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석임 제조에 대하여

조회 수 6258 추천 수 16 2009.12.29 09:49:46
>그동안 홈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귀중한 자료를 잘 읽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석임"제조에 대하여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술빚기 Q&A 번호 41에 <re>답변입니다.에 올려져 있는 내용은 읽었습니다.
>그 내용 중에서도 발표하시기가 어려운 점이 있으시다는 점 알고 있습니다만 귀중한 자료를 알려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
>부탁드립니다. >        문경 하늘재에서   김용진 올림


--------------- 서김에 대하여 -------------------------------------

석임(서김)의 제조법은 1600년대 “온주법”과 1800년대 “양주방”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온주법과 양주방의 서김 제조법은 다음과 같다.

<온주법>

[쌀 한되 백세하여 물 두 되에 담갔다가 *** 그 물로 밥 지어 가장 차거든 누룩 조금 넣어 빚어 사나흘 후에 술 빚을 때 덧하라]

<양주방>

[익은 석임 한되만 하려면, 희게 쓴 멥살 닷홉을 물 한 사발에 담가 꽤 불거든 쌀은 건져 놓고 그 물을 소쿠라지게 끓여 그 쌀 위에 퍼부우면, 그 쌀이 데어 익을 것이다. 그러면 그 물까지 도로 담가 두어라. 내일 쯤 쓰려거든 오늘 그 쌀을 꽤 끓여 익거든 누룩 한줌만 섞어 두었다가 쓰면 좋다]



<석임을 넣어 빚는 술>

양주방 “혼돈주”에는 ‘가루누룩 한되와 석임 한되를 한데 넣어라’ 라고 되어 있어 석임이 석임 단일로 사용되기 보다는 누룩과 함께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있다.

양주방 “백단주”에는 ‘가루누룩 되가웃과 밀가루 되가웃과 석임 한되를 섞어 항아리에 넣어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양주방 “백하주”에는 ‘누룩가루 한되와 밀가루 닷홉과 석임 한되를 합하여 버물여 넣어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양주방 “당백화주”에는 ‘누룩가루 되가웃과 밀가루 되가웃과 석임 한되를 섞어 차게 식혀 버물여 넣어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석임 제조법>

위 자료들을 보면 석임이 쌀을 가루내거나 찌는 것이 아닌 ‘밥’ 형식을 하거나 끓는 물로 쌀을 익히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제조’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응용하면 집에 먹다가 남은 밥을 이용하면 쉽게 석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량의 밥을 끓는 물로 익히거나 끓여 식혔다가 누룩 한 홉 정도의 양으로 누룩을 수 십 킬로그램 넣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기본적인 밑술과 다른 점은 밑술은 밑술 자체가 미생물을 증식시켜 덧술을 하기 위해 빚는 술이라면 석임은 ‘밑술 자체를 잘 빚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것이다. 즉, 발효가 잘 이뤄지지 않을 것을 걱정하여 또는 누룩의 양이 많지 않아 소량의 누룩으로 안정적인 발효를 해야할 때 또는 온도가 낮아 발효 속도가 늦춰지는 것을 막기 위함 등 ‘발효 보조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석임 제조법이라 할 수 있다.

위 석임이 들어가는 술들을 살펴보면 누룩은 1되가 들어가지만 석임이 들어감으로써 총 들어간 누룩의 양은 1되 1홉 정도가 되겠지만 그 효과는 누룩 1가마 이상이 들어간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간략하게 요약해 봤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43 달콤한 술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1] 酒人 2006-06-01 3637
842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639
841 석탄주 덧술발효과정에서 혼란스러운 부분 [1] 레오몬 2020-02-12 3641
840 누룩이 잘 못 된 것 같아요.. [2] 행유 2010-07-15 3651
839 백미로만.. 술을 담을 경우 [2] 산에살다 2016-06-01 3651
838 <b>증류주 만들때 꼭 알아야 할 것</b> 酒人 2006-06-08 3653
837 술을 빚을때 과일을 첨가했을경우 [1] 동백나무 2018-12-09 3654
836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656
835 초보가 질문드려요 ㅎ [2] 바커스 2012-05-10 3660
834 술을 처음 빚어봅니다~!! 질문 있습니다. [2] 준우 2019-04-26 3660
833 술빚는 항아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1] 요롱이엄마 2012-11-12 3662
832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663
831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酒人 2006-12-15 3666
830 소주내리기.. [1] 섬누룩 2010-02-22 3667
829 반갑습니다 비퀸 2017-11-24 3670
828 보경가주에 대한 질의 [1] 우리술이좋아 2009-11-09 3673
827 멥쌀주의 맛 행유 2010-09-23 3676
826 <b>여름에는 술을 어떻게 빚나요.??</b> 酒人 2006-07-10 3677
825 송순주 [1] yk 2014-08-02 3679
824 첫 작품이 나올것 같습니다 [3] 까마귀날개 2009-05-15 3683
823 언제 걸러야 할까요? ㅠ.ㅠ file [1] 랄랄 2012-05-04 3699
822 감주에 대한 질문이요~ [1] 도리버섯 2016-05-26 3699
821 아랫 술... file [1] 고망고망 2009-09-02 3706
820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 [1] 살몬 2012-04-11 3713
819 삼양주를 도전해 보는중.... 창힐 2012-06-24 3719
818 두번째 愚問 입니다. [2] 보리콩 2010-06-16 3721
817 문의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3-21 3722
816 발효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술을 빚어보자 2018-07-03 3722
815 동동주를 빚어보고 [2] 광이 2010-06-06 3724
814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728
813 오늘 술빚기에 들어갑니다. 비설 2008-12-12 3734
812 청주만들기2 [2] 우리술이좋아 2010-01-22 3738
811 끓인물과 그렇치 않은 물의 차이가 있나요? [1] 잠자는뮤 2019-04-08 3740
810 <b>독특한 제조법을 가진 술(응용능력키우기)</b> 酒人 2006-12-04 3744
809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747
808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751
807 탁주 만드는데 궁굼한게있어요. [1] 보해미안 2009-11-06 3755
806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756
805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761
804 소주내리기위해 술을빚을때 쓰는 주방이 따로있나요? [1] synop 2019-10-01 376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