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잡내 제거는 어렵나요?

조회 수 4455 추천 수 1 2011.01.05 09:09:07
몇달만에 다시 술을 담금니다.

메주만들고 알바하고... 이래저래 바빠서 한동안 담그지 못했죠.

쌀 두되와 물 10L로 석탄주를 담그는데 이번엔 제가 직접 빚은

누룩을 이용하였습니다.

쌀죽을 조금 끓여 누룩을 시험해 봤는데 그런대로 발효도 잘되고

발효되면서 향도 제기준으로는 사서 한것보다 좋아서 본격적으로

석탄주를 담갔습니다. 오늘이 밑술 2일째입니다.

시험적으로 할때는 누룩을 법제도 안하고(소량이라서^^) 했고, 이번에

밑술 담을때는 이틀간 햇빛좋을때 널어 말려 사용했는데 냄새가 과히

좋지는 않네요. 술 빚을 그릇, 항아리 등은 모두 뜨거운물로 소독을 하고

사용해 달리 오염될만한것을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

혹 누룩이 흡착력이 강한가요?

햇빛에 말린후 술 빚기전 잠시 방에 두었는데 방에서 메주를 띄우느라

좀 꾸리한 냄새가 납니다. 혹 그 냄새가 법제한 누룩에 밴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은 가지고 있습니다.

덧술을 해도 이런 냄새가 계속 날것 같으면 덧술을 하지 않는게 좋을듯 한데

잡내 제거하는 방법은 없는지요?



酒人

2011.01.05 11:32:33
*.47.8.2

보리콩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발효가 일어나면 대부분의 냄새는 제거가 됩니다. 제거 되는 것이 아니라 이산화탄소와 함께 날아가 버리는 것인데요. 제가 봤을때는 덧술을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괜찮을 거고요.

1. 술이 완성되면 가능한 빨리 걸러서 냉장고에 넣어 두셔야 합니다. 날의 온도변화가 크면 술에서 간장, 된장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2. 술을 빚을 때 소량의 국화 등을 넣어 빚으면(10g) 잡 내 등을 좀 줄일 수 있습니다. 다른 재료들은 대부분 향기가 다 날아가 버립니다.

좋은 술 빚으시고요. 구정때 사용하면 되겠네요. ~^^

보리콩

2011.01.06 09:21:56
*.81.198.114

^^... 새해 인사가 늦었습니다.
주인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어제 밤부터 활발하게 술이 끓어 오르니 역한냄새는 많이
빠진듯 합니다.
기다림... 말은 쉽지만 조바심이 나서 기다리지를 못하네요.
다시한번 배웁니다.
좋은술을 떠나 일단 술이 되려면 느긋하게 기다려야 한다는걸요.
물론 술빚는 일에만 국한되는건 아니겠죠.
오늘쯤 덧술을 하려고 합니다.
어떤술이 될지 설날이 기다려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61 막걸리 숙성에 관한 질문 [3] alpha 2012-01-20 63901
960 <b>술의 신맛 고치는 법</b> [1] 酒人 2007-09-27 28788
959 <b>누룩만들기 제 1장 - 누룩의 기본</b> [2] 酒人 2007-10-21 25348
958 미국에서 쌀가루 질문 [3] [1] johnfrankl0 2012-08-10 25075
957 고두밥 보존 방법이 있나요? [2] 민속주 2012-07-01 24442
956 감식초 만드는 방법 [4] 酒人 2008-10-13 19838
955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8282
954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7793
953 주정분표(알코올 도수환산표) 보는 방법 file 酒人 2006-09-27 17135
952 막걸리 맛있게 만드는 방법 酒人 2009-01-07 17064
951 막걸리 만들기 제 1장 : 막걸리란? 酒人 2007-12-26 16191
950 누룩 만드는 법 file [1] 강마에 2009-04-13 15966
949 <b>최고의 건강 식초 - 복분자 식초 만들기 </b> [1] 酒人 2008-07-12 15659
948 술 빚기 도구 및 재료 구입처 누룩 2009-01-02 14203
947 막걸리 담는데 온도가 낮아도 되나요? [3] 더블엑스 2008-04-04 13902
946 이양주(멥쌀밑술-찹쌀덧술)처음으로 빚었는데, 쓴맛이 조금 나네요. [2] 김달공 2012-02-28 12970
945 술독에서 술 빚기에 사용하는 단위 [3] 누룩 2009-01-02 12532
944 엿기름사용에 관하여 [3] 우리술이좋아 2010-03-16 12267
943 덧술시 고두밥과 압력솥밥의 차이 [2] 우리술이좋아 2012-03-20 11785
942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1657
941 막걸리 만들때 물양 질문드립니다. [1] 모르는 2010-04-19 11617
940 [re] 고구마술 담그는법 [2] 酒人 2008-10-21 11340
939 초보자의 도수 측정..ㅠ [3] [1] 달갸리 2009-12-02 11139
938 누룩법제 [3] 상갑 2009-01-06 11035
937 오양주 만드는방법 [4] 비오리 2012-05-22 10910
936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0896
935 <b>누룩만들기 제 7장 -'효모'이야기</b> [11] [1] 酒人 2007-11-12 10609
934 저온발효/저온숙성 [2] 아리랑 2013-02-20 10508
933 전통누룩과 개량 누룩의 차이 [1] 샛별 2009-11-10 10472
932 부피 단위 (되/말)에 대한 문의 [3] 해난 2012-01-05 10423
931 삼양주이상 중양주 빚는 방법은? [3] 무설탕 2011-10-25 10374
930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173
929 막걸리와 동동주의 차이 [1] 나술퍼맨 2013-05-02 10081
928 탄산이 강한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3] 후아랴 2021-07-21 9998
927 오염균 사진 file [2] 강마에 2009-05-04 9418
926 석탄주 만들기 [2] 전통주 love 2009-03-26 9135
925 누룩보관하기 좋은 방법 알고 싶어요 [3] 신의 2008-08-19 9045
924 쓴술맛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3] 김정옥 2008-04-04 8805
923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8729
922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869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