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하여..

조회 수 4887 추천 수 18 2009.12.20 18:49:35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한 글을 읽어는 보았으나 ㅠ_ㅠ

12월 19일날 덧술을 하고 현재 26~27도의 장소에 발효를

시키고 있습니다. 지금 담근 이 술을 12월 31일에 맛을 볼 수 있을까요?

충분한 숙성이 된 제대로 된 전통주를 마시고 싶으나

저희 회사 기숙사 망년회 때에 선보이고 싶은 맘이 가득하여...

맑은 술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리면 되겠지만

올해의 마지막날까지 그렇게 되지 않으면 어떡하죠?

그렇다면 술을 속성으로 숙성시키는 방법이 있나요?

속성주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글은 조금 읽어 보았으나...

첨가물 없이 완성된 술을 맛보여 주고 싶은 마음에...

남자들만이 사는 기숙사에 있는 자재는 아무것도 없고...

근무하는 곳이 병원인지라 침대 시트를 잘라 몇번을 빨고

삶아서 보자기를 만들고 냄비도 조그만해서 몇번에 걸쳐 쌀을 찌고

기숙사원들의 함께 먹는 쌀로 담근 술이라 실패하기는

너무나 가슴이 아플것 같습니다. 이미 요구르트 같이 시큼한 막걸리를

만들어 선보였으나 그것마저 맛있다고 해주는 직장 동료들에게

선보이고 싶은 술! 숙성을 촉진시키는 방법이 있을까요?

술을 망치지 않고 말입니다.

아무튼 12월 19일 덧술을 하였고 12월 31일날 자정에 마시고 싶습니다.ㅠ_ㅠ

酒人

2009.12.23 23:35:30
*.66.171.53

답변이 늦었네요.

시간적으로 짧기 때문에 맑은 술은 좀 힘들 것 같아요. 가급적이면 막걸리로 드시는 것이 좋을 것 같고요. 큰 유리병 등에 27일쯤 걸러서 냉장고에 보관 후 31일에 사용하시면 탄산이 있는 막걸리를 드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엿길금이나 효모를 사용하면 발효가 빨리 진행되겠으나 맛은 많이 떨어질 것입니다.

그럼 ~ 행운을 빌어요.~~~^^

김군

2009.12.24 01:37:14
*.157.112.16

답변 감사합니다.
즐거운 성탄 맞이하세요~
왠지 애기를 키우는 듯한 기분입니다.
술이 되어 가는 모습이 막 자라는 듯한
아기를 보는 것 같아서 하루에도 몇번씩
술독을 열어보게 되네요.
총각에 애인도 없지만 그래도 뿌듯합니다.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21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696
720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3698
719 밑술은 효모의 증식이 주 목적이죠? [2] 이미남 2024-01-05 3699
718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703
717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3709
716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우리술이좋아 2010-05-03 3712
715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투덜이 2012-06-06 3715
714 범벅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09-11-23 3716
713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3718
712 호산춘에 대하여.. [1] [1] 민속주 2012-09-16 3722
711 호산춘 밑술 file [2] 창힐 2014-02-25 3722
710 쌀 누룩 질문 [5] 택현 2020-10-19 3730
709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0 3737
708 술이 되어가고있네요 [3] 배병임 2006-10-06 3738
707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739
706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강현윤 2012-12-21 3740
705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3742
704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746
703 급질문입니다.. [1] 2009-01-07 3747
702 [질문 2]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2] 초초보 2014-02-13 3751
701 덧술재료 [1] 마중물 2008-12-10 3755
700 글을 읽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남깁니다 [1] 레오몬 2020-05-03 3758
699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술향 2010-02-10 3759
698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shosho 2019-07-19 3760
697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새로미 2010-06-18 3762
696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섬누룩 2009-11-23 3764
695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바나나우유 2010-08-14 3766
694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맥걸리yo 2023-12-05 3767
693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酒人 2006-10-26 3769
692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이화곡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mekookbrewer 2020-06-28 3772
691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이승욱 2007-01-10 3774
690 2차 덧술할때... [1] 마중물 2008-12-12 3785
689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비바우 2009-12-28 3786
688 누룩에 곰팡이가 피었어요ㅠ [1] 스투찌 2014-03-17 3786
687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3787
686 호산춘...배우고나서 첫 실험 올겨울은 술을 두번 담구고 끝? 세번으로 ㄱㄱ [1] 창힐 2014-02-24 3787
685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김정은 2006-05-18 3788
684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09-11-03 3788
683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3794
682 떡으로 술빚기질문이요 [2] 반애주가 2012-10-25 379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