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

조회 수 6269 추천 수 0 2015.08.14 09:22:42
004.JPG :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003.JPG :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

(아흐ㅠㅠ  사진의 날짜 설정이 잘못 되있는지 모르고 찍어 몇년 거슬러 올라갔네요 ㅠㅠ)

초보라 게시판에 열심히 글을 올렸지만.....

뻔한 질문인지... 답변을 안 해 주시더라고요 ㅠㅠ

그래서 열심히 홈피를 정독해서 담아 보았습니다.

 

이양주로 담았고요, 레시피는 아래

 

 밑술 - 멥쌀가루(시판용) 480g, 물 2L, 누룩200g

덧술 - 찹쌀 840g

 

밑술 -2015년 8월10일 오후 3시30분 범벅으로  담고,

          둘째날과 거르는 날 한번씩 저어주었습니다.

 

덧술 - 2015년 8월 12일 오후 7시(52시간만에 )밑술을 걸러 덧술을 앉쳤습니다.

           밑술은 약간의 신맛과 약간의 떫은맛이 있었습니다. 30분정도 밑술과 잘 섞어 항아리에 담았습니다.

           아직까지 한번도 저어주지 않았습니다.

 

8오늘 2015년 월 14일 오전 7시 아직도 항아리 속에는 끓고 있는 소리가 들리는데 조금은 잦아든 듯 합니다.

 

 

 

질문1. 이 이양주는 현재 제대로 되어가고 있는 걸까요?, 그렇다면 언제쯤 걸러야 할까요?

 

질문2. 단양주(0004번)의 사진도 올렸습니다.(윗 항아리) 봐주시기 바랍니다.

 

            이양주와 같은 날인 8월 10일 오후 11시에

            찹쌀1kg, 물1.6L,누룩200g  고두밥으로 30분정도 잘 섞어 항아리에 담았습니다.

 

            8월14일 오전7시 끓고 있는 소리는 활기차지 않고 퍽 퍽 하는 소리만 납니다

            (처음부터 현재까지 항아리 속 소리는 퍽 퍽 입  니다)

 

           오늘까지 아침 저녁으로 한번씩 저어 주었고, 저을 때 밑에 앙금이 조금씩 저어졌습니다.

           (답변중에 밑에 앙금은 좋지 않은 거라 하셨는데,,,, )

 

             이 단양주의 경우는 언제쯤 걸러야 할까요?

             2015.8.14일 07시 현재 맛을 보니  약간 시큼하고 떫은맛이 아주 약간 있으며, 뒷맛에 단맛도

             느껴집니다. (답변중에 위에 맑은 물이 고일때 걸르라 했는데?)

 

          

          

 

          

 


酒人

2015.08.22 05:43:00
*.234.113.218

안녕하세요. 잠시 해외에 갔다와서 답변이 늦었네요. ^^

1. 지금쯤 신맛이 강한 술이 나왔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여러 여건상 그래요. 쌀과 물의 비율이 맞지 않고

2. 여름이라는 기후도 신맛나는 술에 일조하겠죠.

3. 전체적인 쌀과 물의 비율에서 물이 많게되면 신맛이 강해질 가능성이 커집니다. 가장 큰 원인은 전체적인 알코올 도수가 낮은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젖산균이 과도하게 증식해있기 때문입니다.

4. 쌀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당의 양이 한정되어 있는 것이고요. 당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생성되는 알코올 양도 한정되어 있는 것이죠. 여기에 물의 양이 쌀의 양 보다 많게되면 당연히 도수가 낮아지게 되겠죠.

5. 도수가 낮아지게 되면 도수가 낮은 환경에서도 잘 살수 있는 균들이 증식하고 이 균들이 생성한 산이 많아 신맛이 강한 술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6. 따라서 지금 제조법에서 물의 양을 좀 줄여 다시 한 번 시도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瑞香

2015.08.23 08:13:22
*.221.212.131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82 진상주를보면서......... [2] 배병임 2006-09-27 3893
881 술이 되어가고있네요 [3] 배병임 2006-10-06 3766
880 <b>쌀알이 삭는 시간..</b> 酒人 2006-10-08 3720
879 삼백주에 대하여... 酒人 2006-10-12 4123
878 <b>도정(搗精) 정도의 차이</b> 酒人 2006-10-15 4832
877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2] 酒人 2006-10-23 5224
876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酒人 2006-10-26 3795
875 <b>도토리술 제조법</b> file [1] 酒人 2006-10-29 4872
874 약전에 관하여(이한수님의 질문입니다. ) 酒人 2006-10-31 3212
873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0-31 3393
872 밑술의 맛은 ? 김정옥 2006-11-02 3518
871 [re] <b>밑술의 맛은 ?</b> 酒人 2006-11-03 5817
870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酒人 2006-11-06 4859
869 <b>술빚기 응용능력 키우기 1. 쌀 불리기</b> 酒人 2006-11-07 4775
868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 酒人 2006-11-14 5083
867 <b>누룩과 배양효소, 효모??</b> 酒人 2006-11-20 4744
866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1-21 3826
865 [re] 석탄주에 대한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1-21 4701
864 석탄주 덧술한 다음 현재 상태입니다. file [1] 원삼규 2006-11-26 4518
863 <b>쌀술과 포도주의 차이(상식갖추기)</b> 酒人 2006-11-29 4731
862 <b>독특한 제조법을 가진 술(응용능력키우기)</b> 酒人 2006-12-04 3683
861 술을 잘 빚으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1] 원삼규 2006-12-08 3031
860 <b>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b> 酒人 2006-12-12 3999
859 <b>술을 언제 걸러야 하나요.? </b> 酒人 2006-12-12 3568
858 술에 가향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2-15 3177
857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酒人 2006-12-15 3617
856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359
855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酒人 2006-12-21 4892
854 하수오주? 강신규 2006-12-21 3428
853 [re] 하수오주? [2] 酒人 2006-12-22 4943
852 밑술 담은지40시간 사진 임니다 file [1] 강용진 2006-12-27 3547
851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653
850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이미연 2006-12-29 2727
849 [re]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2] 酒人 2007-01-01 3200
848 <b>설날에 먹을 삼양주 "호산춘"입니다.</b> [2] 酒人 2007-01-04 4257
847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6029
846 <b>[re] 답변입니다. </b> 酒人 2007-01-07 4984
845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이승욱 2007-01-10 3817
844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원삼규 2007-01-10 4887
843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21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