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조회 수 5529 추천 수 0 2015.03.03 01:12:31
FullSizeRender.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FullSizeRender1.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FullSizeRender.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3일째 되는날 1.2kg의 찹쌀로 고두밥을 쪄서 식힌후에 덧술을 하였습니다.

20분동안 저어주었고 두개의 병에 나눠담으면서 하나는 끓였다 식힌물을 조금더 첨가했습니다.

밑에 사진은 고두밥을 밑술과 섞어서 병에 담기 전의 사진입니다.


하루가 지났는데도 전혀 변화가 없어보이길레 온도가 너무 낮은가 걱정이 되어서 

온도를 23도로 올려주었습니다(원래는 18도 정도였음).

그러니 위에 물이 조금씩 고이기 시작했습니다. 

이게 술인가요?

끓어오르는건 전혀 없구요 아직 냄새는 못맡아봤습니다.

잘 되고있는건가요? 

병하나는 실온으로 내두고 차이를 관찰할까 생각중입니다.



酒人

2015.03.05 23:10:07
*.228.35.18

전체 쌀양(밑술 포함해서) 1.6kg 물양이 2.3리터 들어갔기때문에 이 술은 신맛이 많이 나게 될 것 같습니다.
쌀과 물의 양 대비해서 전통 누룩을 이용할 경우에는 보통 쌀과 물의 비율을 1:1 정도로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즉, 쌀양이 1이면 물양도 1이나 1 이하가 들어가야 좋습니다. 나머지 물은 술이 다 된 후에 넣어도 괜찮습니다.

1. 술 맛을 보고 알코올 도수가 낮고 신맛이 많이 나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2. 찹쌀 800g을 다시 찌고
3. 밑술을 걸러서 누룩찌꺼기를 제거합니다.
4. 찹쌀고두밥을 밑술과 혼합합니다.
5. 2주 정도 후에 술을 걸러 드시면 됩니다.
6. 지금 술 맛을 보세요. 자주 보시고 자주 맛 보면서 변화 과정을 알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7. 투명한 병에 담아 관찰하는 것은 좋은 습관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aladinn

2015.03.06 03:39:20
*.166.75.3

답변 감사드립니다.
밑슬은 범벅을 만들수 없어서 "피와 살이되는 밑술법2"에 올려주신 양의 1/4로 했었습니다
근데 죽을 얼마나 끓여야하는지 모르겠더라구요. 끓이면 끓일 수록 뻑뻑해져서 중불로 한시간 끓인후에 아직 밥알이 남아있는 상태로 밑술을 만들었습니다. 범벅이야 물의양이 일정하겠지만 죽은 얼마나 끓이냐에 따라서 남아있는 물이 달라진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잘못된생각인가요? 아마그것때문에 물이 너무 쫄았나 싶어서 작은병에는 물을 더 첨가하게된거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21 문의드립니다 file [2] 瑞香 2016-02-13 3784
720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酒人 2006-10-26 3787
719 단호박술 거르는 시기 궁금합니닷. file [2] 바다뜰 2019-11-11 3787
718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투덜이 2012-06-06 3792
717 빚은 삼양주를 먹으면 두통이 생기는데 ㅜㅡ [2] jiyoon88 2020-05-24 3793
716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술향 2010-02-10 3794
715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섬누룩 2009-11-23 3799
714 2차 덧술할때... [1] 마중물 2008-12-12 3800
713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0 3803
712 삼양주 만들어보기 루시 2020-07-01 3804
711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김정은 2006-05-18 3806
710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이승욱 2007-01-10 3807
709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808
708 호산춘에 대하여.. [1] [1] 민속주 2012-09-16 3811
707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1-21 3817
706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새로미 2010-06-18 3818
705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바나나우유 2010-08-14 3819
704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비바우 2009-12-28 3822
703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3822
702 맑은술 [1] 이반 2018-12-24 3825
701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3827
700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09-11-03 3832
699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3836
698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837
697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3842
696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9-03-14 3844
695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853
694 걱정했는데... [1] 마중물 2008-12-16 3855
693 멋진 답변~~~ 떳다 2008-10-16 3860
692 고맙습니다 [1] yk 2013-12-03 3869
691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70
690 떡으로 술빚기질문이요 [2] 반애주가 2012-10-25 3875
689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酒人 2006-08-21 3877
688 예쁘게 끓는 술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11-10 3877
687 진상주를보면서......... [2] 배병임 2006-09-27 3882
686 호산춘 밑술 file [2] 창힐 2014-02-25 3886
685 [re]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민속주 2012-07-15 3888
684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3892
683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3900
682 쌀 누룩 질문 [5] 택현 2020-10-19 39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