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조회 수 4364 추천 수 0 2014.07.22 22:54:24

안녕하세요.

이곳을 통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이번에 지인으로 부터 오디를 선물받아 단양주를 담구어보았습니다.

그런데 거름하는날 마셔보고는 좀 실망을 했어요.

 

그동안 담구어 보았던 쌀이나 현미 막걸리와는 달리

막걸리의 특유의 상큼 세콤한 맛도 없이 두번에 걸처 걸렀는데도 불구하고

그냥 걸죽하기만 하더군요.

아무래도 오디를 너무 많이 넣은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다 알콜도수도 좀 낮은감이 있었구요.

 

이제는 오디로는 담그지 말아야지 하고 거른 막걸리를 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는데

몇일지나 마셔보니 거름 당시에 느낄수 없었던 새콤 상콤한 막걸리 맛이 나서 조금 놀랐는데요.

왜 거름 당시에는 이러한 맛이 나지 않았는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여기에 거름 당시보다 알콜도수도 좀 올라간 느낌이었어요.

처음 경험이라 숙성이란게 이렇게 중요한거구나 생각하게 되었습니다만,

 

이러한 경험을 해보며 좀 궁금한게 있습니다.

 

*먼저 알콜도수가 낮은경우는 어떤 이유에서 발생하는지 좀 알고싶구요.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정말 숙성이 되며 알콜도수가 높아진것 같은 느낌은 느낌뿐이겠지요?

 

*마지막으로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그동안 쌀이나 현미로 담갔을때 보다 오디가 상당히 걸죽한데

이러한건 재료의 차이 때문인지,아니면 오디가 너무 많이 들어간 경우인지도 생각해 보게되는데요.

아무튼 걸죽함을 좀 낮추려면 좀더 가는 체나 면보를 이용해 몇번 더 거르는걸로 해결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한꺼번에 너무 많이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좋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酒人

2014.07.24 09:54:49
*.228.35.18

안녕하세요.

1. 발효가 덜 진행된 상태에서 술을 거르면 나타나는 현상들입니다. 발효가 덜 일어나게 되면 산미와 청량미가 덜한 상태가 되죠.

2. 걸러 놓고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발효가 일어납니다. 당분의 양이 줄어들고 신맛이 올라오죠. 그리고 당분은 알코올을 생성해 알코올도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3. 따라서 술 거르는 시점을 잘 파악해야 후발효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번에 했던 기록을 잘 보시고 다음에는 술 거르는 시점을 좀 더 늦춰야 할 것 같습니다.

4. 알코올 도수가 낮은 경우는 당분의 양이 적거나, 효모의 수가 적거나, 밑술의 효모 증식이 잘 되지 않았거나 하는 다양한 원인이 있어요. 따라서 원료의 양과 수분의 양, 효모의 양 등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실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나이스박

2014.07.25 17:35:40
*.22.155.168

제경우에도 언젠가..막걸리를 빛은게 시큼하고, 맛이 없어서 실패했나보다하고, 그냥..냉장고에 보관한적이 있었습니다..그런데..일주일정도 지난후에 한번 맛을 보니..처음에 맛보던 맛보다 훨씬 뛰어나서, 그때서야 막걸리도
숙성이 되는구나 하고,새삼 감탄한적이 있었죠~~~
확실히 처음보다는 숙성시키면 맛이 좋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961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酒人 2005-09-06 4815
960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5904
959 누룩만으로 술이 될까? 酒人 2006-01-12 4938
958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293
957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酒人 2006-01-12 5031
956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4870
955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7868
954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5864
953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4747
952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483
951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035
950 정신없이 글을 쓰다보니... [2] 酒人 2006-03-03 3934
949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5878
948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377
947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728
946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264
945 전통주 기초강의 1. 술이란 酒人 2006-03-17 3914
944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441
943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681
942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6831
941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057
940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酒人 2006-03-18 5029
939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548
938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091
937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213
936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4685
935 술빚기 기초강의 2. 도구의 선택 酒人 2006-04-04 4012
934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042
933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392
932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059
931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276
930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8780
929 질문 드립니다. [2] 김강훈 2006-04-24 4456
928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3862
927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246
926 현미 쌀 타피오카 절감 등의 전분가 file 酒人 2006-04-27 3983
925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4753
924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0975
923 전통주 중급강의 1. 효모의 증식과 발효. 酒人 2006-05-04 4016
922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4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