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조회 수 5796 추천 수 1 2010.12.15 05:38:39
새로 만든 누룩으로 양을 조금 줄여 호산춘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지금 1차 덧술까지 해 놓은 상태인데요, 상태가 예전에 마트에서 산 누룩으로 빚은 것과는 좀 많이 달라 질문드립니다.

밑술의 경우 3L짜리 유리병에 넣어서 담았는데 처음에 약 반정도 차있는 상태였습니다.  12시간쯤 지났을 때 확인해보니 액화가 꽤 되어 있더군요. 병째로 조금 흔들어서 섞어주었습니다. 이틀반이 지났을 때 부풀어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약 72시간 쯤 되었을 때 1차덧술을 해주었는데, 이 때는 처음에 비해 거의 두배가까이 부풀어서 병이 넘치기 직전까지 올라와있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보통 술이 끓는 모습하고는 좀 다르게 마치 빵이 부풀듯이 거품이 가득한 상태로 부풀어 오르고 유리병을 살짝 흔들어주니 푹 꺼지더군요.

용기를 옮겨서 1차 덧술을 하였는데, 덧술을 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끓기 시작하더군요. 그리고 나서 60시간 정도 지나서 뚜껑을 열어보았는데, 술 표면에 마치 비누 거품처럼 거품이 가득하기는 한데,  일반적으로 술이 끓는 모양으로 거품이 올라오진 않고 조용하네요. 한번 저어주고 나서 몇시간 후에 보니 다시 위로 거품이 조금 올라오긴 하는데, 끓는 것이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제일 큰 문제는 냄새인데요, 산 누룩으로 빚을 때와 달리 냄새가 엄청 강한데, 이게 일반적인 누룩냄새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누룩냄새를 보통 구수하다고 표현하는데, 제 밑술을 경우는 약간 역한 냄새가 납니다. 정확히 어떻게 표현을 해야 될 지는 모르겠는데, 약간 구토한 토사물냄새 같기도 하고, 거기에 구수한 냄새가 좀 섞여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와이프는 술독 뚜껑을 열었더니 토냄새가 난다고 질색을 하네요.
이게 혹시 잡균이 들어가서 부패된 냄새인가요?

마지막으로 색깔은 검정콩이나 검정깨가 조금 들어간 미숫가루 같은 색입니다. 일반 미숫가루를 조금 거무스름하게 해놓은 것 같은 색입니다. 밑에 주인님께서 빚으신 것같은 우유색, 이런건 절대 안 나오네요. T.T

처음으로 직접 만든 누룩으로 술을 담그다 보니 잘 되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酒人

2010.12.15 19:45:58
*.96.206.61

비니님 안녕하세요. ^^

일단, 전체 쌀양과 물의 양, 그리고 누룩양을 정확히 적어 주시면 좀 더 자세한 답변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1. 전체가 부풀어 올랐다면 발효가 너무 늦거나 초기 발효시 온도가 너무 낮아 술 표면에 노화현상(전분이 굳는 현상)이 일어나 떡 처럼 된 것입니다.

2. 이런 경우 온도를 좀 더 높여주거나 누룩의 양이 너무 적어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누룩은 사용할때는 언제나 법제를 거처야 합니다. 법제란 약재를 말리거나 익히거나 찌거나 등의 처리를 하는 것인데요. 누룩의 법제는 햇볕에 완전히 말리고 바람에 의해 냄새를 제거한 후에 사용하는 것 등을 말합니다.

4. 완전한 법제는 아니더라도 완전히 말리고 냄새를 제거해야 술에서 잡내가 나지 않습니다. 잡내란 술에서 나야하는 곡물향, 고소한향, 이산화탄소냄새 등이 아니라 짚내, 역겨운 냄새 등이 나는 것을 말하는것인데요. 대부분 누룩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5. 법제를 하거나 누룩을 너무 곱게(믹서기로)빻아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제조법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b>도토리술 제조법</b> file [1]

  • 酒人
  • 2006-10-29
  • 조회 수 4833

외국인들에게 막걸리와 사케 차이 설명 [3]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 봇뜰
  • 2008-06-28
  • 조회 수 4827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 酒人
  • 2006-12-21
  • 조회 수 4827

류가향 밑술 온도에 질문이 있습니다! [2]

쌀에 호박을 넣어 막걸리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3]

  • 농월
  • 2012-03-22
  • 조회 수 4824

술의신맛잡기 [1]

엿술을 빗었는데 정확한 도수를 모르겠습니다. [6]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 酒人
  • 2005-09-06
  • 조회 수 4812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 酒人
  • 2006-11-06
  • 조회 수 4811

소주내리기에서.. [2]

  • 2008-10-19
  • 조회 수 4806

용수박을 시기 문의 file [3]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석탄주 [2]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 미루
  • 2008-04-11
  • 조회 수 4791

[re] 답변입니다.

  • 酒人
  • 2007-09-23
  • 조회 수 4789

[re]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2]

  • 酒人
  • 2008-11-04
  • 조회 수 4784

양조와 숙취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 창힐
  • 2013-05-24
  • 조회 수 4780

&lt;포도막걸리&gt; 채주해도 될까요 file

술 담그는 방법에 관한 문의..

  • 코헨
  • 2008-10-27
  • 조회 수 4769

<b>도정(搗精) 정도의 차이</b>

  • 酒人
  • 2006-10-15
  • 조회 수 4767

쌀 누룩(이화곡)으로 삼양주를 빚어보려 합니다. [2]

전통주에 있는 효소와 효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1]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 酒人
  • 2006-04-29
  • 조회 수 4750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 酒人
  • 2007-03-14
  • 조회 수 4749

삼양주 만들기 도전....1차덧술 준비...

  • 창힐
  • 2012-06-24
  • 조회 수 4748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 酒人
  • 2006-02-17
  • 조회 수 4746

밑술이 끓어넘쳤습니다 file [1]

  • synop
  • 2015-06-09
  • 조회 수 4742

끓어 넘치기 일보직전... file [3]

고구마술 맛있게 빚고 싶어요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 쿡쿡
  • 2013-04-30
  • 조회 수 4737

내가 만든 누룩의 역가는? [2]

<b>술빚기 응용능력 키우기 1. 쌀 불리기</b>

  • 酒人
  • 2006-11-07
  • 조회 수 4730

밑술할때 30도 소주를 넣으면 [2]

덧술을 해야하나 아니면 버려야 하나 [4]

바보 또 질문 하다~ [2]

  • 두메
  • 2009-02-03
  • 조회 수 4723

하얗게 피어난 것이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2]

술덧저어주기 질문이요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