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조회 수 4902 추천 수 0 2014.07.22 22:54:24

안녕하세요.

이곳을 통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이번에 지인으로 부터 오디를 선물받아 단양주를 담구어보았습니다.

그런데 거름하는날 마셔보고는 좀 실망을 했어요.

 

그동안 담구어 보았던 쌀이나 현미 막걸리와는 달리

막걸리의 특유의 상큼 세콤한 맛도 없이 두번에 걸처 걸렀는데도 불구하고

그냥 걸죽하기만 하더군요.

아무래도 오디를 너무 많이 넣은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다 알콜도수도 좀 낮은감이 있었구요.

 

이제는 오디로는 담그지 말아야지 하고 거른 막걸리를 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는데

몇일지나 마셔보니 거름 당시에 느낄수 없었던 새콤 상콤한 막걸리 맛이 나서 조금 놀랐는데요.

왜 거름 당시에는 이러한 맛이 나지 않았는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여기에 거름 당시보다 알콜도수도 좀 올라간 느낌이었어요.

처음 경험이라 숙성이란게 이렇게 중요한거구나 생각하게 되었습니다만,

 

이러한 경험을 해보며 좀 궁금한게 있습니다.

 

*먼저 알콜도수가 낮은경우는 어떤 이유에서 발생하는지 좀 알고싶구요.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정말 숙성이 되며 알콜도수가 높아진것 같은 느낌은 느낌뿐이겠지요?

 

*마지막으로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그동안 쌀이나 현미로 담갔을때 보다 오디가 상당히 걸죽한데

이러한건 재료의 차이 때문인지,아니면 오디가 너무 많이 들어간 경우인지도 생각해 보게되는데요.

아무튼 걸죽함을 좀 낮추려면 좀더 가는 체나 면보를 이용해 몇번 더 거르는걸로 해결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한꺼번에 너무 많이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좋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酒人

2014.07.24 09:54:49
*.228.35.18

안녕하세요.

1. 발효가 덜 진행된 상태에서 술을 거르면 나타나는 현상들입니다. 발효가 덜 일어나게 되면 산미와 청량미가 덜한 상태가 되죠.

2. 걸러 놓고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발효가 일어납니다. 당분의 양이 줄어들고 신맛이 올라오죠. 그리고 당분은 알코올을 생성해 알코올도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3. 따라서 술 거르는 시점을 잘 파악해야 후발효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번에 했던 기록을 잘 보시고 다음에는 술 거르는 시점을 좀 더 늦춰야 할 것 같습니다.

4. 알코올 도수가 낮은 경우는 당분의 양이 적거나, 효모의 수가 적거나, 밑술의 효모 증식이 잘 되지 않았거나 하는 다양한 원인이 있어요. 따라서 원료의 양과 수분의 양, 효모의 양 등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실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나이스박

2014.07.25 17:35:40
*.22.155.168

제경우에도 언젠가..막걸리를 빛은게 시큼하고, 맛이 없어서 실패했나보다하고, 그냥..냉장고에 보관한적이 있었습니다..그런데..일주일정도 지난후에 한번 맛을 보니..처음에 맛보던 맛보다 훨씬 뛰어나서, 그때서야 막걸리도
숙성이 되는구나 하고,새삼 감탄한적이 있었죠~~~
확실히 처음보다는 숙성시키면 맛이 좋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63 누룩과 고두밥 또는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내사랑 2008-11-04 4355
362 건조 연잎 사용 질문드립니다. 뿌기뿌기 2021-12-21 4349
361 [re] 어떤술이 나올까요?? file [3] 더블엑스 2008-05-23 4349
360 주안님에 맛이 독한 술 처리법을 읽어보고... [2] 오렌지컴 2014-09-13 4347
359 불패주와 미생물에 대한 문의 내사랑 2008-10-10 4347
358 밑술을 고두밥으로 했습니다. [1] 두더지 2018-09-28 4345
357 술빚을 때 알코올 도수 반애주가 2014-03-08 4344
356 책에 나와있는 "류가향" 은 어떤 술인가요? [2] 허주영 2014-08-10 4342
355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오씨 2018-12-01 4342
354 방문주 [1] 알리 2015-09-11 4341
353 동동주 한번더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4-15 4336
352 궁금해서 여쭙니다. [3] 오야봉 2009-03-13 4333
351 침출주 거르기 [1] 궁금증 2015-06-01 4330
350 술이 이상합니다. [3] 비설 2008-12-18 4330
349 빚어야하는 술^^ [1] 술과 함께.. 2007-09-15 4329
348 밑술담기의 적정온도는? 김정옥 2006-09-15 4329
347 첫번째시도--덧술을 확인하였는데요... [7] 고망고망 2009-08-09 4325
346 과일을 이용한 술 빚는 법에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1] leon 2020-12-05 4324
345 오래된 침출주 버리기가 아까운데 [1] 상갑 2008-10-31 4324
344 [re]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4322
343 [re] <b>도토리술 제조법</b> 호정 2007-10-25 4322
342 보쌈이 무엇인가요 [1] 무등산 2018-04-12 4319
341 이양주를 해보는 중입니다 궁금한것이 있어서요 [2] 수오기 2014-09-26 4315
340 쌀 종류에 따른 술맛이 궁금합니다. [2] 오렌지컴 2014-09-23 4315
339 잡곡밥 술이 될까요?? [1] 네오락이 2020-06-23 4313
338 전통주 청주와 탁주 사용법 [2] mekookbrewer 2020-09-12 4300
337 <b>설날에 먹을 삼양주 "호산춘"입니다.</b> [2] 酒人 2007-01-04 4300
336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1] 조인순 2008-01-08 4296
335 술에 단맛을 더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2] 두메 2010-12-13 4293
334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288
333 [re] 술의 보관.. [2] 酒人 2008-11-19 4282
332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280
331 맑은 술 증류 후 [3] 방구석신선 2023-02-06 4275
330 누룩틀은 어디에서? [1] 도사 2008-11-11 4273
329 전통주 만들기에서.. 2008-08-16 4263
328 연잎주 질문? [3] 오렌지컴 2014-10-03 4260
327 호박막걸리 질문입니다.~~ [3] 오야봉 2009-07-07 4260
326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shosho 2019-07-19 4257
325 고맙습니다 [1] yk 2013-12-03 4257
324 정말 이해 안가는 내용. 2 [2] [1] 민속주 2012-06-24 425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