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물이 좋아야 술이 좋다. </b>

조회 수 4496 추천 수 16 2008.12.11 15:32:02
1766년 증보산림경제에는 “물 맛이 좋지 않으면 술 맛도 좋지 않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달리 말하면 “물 맛이 좋아야 술 맛도 좋다.”라는 이야기 입니다. 옛날부터 우리나라는 금수강산이라 하여 자연 환경이 깨끗하였습니다. 자연히 물 또한 맑고 깨끗했을 것이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는 것입니다.

좋은 물로 빚은 술 또한 맛 좋은 술이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 여기서 좋은 물이라는 기준은 술 빚기를 했을 때의 경우를 말합니다.)

우리가 일반 가정에서 빚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돗물을 이용합니다. 물론, 수도권에서 벗어나 오염이 덜 된 좋은 물로 술을 빚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 이야기 하려는 부분은 바로 우리가 술을 빚기 위해 사용하는 물에 대한 것입니다.

물에는 갖가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칼슘, 칼륨, 인, 마그네슘, 망간, 염소 등 등의 많은 성분들이 물 속에 들어 있는데요. 이 것 중에서는 술을 빚는데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도 있고 그 반대의 성질을 가진 것도 존재합니다. 마그네슘이나 칼륨과 같이 미생물의 생육에 있어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도 있고 철, 망간, 동과 같이 술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도 있습니다.

좋은 물과 좋지 않은 물

물을 끓여서 술을 빚기 때문에 수돗물을 사용하나 좋은 샘물을 사용하나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줄로 압니다. 물을 끓이게 되면 물 속에 있는 성분들이 다 날아가고 순수한 물만 남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물을 끓인다고 물이 순수해 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잘 못된 생각입니다. 물을 끓인다고 해서 물 속에 있는 철이나 망간, 마그네슘과 칼슘, 칼륨 등의 물질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즉, 우리가 물을 끓여 사용하는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물 속의 미생물을 사멸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또한, 물 속에 녹아있는 유기물에 의한 나쁜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도 합니다.

물을 끓여도 그 근본은 바뀌지 않는다.

짐작하셨겠죠. 그렇습니다. 물의 근본이 좋지 않으면 물을 끓여도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처음에 물 속에 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철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술의 발효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술을 빚을 때 우리는 물을 이용해 쌀을 씻고(세미), 물에 담가(침미) 놓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철과 같은 술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물질들이 쌀에 자연스럽게 흡착하게 되어 발효에 이상을 가져 올 수 있는 것입니다.

물을 끓이는 근본적인 이유는 미생물의 없애는데 있다.

우리나라는 물이 좋았음에도 술을 빚을 때 반드시 끓여 식힌 물을 이용한 것은 선조들의 지혜입니다. ‘물이 좋으면 그냥 사용하면 되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물을 끓임으로써 물의 잡 냄새와 함께 물 속의 알 수 없는 미생물을 없게 하는 목적이 있었던 것입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물을 끓인다고 술 빚기에 좋은 영향을 주는 성분들은 물을 끓여도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매번 술이 실패한다면 물을 의심해 보는 것도 방법이다.

술을 빚었는데 술이 탁하고 발효가 잘 일어나지 않을 때는 자신이 사용하는 물을 의심해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물론, 좋은 물을 사용하면 반드시 좋은 술이 된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곡물의 양이나 사용하는 발효제, 술을 빚는 과정에서 술의 맛이 결정되기 때문이죠. 그러나 물은 우리가 술을 빚는 세가지(곡물, 누룩, 물)중의 하나입니다. 곡물이 좋고, 누룩이 좋고, 물도 좋고, 술을 빚는 사람의 경험과 잘 어울려 진다면 분명 좋은 술이 만들어 질 것입니다.

대부분의 좋은 영향을 주는 성분들은 쌀 속에 이미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은 가능하면 순수한 것이 좋겠죠.  



마치면서…

'좋다' 라는 표현이 참 많이 들어갔네요. ^^ 좋은 사람이 있는 곳에 좋은 술이 있고, 좋은 물이 있는 곳 또한 좋은 술이 있습니다. 한국은 예로부터 물 맑기가 세계 최고였죠. 술의 맛 또한 최고였을 것입니다. 바로 그 술, 우리가 다시 되살려야 하지 않을까요.



술독에 가보니 물 좋더라... ^^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2 감향주3 만들기에 도전했습니다...주인님의 시간좀 뺏을게요.. [3] 바보 2013-02-02 4015
281 <b>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b> 酒人 2006-12-12 4012
280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4011
279 술독 입구 봉하는거요,, [2] 산우 2007-04-27 4011
278 초보 질문입니다. [1] 김경희 2007-01-15 4005
277 호산춘 밑술 file [2] 창힐 2014-02-25 4001
276 솔잎으로 누룩을 만들어도 되나요? [1] 새로미 2010-03-01 3997
275 실패한것 같습니다. 오야봉 2009-03-14 3993
274 멥쌀술 질문이요 [1] [1] 반애주가 2012-08-13 3988
273 질문을 자주해서 죄송 [3] 우리술이좋아 2009-11-10 3976
272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3971
271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3968
270 맑은술 [1] 이반 2018-12-24 3966
269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966
268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3961
267 왜 그런가요? [2] mumu 2013-04-22 3961
266 [re]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민속주 2012-07-15 3952
265 떡으로 술빚기질문이요 [2] 반애주가 2012-10-25 3948
264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3943
263 단호박술 거르는 시기 궁금합니닷. file [2] 바다뜰 2019-11-11 3942
262 [re]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3] 윤승구 2006-07-15 3942
261 누룩 속에 알코올이 있나요?? 酒人 2006-07-13 3938
260 예쁘게 끓는 술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11-10 3929
259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923
258 빚은 삼양주를 먹으면 두통이 생기는데 ㅜㅡ [2] jiyoon88 2020-05-24 3910
257 삼양주 만들어보기 루시 2020-07-01 3905
256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치어스 2018-04-30 3904
255 문의드립니다 file [2] 瑞香 2016-02-13 3902
254 진상주를보면서......... [2] 배병임 2006-09-27 3899
253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酒人 2006-08-21 3899
252 걱정했는데... [1] 마중물 2008-12-16 3898
251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3896
250 해외에서 전통주빚기! [1] 스투찌 2014-10-29 3888
249 멋진 답변~~~ 떳다 2008-10-16 3888
248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85
247 산패한 술을 밑술 삼아 제조 중입니다. [1] 덕인주 2014-07-29 3882
246 현재 삼양주하려고 밑술 만들었는데요 좀 이상해요 [2] 수오기 2014-09-26 3881
245 호산춘에 대하여.. [1] [1] 민속주 2012-09-16 3876
244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3876
243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9-03-14 38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