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석임과 밑술 궁금증

조회 수 4676 추천 수 0 2014.09.29 21:56:37

주인님에 자료에서 석임에 관한 글을 보았습니다.

 

밑술과 석임을 혼합하여 술을 담그면 미생물을 배양한 효과로 술이  안정적으로 된다고 하였습니다.

 

1.  석임을 하는것과 밑술을 2번 하는것과 차이 점이 없는듯합니다.

 

하여 석임으로 만 2~3차례에 걸처 석임으로만 하여 술을 담글수 있지 안나 생각이 듭니다.

 

2. 석임을 만들 때 꼭 밥으로만 하여야 하는지요?

 

예을 들어 쌀가루, 밀가루, 놀말가루,설탕물 등을 이용하여 만들면 안될까하는 의문도 듭니다.

 

 예전 어릴적에 들은 이야기로 설탕물에 이스트를 넣어서 효모를 배양하여 밀가루 반죽을 한다고 하는 기역이 납니다.

 

중국집에서 국수 반죽 할 때도 남은 반죽을 이용하여 호모를 배양해서 쓴다는 이야기도 들은듯 합니다.

 

그리고 한가지더 물어 보겠습니다.

 

예전에 어머니가 집에서 진빵을 만들 때 막걸리를 사다가 밀가루에 반죽을 하여 발효 시킨 후 반죽을 치대면서

소다를 넣는 것을 보았습니다.

 

혹시 막걸리를 거른 후에 소다를 넣는다면 신맛을 잡아 주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이 듭니다.

 

달콤한 동동주나 막걸리를 40~60도로 가온 처리를 한다면 살균도 되고 당분이 알콜로 진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지 않나 생각 됩니다.

미생울이 살아 있어서 냉장고에서도 발효는 계속 진행하고 저온 숙성이라 진행 속도만 느릴 뿐이라 생각 해봤습니다.

시중에 생막거리 권장 유통기간이 10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무슨 ??당에서 나온 막걸리는 유통기간이 30일입니다. 


酒人

2014.09.30 17:37:06
*.32.96.174

안녕하세요.

1. 석임은 발효 보조 역할을 해주는 거에요. 그래서 누룩+석임이 같이 들어가죠.
2. 그러나 밑술은 누룩만 들어가고 효모를 최대한 배양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3. 또한, 석임은 밥으로 해야만 석임이에요. 왜냐하면, 석임이라는 것 자체가 제조법이 정해져있기때문입니다.
4. 즉, 문헌에 석임제조법이 기록되어 있기때문에 이 제조법을 벗어나면 석임이라 할 수 없어요.
5. 소다는 알칼리성이죠. 술에 이것을 넣으면 산성이 중화되면서 신맛을 줄일 수 있어요. 그런데
술에 소다를 넣는 것 보다는 쌀양이나 물의 양을 줄여 신맛이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죠.
6. 말씀하신 것은 저온살균법이에요. 살균하면 좋으나 맛이 떨어져요. 생막걸리 만의 맛이 있습니다.

오렌지컴

2014.10.01 12:19:05
*.36.142.148

바브신 가운데 꼽꼽히 답변 주셔서 감사 합니다. 내년에 강의ㅠ등록하여 인사 올리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 酒人
  • 2006-04-04
  • 조회 수 4862

술 담그는 방법에 관한 문의..

  • 코헨
  • 2008-10-27
  • 조회 수 4862

고구마술 맛있게 빚고 싶어요

고두밥나눠넣기 질문이요 [1]

[re]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2]

  • 酒人
  • 2008-11-04
  • 조회 수 4870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 酒人
  • 2006-11-06
  • 조회 수 4875

<b>도토리술 제조법</b> file [1]

  • 酒人
  • 2006-10-29
  • 조회 수 4877

[re] 답변입니다.

  • 酒人
  • 2007-09-23
  • 조회 수 4881

소주내리기에서.. [2]

  • 2008-10-19
  • 조회 수 4882

검은색 나는 곰팡이 때문에 꺼림직합니다. 도와주세요 [2]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1]

  • 해난
  • 2010-05-25
  • 조회 수 4886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과하주에 관한 문의 [1]

석탄주 덧술 시기좀 알려주세요 [1]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 쿡쿡
  • 2013-04-30
  • 조회 수 4903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 酒人
  • 2006-12-21
  • 조회 수 4906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 미루
  • 2008-04-11
  • 조회 수 4906

술향기가 진동을 하네요~~ [4]

덧술후에 술이 괴어넘치는 현상 [1]

하얗게 피어난 것이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2]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 창힐
  • 2013-05-24
  • 조회 수 4911

증류주 보관법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3]

향온주 좀더 두어야 할까요? [2]

항아리 안에서 술이 익어갈때...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도수 차이가 나나요? [4]

  • 선선
  • 2020-10-02
  • 조회 수 4921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 Heron
  • 2017-12-17
  • 조회 수 4926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멥쌀주 담그는 법 [1]

  • 행유
  • 2010-08-18
  • 조회 수 4929

엿술을 빗었는데 정확한 도수를 모르겠습니다. [6]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용수박을 시기 문의 file [3]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 봇뜰
  • 2008-06-28
  • 조회 수 4942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 酒人
  • 2006-04-29
  • 조회 수 4952

온도가 높아도 막걸리가 빚어지나요? [1]

  • 랜스
  • 2013-05-03
  • 조회 수 4952

[re] 하수오주? [2]

  • 酒人
  • 2006-12-22
  • 조회 수 4953

딸기 및 다른 부재료 넣기

전통주에 있는 효소와 효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1]

최소한의 누룩 비율이 궁금해요. [1]

  • 신디
  • 2020-04-16
  • 조회 수 4958

쑥술 애주 주방문 하나 부탁 합니다. [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