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약 보름 전에 첫술 만들었는데 뭐가 잘못된 듯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회 수 5148 추천 수 16 2009.09.09 14:07:10
찹쌀고들밥에 누룩을 물에 녹여서 누룩액기스를 만들어 조릿대물 및 찔레효소물 등을 합쳐 막걸리를 만들고 있는데 (누룩 설명서에 보니까 막걸리 만드는 법과 동동주 만드는 법이 설명이 되어있어서 동동주를 만드는 방법으로 택함) 이틀 간 아침저녁으로 한 차례씩 저어주니 이틀 째 밥알이 둥둥 떠올라서 시음을 해보았어요.

맛이 맹맹하면서 약간 시큼하네요. 물의 양이 많아서 그럴까요? 아무래도 동동주 만드는 것이 잘못 된듯해 보입니다. 누룩을 푼 것을 꼭 짜고 걸러낸 물을 찹쌀 고두밥과 섞어 동동주 만들고, 나머지 누룩 덩어리는 나중에 다시 막걸리 만들려고 냉동실에 보관해 두었습니다.

사실 찹쌀분량과 누룩함량을 어떻게 맞추어야 하는 지 잘 모르는 상태에서 인터넷 자료를 보니 누룩(한봉지가 1.1kg) 2봉지를 섞어야 된다고 하여 찹쌀 양도 대략 2kg가량 되길래 누룩 두 봉지(2.2kg)를 물에 풀어서 걸러낸 누룩물과 찹쌀 고두밥을 섞어 항아리에 넣고 동동주를 처음 만들어보았는데 정확하게 계량을 안한  탓인 지 이틀째 지나 시음해 보니 맛이 맹맹하고 약간 시큼한 맛만 나네요. 그래서 누룩물 걸러내고 남겨놓은 누룩덩어리를 전부 추가했는데 어떻게 될 지 모르겠어요.



문의 사항

1. 막걸리 만들 때 찹쌀(또는 맵쌀)과 누룩 함량 비율은 어떻게 되나요?



  가. 쌀의 분량이 누룩보다 많으면 막걸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나. 반대로 누룩의 양이 쌀의 양보다 많으면 막걸리는 어떻게 되나요?



  다. 막걸리를 만드는 과정중에 설탕을 추가하면 알콜도수가 올라간다는데
       지금 맛이 맹맹한 시점에서 설탕을 추가하면 어떻게 될까요?



2. 지금처럼 막걸리(또는 동동주)를 만들었는데 맛이 시큼하면 식초를 만들
   수밖에 없다고 하던데, 이 상태에서 막걸리(또는 동동주)로 태어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있나요?

酒人

2009.09.09 14:36:57
*.106.6.219

1. 술마다 다릅니다. 단양주, 이양주, 삼양주로 빚을 것인지에 따라 누룩 함량비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보통은 곡물양의 10% 넣으시면 됩니다.

2. 쌀의 분량이 누룩보다 많은 것이 정상이겠죠.
쌀에 있는 전분의 양은 한정되어 있는데
누룩이 가진 효소가 지나치게 많으면 맛이 많이 써집니다.

설탕은 알코올 도수를 올리는 개념 보다는 술의 단맛을 높이기 위해서 첨가하는 것이 좋겠죠.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겠죠.?^^)

3. 맛이 시큼하게 하지 않고 술을 빚는 것이 먼전데요. 그래도 그게 마음처럼 되지 않죠. 술 만들기로 하고 식초 만들면 기분도 좋지 않죠.

곡물보다 물의 양이 너무 많을 때 신맛이 강해 집니다. 생성되는 당과 알코올 양이 한정되어 있는데 물의 양이 너무 많으면 상대적으로 알코올 도수가 낮을 수 밖에 없고 그 결과 잡균에 의한 오염, 초산발효 등에 의해 신맛이 강해지게 됩니다.

이 경우 술을 걸러내고 다시 고두밥을 투입하여 술 빚는 방법으로 동동주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도 너무 신 맛이 강하면 수정하기 힘들겠죠. 먹어서 먹을 만 하게 신맛이 난다면 처음 사용했던 곡물양의 반 정도를 다시 투입하면 좋을 듯 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강마에

2009.09.10 09:58:21
*.114.22.124

최근에 담그신 것인가요?
더운 여름철이었다면 초기 오염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초기 pH를 낮추기 위하여 쌀 5kg에 식초를 소주잔으로 한컵정도 넣으면 좋습니다.
초기 pH가 낮으면 식초를 만드는 균보다 술을 만드는 미생물의 생장이 촉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가 원하는 미생물들이 우점균이 됩니다.
앞서 설명하신데로 물이 많이 들어가게 되면 pH가 높아지기 때문에 신맛이 강해진다고 하는 것입니다.
꼭 여름철이 아니더라도 식초를 조금 넣어 pH를 낮춰보세요

이군

2009.09.10 21:55:31
*.114.22.124

답변들이 잘되어 있어서 다른것을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조릿대물 및 찔레효소물을 얼마나 첨가 하셨는지요?
조릿대물과 찔레효소 같은 약재들이 너무 많이 첨가되면 효모의 역활을 방해 할때가 있습니다.
가능하시면 약재들은 발효가 약간 진행된 후에 넣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전통주 love

2009.10.13 16:40:31
*.65.38.36

식초의 냄새 때문에, 식초는 가급적 사용하시지 마세요. 요즘 인터넷 보시면 산 종류 (구연산, 젖산등) 가 많이 팝니다. 이런것을 넣이면 초기 pH 를 빨리 잡을수도 있고 맛이나 냄새의 걱정도 덜 할수 있어서 좋을듯 싶습니다.
구하기 힘들면 식초 사용해야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21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261
720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254
719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오포 2023-04-16 5252
718 호산춘 2차덧술 시기? 돌돌이 2008-06-13 5245
717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241
716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236
715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5231
714 복분자식초 만들기 질문 입니다, [1] 녹야 2008-07-15 5225
713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223
712 [re] 답변입니다. ^^ [5] 酒人 2006-05-11 5209
711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209
710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5201
709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5193
708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191
707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188
706 밑술이 잘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수있는 방법은요? [3] 두메 2009-02-04 5180
705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 </b> [2] 酒人 2006-09-19 5176
704 증류주로 뿌리주를...??? [1] 김진영 2007-12-27 5156
703 용수는 어디서 구하나요? [1] 글렌모렌지 2007-05-20 5156
702 순곡주의 기본 비율이 궁금 합니다 ^^ [2] 적초 2009-05-29 5153
701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149
700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5149
» 약 보름 전에 첫술 만들었는데 뭐가 잘못된 듯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4] 황금붕어 2009-09-09 5148
698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146
697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5139
696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2] 酒人 2006-10-23 5137
695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132
694 알콜농도측정도구 빅툴 2013-03-04 5122
693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121
692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118
691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118
690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오렌지컴 2014-12-02 5115
689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114
688 <b>불패주, 왜 불패주인가.</b> 酒人 2008-10-04 5105
687 덧술하기에 관하여.... [4] 공주 2008-02-13 5105
686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11-03-10 5089
685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5084
684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酒人 2006-07-19 5077
683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076
682 엿술의 단맛은? [2] 농부의 아내 2009-03-17 507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