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또 질문합니다.

조회 수 3405 추천 수 17 2009.08.18 11:09:03
덧술담군지 이제 10일째입니다.
며칠전부터 약간 맑은 술이 위에 뜨더니
오늘 아침에 보니 술은 약 1센티정도 고였는데
맑지 않고 뿌였고 이제 거품은 거의 나지 않습니다.(어쩌다가 한 방울씩)
술덧은 많이 녹아서 묽은 죽처럼 보이구요..
술맛을 봤는데 독한 술맛이 나는데 약간 걸죽한 느낌이 납니다..

궁금한 것은

1. 거품이 나지 않는 상태에서도 계속 발효는 진행되고 있는 것인지요? 즉, 더 놓아둬야 하는지요?

2.술 거르기에서 용수박는 법을 보면 "술덧을 한쪽으로 치운다음 용수를 박고 다시 술덧으로 막아 놓는다"고 하셨는데요..이때 술덧을 옆으로 치우면 아래는 맑은 술이 있게 되나요? 아니면 아래도 그냥 술덧이 있는지요?

고수님들의 지도를 부탁드립니다.

酒人

2009.08.18 15:53:05
*.106.6.219

안녕하세요.^^

거품이 발생하는 이유는 술덧(술독 안에 있는 것들)에 전분의 양이 많아 점도가 높은 상태입니다. 여기에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니 빵 처럼 거품의 크기가 커 보이는 것이지요.

그러다가 발효가 많이 진행되면 이산화탄소 발생양도 줄어들고 전분도 당이 되었기 때문에 술덧 상태가 묽어지게 됩니다.

이때는 이산화탄소가 발생해도 부풀어 오르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기체만 빠져나오는 것이지요. 따라서 거품이 나지 않는다고 해서 발효가 끝난 것이 아니고요. 시간이 지나도 서서히 진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다 미생물들이 살 수 있는 환경이 열악해지면 스스로 활동을 줄여 더 이상 발효는 진행되지 않고 숙성의 단계로 진입하게 되는 것입니다.

1. 일단, 거품이 많이 발생하지 않으며 발효가 많이 진행된 것으로 생각하고 맛을 보고 용수를 넣으며 될 것 같습니다.

2. 술이 위에 고였다면 그 밑에는 모두 술덧입니다. 술덧을 치운다음 넣는 방법은 술이 위에 떠있지 않을 경우 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좀 더 기다리셨다가 술이 좀 더 맑아지면 걸러 냉장고에 보관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고망고망

2009.08.18 20:41:33
*.42.192.176

아 정말 시원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어쨌든 식초로 만들지는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내일쯤 용수를 박아봐야 겠습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2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aladinn 2015-03-06 5323
321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synop 2015-05-17 5327
320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338
319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11-03-10 5339
318 발효후 온도? [1] mssports 2014-12-19 5340
317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맥걸리yo 2023-12-05 5340
316 복분자식초 만들기 질문 입니다, [1] 녹야 2008-07-15 5341
315 호산춘 2차덧술 시기? 돌돌이 2008-06-13 5345
314 [re] 답변입니다. ^^ [5] 酒人 2006-05-11 5350
313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오늘같은내일 2020-10-18 5352
312 저온 발효 질문 [1] 오렌지컴 2014-12-07 5364
311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372
310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380
309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380
308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찬채짱 2008-12-11 5383
307 증식기때 알콜생성? [1] sul4u 2013-07-07 5387
306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389
305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호랭이 2009-09-15 5397
304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5399
303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405
302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5411
301 삼양주 냉장숙성을 야외에서 해도 되나요? [1] 청주조아 2023-11-29 5416
300 효모가 죽은 막걸리의 탄산화는 어떻게 하나요? [1] 청주조아 2023-12-27 5418
299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418
298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424
297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426
296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5434
295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443
294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5449
293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453
292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455
291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460
290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5461
289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감금중 2020-11-26 5463
288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5465
287 발효시킬떄 뚜껑 [2] mekookbrewer 2020-12-02 5465
286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469
285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69
284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470
283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술 사랑 2014-12-05 547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