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첫 작품이 나올것 같습니다

조회 수 3502 추천 수 29 2009.05.15 18:19:42
5일 정도 후면 저의 생애 첫 작품이 탄생할 것 같은데...
솔잎을 이용해서 만들었는데...
기대치 보다는 잘 만들어 진것 같고.. 맛은 좀 덜한것 같은데...
담엔 좀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란데 좀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시집 어른들이 만든 두견주는 오래 묵으면 술이 향은 순해지면서
알콜 도수는 올라가는지 독해지는데..
제가 빚은 술이 2% 부족한 알콜도수인것 같아서요...
후 발효가 될까 싶기도 하고..
좀더 독한 술을 만들고 싶은데... 어케해야 될까요!!!
소주는 말구요...  이 상태에서 좀더 조금만 더 독해졌음 좋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강마에

2009.05.16 13:23:11
*.114.22.124

좋은 술은 오래 두어도 (물론 저온저장일 경우에 확실히 술의 부패가 진행되지 않겠죠...) 깊은 맛을 내는 술이 되지요....

좀 더 독한 술로 만드는 방법이라....

밑술을 새로 만들고 덧술할 때 이전에 만든 2% 부족한 술을 넣으면 흔히 말하는 후발효가 이루어 질겁니다.

2% 부족한 술에 남아있는 잔당을 모두 발효 시킬 수 있겠죠...

지금 말씀드린 방법은 기초적인 미생물 이론에 비추어 말씀드린 것이고요....

전통주 만드는 분들의 또다른 노하우가 있겠죠...?

酒人

2009.05.17 20:05:30
*.66.164.248

전통적인 방법에서 알코올 도수를 높이는 방법은
강마에님께서도 말씀하셨듯 효모의 수를 늘려주는
방법이 있겠죠.

전통적인 방법에서는

술 빚는 횟수를 늘려 미생물의 수를 늘려주는 방법
을 주로 사용하죠.
즉,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이양주에서 술 빚기 횟수를
늘려 미생물의 수를 늘리는 방법입니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1. 밑술을 한다. (죽이나 범벅 + 누룩)
2. 밑술과 같은 방법을 한 번 더 한다.
(밑술 + 죽이나 범벅 등, 누룩은 넣지 않고)
3. 이렇게 미생물의 수를 대폭 늘려 빚는 방법이
술은 안전하고 알코올 도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전통주에 사용하는 누룩의 경우
알코올 도수가 높아도 잔당이 많아 단맛이 강해
알코올 도수가 낮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알코올 도수도 높게 나오지는 않습니다.

그렇다고 여기에 누룩이나 기타 미생물의 수를 늘린다고
해서 알코올 도수가 아주 높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때는 본래 빚던 술의 제조법에서,
물과 곡물의 양을 조절하여 당도를 낮춰 상대적으로
술 맛을 독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래야 단맛이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술 맛이 독해보이는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까마귀날개

2009.05.20 16:18:59
*.143.78.60

두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1 용수는 어디서 구하나요? [1] 글렌모렌지 2007-05-20 5189
280 술 거르는 시기 [1] aladinn 2015-03-26 5193
279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194
278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199
277 약 보름 전에 첫술 만들었는데 뭐가 잘못된 듯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4] 황금붕어 2009-09-09 5201
276 순곡주의 기본 비율이 궁금 합니다 ^^ [2] 적초 2009-05-29 5202
275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오렌지컴 2015-01-05 5205
274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 </b> [2] 酒人 2006-09-19 5214
273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219
272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219
271 밑술이 잘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수있는 방법은요? [3] 두메 2009-02-04 5231
270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253
269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255
268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257
267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261
266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262
265 복분자식초 만들기 질문 입니다, [1] 녹야 2008-07-15 5263
264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265
263 [re] 답변입니다. ^^ [5] 酒人 2006-05-11 5266
262 호산춘 2차덧술 시기? 돌돌이 2008-06-13 5275
261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275
260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280
259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286
258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오렌지컴 2014-12-02 5288
257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290
256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310
255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5312
254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315
253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318
252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찬채짱 2008-12-11 5322
251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호랭이 2009-09-15 5327
250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350
249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352
248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5363
247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369
246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376
245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380
244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382
243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388
242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38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