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엿술의 단맛은?

조회 수 5158 추천 수 25 2009.03.17 02:11:11
엿술에 단맛이 나지 않아요.
독하고 쓴맛이 주종을 이루내요.예전엔 한번 담금으로 달고 맛있는 엿술을 담갔다 하여 시연을 해 보았건만  누룩만으로 그런맛이 나지않는것이 술약 꼭 그것을 넣어야 하는지. 술을 걸럿을때 맛이 좋아야 숙성을 시키면 더 좋아지는것이 아닌가요? 저는 진정한 전통방식으로 술을 빗고 싶습니다.
1차 밑술:쌀 1.6kg, 누룩 1.5 kg, 밀가루 600g ,물3 L 범벅(36시간발효)
2차 밑술: 쌀 1.6KG ,물3 L혼합(36시간발효)
3차덧술 :쌀 2,+ 옥수수 6 =,엿물 25 L (바로 전단계 : 쌀 2KG+옥수수5KG=엿물 23L: 거를때 쓴맛이 강했음)
9일 발효 거르고 숙성 (?) 숙성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밀가루의 역활에 대해서 알아보바로 맛과 색깔의 영향을 준다는것을 알았습니다. 1차와 2차와 3차중에 어떤과정에서 유용하게 필요한지 궁굼합니다.
많은 실패를 거듭하고서 얻어낸 위 과정이지만 할때마다 부족한것이 발견되니  많이 지쳐 갑니다. 현재 위 과정으로 술을 안혀 놓았습니다. 누룩의 조정도 수차례, 엿물의 조정도 수 차례 , 현재 조금 찜찜한것은 누룩의 양? 한1KG에서 다시 한번더 해보아야 하는데 이제는 겁이 납니다. 제가 이술을 왜 꼭 담가야 하는지는 차후에 말슴드리겠습니다. 농부는 제보고 고집불통이래요.

酒人

2009.03.17 17:19:36
*.66.168.3

밀가루는 술의 맛과 색깔 보다는
미생물의 증식과 더 관련이 깊습니다.
많이 넣는 것은 좋지 않고요.
가급적 밑술에 넣는데 누룩의 양 보다 적게
넣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보다는 여름에 잡균의 활동이 많을때
밀가루를 넣어 잡균을 억제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1차에 밀가루는 빼는 것이 좋을듯 하고요.
물이 적게 들어가니 덧술 시간을 늦추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36시간에서 48시간 후에 덧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고요.
2차도 마찬가지 입니다.

3차에서 엿물 25리터를 넣는데요. 엿물의 당도가
낮은 것 같습니다. 따라서 곡물의 양을 늘려
엿물의 당도를 높이던가 아니면 물의 양을 줄여
당도를 높인 상태에서 술을 빚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술을 거르는 것은 술이 맛이 좋을 때 거르는 것이 가장
좋고요. 술 맛이 완전치 않을때 술을 거르면 술 맛이
잘 들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효조 안에서 술 맛이
좋으면 그때 걸러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1차에 누룩을 500g 정도 줄이고 밀가루를 넣지 말고
물의 양을 3리터 정도 늘린 후에 술을 담고 25도에서
36시간 후에 덧술을 하면 좋겠습니다.
2차는 그대로 하고요.
3차는 위에 말씀드린 방법을 응용하시면 좋은 술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좋은 하루 보내세요.~~~^^

농부의 아내

2009.03.18 23:36:59
*.85.203.214

좋은말씀 감사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81 술독에서 술 빚기에 사용하는 단위 [3] 누룩 2009-01-02 12854
280 술 빚기 도구 및 재료 구입처 누룩 2009-01-02 14509
279 질문이요~~ [2] 2008-12-24 4114
278 제대로 되어가는 술맛은 어떻게 변해가나요? [3] 상갑 2008-12-23 5080
277 술이 이상합니다. [3] 비설 2008-12-18 4271
276 단맛보다 신맛이... [1] 마중물 2008-12-17 6339
275 [re] 걱정했는데... 마중물 2008-12-17 3414
274 걱정했는데... [1] 마중물 2008-12-16 3854
273 [re]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4240
272 이제 화살은 시위를 떠났습니다. [2] 비설 2008-12-15 4506
271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3724
270 [re] 답변입니다. ^^ [2] 酒人 2008-12-12 4313
269 2차 덧술할때... [1] 마중물 2008-12-12 3799
268 오늘 술빚기에 들어갑니다. 비설 2008-12-12 3654
267 <b>물이 좋아야 술이 좋다. </b> 酒人 2008-12-11 4466
266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찬채짱 2008-12-11 5349
265 덧술재료 [1] 마중물 2008-12-10 3764
264 소주내리기 [1] 상갑 2008-12-10 4590
263 신맛이 살짝 드는 술. 잘된 술인가? [2] 내사랑 2008-12-07 6270
262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41
261 술 거르는 시기 [2] 내사랑 2008-11-24 6022
260 [re] 술의 보관.. [2] 酒人 2008-11-19 4227
259 술의 보관.. 2008-11-19 3482
258 누룩틀은 어디에서? [1] 도사 2008-11-11 4222
257 [re]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2] 酒人 2008-11-04 4827
256 누룩과 고두밥 또는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내사랑 2008-11-04 4299
255 오래된 침출주 버리기가 아까운데 [1] 상갑 2008-10-31 4269
254 [re] 술 담그는 방법 [1] 酒人 2008-10-27 5142
253 술 담그는 방법에 관한 문의.. 코헨 2008-10-27 4826
252 고구마술 담그기 1(재료준비) file [1] 도사 2008-10-22 5747
251 [re] 고구마술 담그는법 [2] 酒人 2008-10-21 11641
250 단호박술 [1] 돌돌이 2008-10-20 4364
249 소주내리기에서.. [2] 2008-10-19 4841
248 고구마술 담그는법 부탁드립니다. [1] 도사 2008-10-18 4958
247 멋진 답변~~~ 떳다 2008-10-16 3859
246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8-10-15 4095
245 물과 시간에 대한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떳다 2008-10-14 3689
244 감식초 만드는 방법 [4] 酒人 2008-10-13 20176
243 마늘술을 담글수 있을까? [3] 내사랑 2008-10-12 6045
242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8-10-10 439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