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시작하기 전에 준비물이요.

조회 수 4375 추천 수 26 2009.01.28 20:47:47
이 곳에 많은 자료들이 올라와 있지만

제가 눈이 금방 피로해지는 관계로 오랜동안 모니터를 보고 있기가 힘들어서

지난 주 전주에 다녀온 김에 전통주 박물관에서 책을 사왔습니다.

가격의 엄청난 압박이 있지만 자세한 설명과 사진이 수록되어있어서

자료로서의 투자라고 생각하고 구입을 했죠.

일단 항아리는 새 항아리를 사야할테고..

제가 잠시 부모님 집에 다녀가는거라서 이것저것 잡다하게 필요한게 많은데요.

아무래도 집에서 누룩을 만들기는..;; 좀 힘들것같구요.

쌀은 이번년에 나온 쌀이 있으니 되었고,

누룩은 사야하고 항아리도 사야하고 (독이 있긴하지만 간장을 담은 내력이 있어서요.)

용수도 사야하고 ..이것만 있으면 될까요?

그리고 누룩은 어떻게 얼만큼 사야하는지 아무것도 모르는 생짜인 저로서는

영~감이 안잡히네요.

글구 그..되, 홉..이런거 사각형 박스 있잖아요, 쌀같은거 재는거요.

그런 단위를 요즘 사람들 많이 쓰는 계량형으로 딱 정해놓으면 좋은데

나이도 어리고, 감도 없는 저로서는 좀 막막하네요.

항아리도 주문하려면 어떤 크기로 사야하는지도 모르겠구요.

이렇게 막무가내로 질문드리면 답답하시죠..?^^;;

그런 저는 오죽하겠습니까..;;ㅋㅋ

일단 처음이니 단양주로 만들려고 하는데요..

단양주는 대체로 단맛이 강하고 알콜이 낮은게 맞죠?

두서없는 글에 답변해주실 분들께 미리 감사드립니다^^

酒人

2009.01.29 00:37:50
*.66.164.248

안녕하세요.^^

1되(1리터) -> 1홉(100ml)

이것처럼 되를 리터로 표기하면 쉬습니다.

누룩도 누룩 1되 -> 누룩 1리터 ^^

집에 보면 계량컵 있죠. 그것으로 사용하면 되고요.
1리터 정도 되는 용기가 있으면 쌀이나 물을 사용할때
편리합니다.

물 1되는 1.8리터지만 손 쉽게 물 1되는 1리터로 생각하여
술을 빚으면 됩니다. 즉, 쌀의 부피를 잰 용기로 물의 부피도 같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용수

용수는 천천히 구입하시고요. 주의분들이 큰 시장에 가시면 하나 사다 달라고 하세요. ^^ 5000원 정도 할거고요.

발효조

발효조는 꼭 항아리가 아니더라도 큰 유리병이나 스테인리트 통 등을 이용해도 되요. 그리고 처음 술을 빚는 분들은 유리병 등을 이용하면 술의 진행 과정을 눈으로 볼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될거에요. 가격도 항아리나 스테인리스보다 저렴합니다.

항아리

그래도 항아리를 사용하시겠다 한다면 밑술용 8-12리터, 덧술용 20-29리터 정도의 부피면 되겠습니다. 보통 십개단지, 팔개단지 하는데 좀 어렵죠. ^^ 요즘은 인터넷 사이트에 부피가 잘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누룩

누룩은 처음에 많이 구입하면 좋지 않고요. 5kg 정도 구입해서 사용하면 좋을 듯 합니다.


술을 처음 빚는 분들을 위한 공간이 많이 부족한 것 같네요. 사이트를 보완해서 걱정이 없는 사이트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술똑다컴

2009.01.29 16:00:38
*.156.72.201

주인님.

만일 누룩 대신에 빵을 넣을 때 쓰는 이스트를 쓰게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예를들어서..

누룩을 만드는게, 통밀을 발효시켜서 만드는거라면

정제되어있는 제빵용이스트라던가..아니면 맥주를 담글 때 쓰는 이스트라던가 이런걸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지 않을까요?

물론 저야 어떤 과정을 거쳐야하는지 잘 모르지만 말이죠..^^;;

가령~

쌀을 익히고(아마도 죽 형태로 익히면 물기가 많으니 정제 드라이 이스트를 사용하기가 더 좋을 것 같으니)

35~6도 정도로 식어지면 드라이이스트와 물을 약간 넣고

이런식으로 발효를 식힌다면 뭔가 일이 될 것 같긴 한데 말이죠...헤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561 소주 주정 만들기 [1] 포수 2013-06-11 7882
560 막걸리 제조와 판매 둘레길 2013-06-05 6489
559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백수환동 2013-06-01 4707
558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516
557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창힐 2013-05-24 4820
556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332
555 덧술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5-13 6284
554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102
553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445
552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597
551 온도가 높아도 막걸리가 빚어지나요? [1] 랜스 2013-05-03 4874
550 너무 길어요 [1] mumu 2013-05-03 4054
549 막걸리와 동동주의 차이 [1] 나술퍼맨 2013-05-02 10245
548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쿡쿡 2013-04-30 4763
547 누룩만들기 [1] 반애주가 2013-04-29 5076
546 똑똑 똑 [2] mumu 2013-04-26 4110
545 첫 작품 호산춘 때문에 ....... ^^ [1] 장락 2013-04-25 4244
544 왜 그런가요? [2] mumu 2013-04-22 3877
543 전통주에 있는 효소와 효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1] 민속주 2013-04-11 4806
542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AppleTree 2013-04-06 7577
541 호산춘 도전중 .. [2] 장락 2013-03-10 4311
540 누룩투입시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3-08 4006
539 쌀과 누룩 질문 [1] 식초나라 2013-03-06 3614
538 알콜농도측정도구 빅툴 2013-03-04 5197
537 저온발효/저온숙성 [2] 아리랑 2013-02-20 10689
536 숙성시기 [3] [1] 하제 2013-02-12 4687
535 발효통 크기 정하는법 [1] 반애주가 2013-02-04 4260
534 감향주3 만들기에 도전했습니다...주인님의 시간좀 뺏을게요.. [3] 바보 2013-02-02 3941
533 산막일까요? file [3] [1] 제천인어공주 2013-01-11 5011
532 불패주 거르는 시기 file 느루 2012-12-29 4752
531 밑에 자료요청한사람입니다 [2] [1] 엄대장 2012-12-26 3369
530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강현윤 2012-12-21 3743
529 자료 요청합니다. [1] [3] 엄대장 2012-12-17 3185
528 맑은술이 뜨지 않습니다..... [1] [8] 우기 2012-12-16 4921
527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510
526 예쁘게 끓는술 3탄 file [1] [2] 제천인어공주 2012-12-10 4466
525 예쁘게 끓는술 못본 동영상 file [1] [5] 제천인어공주 2012-12-01 3450
524 예쁘게 끓는술 2탄 file [1] [3] 제천인어공주 2012-12-01 4928
523 삼양주 물의 양에 대한 질문입니다 [2] [7] 요롱이엄마 2012-11-16 4879
522 학교에서 알코올도수 측정법을 배웠는데요 ..... [2] [2] 바이브가부릅니다술이야 2012-11-14 605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