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조회 수 3813 추천 수 35 2009.03.14 12:44:09
>자료들을 쭉 읽다보니 이번 술은 실패한것 같습니다.
>2차 덧술 시기를 놓친것 같아요. 밑술담고 30시간이 넘었어요.
>쌀불리는 시간도 안되고 일단 덧술 시기는 놓친것같은데요.
>문제는 밑술할때 물양을 너무 작게 잡았는지 술통을 보니 빽빽한게 끊지를 않아요. 발효냄새는 나는데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처음 술담을땐 덧술이라는것은 아예 몰라서 밑술로만 술을 만들었거든요.
>신맛도 강하고 항아리에 하얀곰팡이? 가 잔뜩 덮어었는데,
>누룩공장에 전화해보니 신맛이 나면 설탕을 섞으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렇게 해서 마셨습니다.
>옳은방법인지 모르겠어요.
>또 신맛이 적게 하려면 물엿을 넣고 끊여 식힌 물로 사용하라고 해서
>이번것은 그렇게 해본거거든요.
>속시원한 답변 듣고 싶습니다.


-----------------------------  답변 -----------------------------------

밑술을 고두밥으로 한 것은
지금 막 태어난 아이에게
생쌀을 먹인 것이랑 같습니다.

효모를 넣어도
효모가 먹을 포도당이 있어야 하는데
당 자체를 만들기 힘들기 때문에
효모도 먹을 거리가 없겠죠...

술이 실패한 것이 아니라
오야붕님의 조급함이
술을 실패의 길로 가게 한 것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아마도 미생물들이 영양분을 섭취 못해 크지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밑술이 미생물을 증식 시키기 위해 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미생물들이 잘 증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술을 빚어야 하지 않을까요.
죽이나 범벅 등 쌀을 가루 내어 술을 빚는 이유는
바로 미생물들이 잘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일반 적으로

술을 끓어 오르는 것은
술을 빚자마자 끓는 소리가 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시기가 지나면 갑자기 끓어 오르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48시간 정도 후에 덧술을 해야 하는 술도
30시간 정도까지는 처음 상태 그대로였다가
어느 시간이 지나면 그때부터 끓어 오르는 소리가 나고
술이 아주 묽어지게 됩니다.

부산누룩의 특징이 알코올 발효력보다 당화력이 좋은
누룩입니다. 또 하나는 술 표면에 흰 곰팡이가 피는데요
이를 제거하면 그 안에서는 활발하게 발효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밑술을 하고 덧술을 하면 다음 부터는 술 표면에
흰 곰팡이가 피는 일은 없을 거에요.
술에 설탕을 넣든, 물엿을 넣든 그것은 술 빚는 사람 마음이니
제가 이래라 저래라 할 사항은 아닌 것 같고요.^^

술 표면에 뻑뻑한 것을 주걱 등으로 떠 내 보시면
안에서는 아주 묽어져 있을 것입니다. 소리도 잘 들릴 것이고요.
그렇지 않다면 술 제조법을 올려 주시면
좀 더 상세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맛이 좋은 술은 기다림에서 나옵니다.
그져 그랬던 술이
오랜 시간이 지나 명주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야붕님께서도 너무 성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술이 어떻게 되어 가는지 끝까지 한 번 지켜 보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기다림, 명주 탄생은 기다림에서 나옵니다.  "술독" www.suldoc.com


오야봉

2009.03.14 21:55:40
*.206.18.211

네..저의 무지함과 조급함이 있었군요.
실패할거 각오하고 시작한 것이니 그리 속상할것은 없지만
재료가 좀 아깝다는 생각에...
좀더 지켜봐야겠어요.
다음번엔 꼭 죽이나 범벅으로 제대로 해봐야겠습니다.
선생님들께 제대로 보고 배워하 하는것을 들어 주은것으로 하려니 여간 힘들지 않네요. 교육과정을 보려고 하는데 아직 권한이 없는지 볼수가 없네요.
어떻게 하면 배울수있는지 궁금합니다.

酒人

2009.03.16 12:38:51
*.66.168.3

아직 교육 프로그램을 올려 놓지
못했습니다.
법인 허가 후
교육 과정 등을 새롭게 올리려고 합니다.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01 <b>전통주 상급강의 2. 알코올의 끓는 점의 변화</b> [1] 酒人 2006-08-02 4047
600 너무 길어요 [1] mumu 2013-05-03 4047
599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057
598 누룩 만드는데.... [1] 까마귀날개 2009-04-13 4063
597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4069
596 내부비전국에 대해서.... [3] 음식디미방 2007-05-09 4073
595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8-10-15 4074
594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2] 酒人 2008-07-27 4082
593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085
592 죽이 따뜻할때 누룩을 넣으면.... [2] 보리콩 2013-12-28 4086
591 삼백주에 대하여... 酒人 2006-10-12 4088
590 전통주중에 누룩을 끓여서 담그는 종류는 없을까요? [5] 섬소년 2009-06-11 4091
589 술에 단맛을 더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2] 두메 2010-12-13 4092
588 질문이요~~ [2] 2008-12-24 4096
587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097
586 전통주 중급강의 3. 봄철 밑술과 보쌈 [2] 酒人 2006-05-23 4100
585 똑똑 똑 [2] mumu 2013-04-26 4100
584 밑술에 거품이 많이 올라 와 있네요. 망한건가요? ㅠㅠ [2] 할렘 2020-06-04 4104
583 우왕좌왕 합니다,,, 막걸리와파전 2009-02-07 4107
582 오양주를 빚고있는데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서.. [2] 술빚는요리사 2020-06-09 4115
581 애주 [1] 이선화 2006-08-04 4116
580 발효 온도 [1] 상자 2018-11-18 4123
579 첫번째시도--덧술을 확인하였는데요... [7] 고망고망 2009-08-09 4131
578 호박막걸리 질문입니다.~~ [3] 오야봉 2009-07-07 4132
577 전통주 만들기에서.. 2008-08-16 4147
576 술이 걸쭉하게 된거같아요... [1] 공대생 2014-10-15 4150
575 흑미 육양주 발효 질문있습니다. file [4] 술빚는요리사 2020-05-26 4155
574 부탁드립니다. [1] 반애주가 2013-08-26 4165
573 삼양주 발효 상태와 채주 시기 문의드립니다. file [3] 와이즈먼 2023-11-20 4167
572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168
571 궁금해서 여쭙니다. [3] 오야봉 2009-03-13 4170
570 거른술을 항아리에 보관할때 [2] 보리콩 2014-02-07 4180
569 술의 신맛잡기2 [1] 우리술이좋아 2010-10-18 4187
568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191
567 호산춘 덧술시기 [1] 예그린 2013-10-01 4194
566 이런 노란게 생겼는데 곰팡이 일까요? file [1] 끼옹이 2023-02-01 4195
565 누룩틀은 어디에서? [1] 도사 2008-11-11 4198
564 저온 발효에관하여 여쭤 봅니다. 오작교 2022-10-29 4201
563 식초와 막걸리 걸음후 관리에 대해서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4-15 4205
562 현미찹쌀로도 술을 빚을 수있나요? [2] 새로미 2010-01-24 42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