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조회 수 5380 추천 수 0 2015.03.03 01:12:31
FullSizeRender.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FullSizeRender1.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FullSizeRender.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3일째 되는날 1.2kg의 찹쌀로 고두밥을 쪄서 식힌후에 덧술을 하였습니다.

20분동안 저어주었고 두개의 병에 나눠담으면서 하나는 끓였다 식힌물을 조금더 첨가했습니다.

밑에 사진은 고두밥을 밑술과 섞어서 병에 담기 전의 사진입니다.


하루가 지났는데도 전혀 변화가 없어보이길레 온도가 너무 낮은가 걱정이 되어서 

온도를 23도로 올려주었습니다(원래는 18도 정도였음).

그러니 위에 물이 조금씩 고이기 시작했습니다. 

이게 술인가요?

끓어오르는건 전혀 없구요 아직 냄새는 못맡아봤습니다.

잘 되고있는건가요? 

병하나는 실온으로 내두고 차이를 관찰할까 생각중입니다.



酒人

2015.03.05 23:10:07
*.228.35.18

전체 쌀양(밑술 포함해서) 1.6kg 물양이 2.3리터 들어갔기때문에 이 술은 신맛이 많이 나게 될 것 같습니다.
쌀과 물의 양 대비해서 전통 누룩을 이용할 경우에는 보통 쌀과 물의 비율을 1:1 정도로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즉, 쌀양이 1이면 물양도 1이나 1 이하가 들어가야 좋습니다. 나머지 물은 술이 다 된 후에 넣어도 괜찮습니다.

1. 술 맛을 보고 알코올 도수가 낮고 신맛이 많이 나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2. 찹쌀 800g을 다시 찌고
3. 밑술을 걸러서 누룩찌꺼기를 제거합니다.
4. 찹쌀고두밥을 밑술과 혼합합니다.
5. 2주 정도 후에 술을 걸러 드시면 됩니다.
6. 지금 술 맛을 보세요. 자주 보시고 자주 맛 보면서 변화 과정을 알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7. 투명한 병에 담아 관찰하는 것은 좋은 습관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aladinn

2015.03.06 03:39:20
*.166.75.3

답변 감사드립니다.
밑슬은 범벅을 만들수 없어서 "피와 살이되는 밑술법2"에 올려주신 양의 1/4로 했었습니다
근데 죽을 얼마나 끓여야하는지 모르겠더라구요. 끓이면 끓일 수록 뻑뻑해져서 중불로 한시간 끓인후에 아직 밥알이 남아있는 상태로 밑술을 만들었습니다. 범벅이야 물의양이 일정하겠지만 죽은 얼마나 끓이냐에 따라서 남아있는 물이 달라진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잘못된생각인가요? 아마그것때문에 물이 너무 쫄았나 싶어서 작은병에는 물을 더 첨가하게된거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b>쌀알이 삭는 시간..</b>

  • 酒人
  • 2006-10-08
  • 조회 수 3687

누룩양좀 봐주세요 [1]

  • 쵸이
  • 2019-02-11
  • 조회 수 3690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 대암
  • 2007-02-13
  • 조회 수 3703

술이 이상해요? [1]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용수 사용법 [2]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범벅에 대하여 [2]

호산춘 밑술 file [2]

  • 창힐
  • 2014-02-25
  • 조회 수 3716

호산춘에 대하여.. [1] [1]

쌀 누룩 질문 [5]

  • 택현
  • 2020-10-19
  • 조회 수 3728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 비니
  • 2010-12-10
  • 조회 수 3735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술이 되어가고있네요 [3]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 酒人
  • 2007-02-10
  • 조회 수 3739

막걸리의 탁도조절 [1]

급질문입니다.. [1]

  • 2009-01-07
  • 조회 수 3743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질문 2]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2]

글을 읽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남깁니다 [1]

덧술재료 [1]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 술향
  • 2010-02-10
  • 조회 수 3755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 shosho
  • 2019-07-19
  • 조회 수 3755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이화곡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 酒人
  • 2006-10-26
  • 조회 수 3768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누룩에 곰팡이가 피었어요ㅠ [1]

호산춘...배우고나서 첫 실험 올겨울은 술을 두번 담구고 끝? 세번으로 ㄱㄱ [1]

  • 창힐
  • 2014-02-24
  • 조회 수 3781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2차 덧술할때... [1]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예쁘게 끓는 술 file [1]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