맛이 강한 술이 나왔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여러 여건상 그래요. 쌀과 물의 비율이 맞지 않고

2. 여름이라는 기후도 신맛나는 술에 일조하겠죠.

3. 전체적인 쌀과 물의 비율에서 물이 많게되면 신맛이 강해질 가능성이 커집니다. 가장 큰 원인은 전체적인 알코올 도수가 낮은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젖산균이 과도하게 증식해있기 때문입니다.

4. 쌀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당의 양이 한정되어 있는 것이고요. 당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생성되는 알코올 양도 한정되어 있는 것이죠. 여기에 물의 양이 쌀의 양 보다 많게되면 당연히 도수가 낮아지게 되겠죠.

5. 도수가 낮아지게 되면 도수가 낮은 환경에서도 잘 살수 있는 균들이 증식하고 이 균들이 생성한 산이 많아 신맛이 강한 술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6. 따라서 지금 제조법에서 물의 양을 좀 줄여 다시 한 번 시도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瑞香

2015.08.23 08:13:22
*.221.212.131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1 [re]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민속주 2012-07-15 3881
280 진상주를보면서......... [2] 배병임 2006-09-27 3881
279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3877
278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酒人 2006-08-21 3873
277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shosho 2019-07-19 3872
276 예쁘게 끓는 술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11-10 3870
275 호산춘 밑술 file [2] 창힐 2014-02-25 3869
274 떡으로 술빚기질문이요 [2] 반애주가 2012-10-25 3867
273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3866
272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64
271 멋진 답변~~~ 떳다 2008-10-16 3858
270 걱정했는데... [1] 마중물 2008-12-16 3851
269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850
268 고맙습니다 [1] yk 2013-12-03 3840
267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9-03-14 3840
266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3839
265 삼양주방식으로 빚는 복분자주 질문 드립니다 [4] 나라랑 2024-01-24 3834
264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833
263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3822
262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09-11-03 3822
261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비바우 2009-12-28 3818
260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3817
259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1-21 3811
258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바나나우유 2010-08-14 3810
257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새로미 2010-06-18 3809
256 맑은술 [1] 이반 2018-12-24 3807
255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김정은 2006-05-18 3805
254 호산춘에 대하여.. [1] [1] 민속주 2012-09-16 3804
253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이승욱 2007-01-10 3802
252 2차 덧술할때... [1] 마중물 2008-12-12 3798
251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3794
250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섬누룩 2009-11-23 3794
249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0 3793
248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787
247 삼양주 만들어보기 루시 2020-07-01 3787
246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술향 2010-02-10 3787
245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투덜이 2012-06-06 3786
244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酒人 2006-10-26 3782
243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778
242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강현윤 2012-12-21 377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