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조회 수 4840 추천 수 32 2008.11.04 23:52:18
>술을 빚다보면 단양주에서는 누룩과 물 그리고 고두밥을 버무려 혼화시켜야 하며, 이양주에서는 밑술과 고두밥을 혼화시키기 위해 버무리게 됩니다. 또 밑술에서도 누룩과 범벅을 잘 버무려 혼화시켜야만 당화가 잘 이루어져 발효가 용이하게 될 것입니다.
>
>이때 누룩과 고두밥 또는 밑술과 고두밥을 버무리는 방법이 늘 의문으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
>저는 누룩과 고두밥을 손에 쥐었다 폈다하면서 잘 섞이도록 주무르고 있는데 어디 강의를 들었더니 밥알이 깨지지 않도록 손바닥을 펴서 위에서 밑으로 수직방향으로 계속 눌러주면서 고루 치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상당히 힘들게 작업을 하는 것 같은데 그 쪽 이야기는 그래야 당화가 잘이루어져 술맛이 좋다고 합니다.
>
>내가 하는 방법이 이 보다 좀 쉽게 밥알과 누룩이 서로 잘 섞이도록 두손으로 주무르는 방법으로 하루만 지나도 상당히 당화가 이루어 져 있던데 무엇이 올바른 방법인지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또 이것과 다른 방법이 있는지 그래 술맛이 좋은 혼화방법이 따로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주인님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

결과적으로 말하면, 내사랑님 방법이 더 좋습니다.  

밥알을 으깨지 말아야 발효가 더 잘 이뤄진다.?  아직도 이런 논리를 펴는 사람들이 있나요. ^^  그럼 죽 보다 밥이 발효가 더 잘 된다는 것인데요. 이 문제는 아마 초등학생도 맞출 수 있을 것입니다. 일부러 으깰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으깨지 말아야 할 것도 없습니다. 오히려 두 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면 충분히 혼합해서 으깨지는 경우가 더 발효에 좋을 것입니다. 내사랑님이 한 방법처럼요.


밥알을 으깨지 말라고 하는 이유 중에는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첫째, 밥알을 으깨면 맑은 술을 얻기 힘들다.? 밥알이 으깨지면서 술이 탁해져 최종적으로 술이 돼도 맑은 술이 되기 힘들다는 논리입니다. 그럼 백설기로 빚는 술들은 맑은 술을 얻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다는 것인가요.

둘째, 밥알을 수직으로 눌러야 밥알이 으깨지지 않는다.? 술 빚는데 뭐가 이렇게 복잡한지 모르겠네요. 수직으로 눌러야 밥알이 덜 깨지고 그래야 발효가 더 잘 된다는 논리인데요. 그럼 긴 주걱을 이용해 밥알 깨지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요.


내사랑님 말씀처럼 밥알을 으깼을 경우 발효가 더 잘 진행됩니다. 술을 빚는 모든 과정은 미생물의 활동에 맞춰야 하는 것입니다. 미생물이 밥을 잘 먹게 하는 것이 곧 술이 잘 되는 길입니다.

술의 맑기는 밥알의 으깸 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똑 같은 청주를 만들어도  “당”도가 높은 것이 탁하고, “당”도가 낮은 것이 더 맑습니다. 즉, 당화가 잘 되어서 당도가 높은 것이 더 탁하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보면, 쌀알의 으깸 정도가 술의 맑기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쌀알을 으깨어 당화가 많이 진행되어 탁한 것입니다. 이것도 시간이 지나게 되면 맑아집니다.

술의 맑음이 우선이냐 발효가 우선이냐. 당연히 발효가 우선이죠. 발효를 잘 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혼합 과정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밥알이 으깨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특히, 많이 으깨어 질수록 발효가 더 잘 일어나게 되어 있습니다. 큰 조직이 으깨져서 미생물이 먹기 쉬우니까요. 따라서, 수직으로 눌러라. 으깨지 말아라. 이런 말은 술을 빚은 사람들이 할 이야기가 아닙니다.

바다에 데려가서 붕어 잡는 방법을 가르치는 격입니다.

생각해 보세요. 모든 술을 빚는 과정은 발효가 잘 되는 방법을 택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어떤 술이건 어떤 재료건 어떤 환경이건 상관 없이 어떻게 하면 지금 현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술 빚기를 할 수 있을 것인지 이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고기의 특성만 안다면 그게 바다이건 강이건 상관 없이 어떤 고기라도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발효의 기본 원리만 안다면 어떤 환경에서도 술을 빚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한 가지 방법만을 가르치는 곳은 그 방법밖에 모르기 때문일 것입니다.


혼합방법...

언제나 회원님들께 하는 말이 있습니다. 그냥 드라마 한 편 보면서 혼합하다 보면 드라마가 끝날 것입니다. 그럼 발효조에 담으세요. ^^


마친면서...

술 빚기 과정이 많아질수록 혼합하는 시간이 짤아져도 됩니다. 그 이유는 간단하죠. 술 빚는 과정이 많아지면서 미생물의 증식이 최대화 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면 충분히 혼합해 주지 않아도 미생물의 수가 많기 때문에 밥알을 넣어 줘도 충분히 발효시킬 만한 힘이 있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는 발효조에 고두밥 넣고 그냥 앞에 빚은 술을 부어만 줘도 발효가 잘 일어납니다.

즉, 밥알을 으깨지 말라고 가르치는 것 보다는 미생물의 수를 늘리는 방법만 안다면 혼합 없이도 좋은 술을 빚을 수 있겠죠. 다만 이렇게 술을 빚으면 아쉬운게 있어요. 드라마를 볼 필요가 없다는 아쉬움이...^^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부분 부분 보다는 그 원리를 알면 전체가 보이게 됩니다.

내사랑

2008.11.06 16:54:25
*.109.233.23

좋은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복드림

2008.11.18 11:12:50
*.73.63.102

주인님의 글을 읽고 있으면 똑부러지게 시원한 느낌이 듭니다. 멀리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음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1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944
680 글을 읽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남깁니다 [1] 레오몬 2020-05-03 3944
679 쌀 누룩 질문 [5] 택현 2020-10-19 3944
678 멥쌀술 질문이요 [1] [1] 반애주가 2012-08-13 3946
677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3951
676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3951
675 질문을 자주해서 죄송 [3] 우리술이좋아 2009-11-10 3954
674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이화곡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mekookbrewer 2020-06-28 3955
673 실패한것 같습니다. 오야봉 2009-03-14 3957
672 솔잎으로 누룩을 만들어도 되나요? [1] 새로미 2010-03-01 3966
671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shosho 2019-07-19 3968
670 누룩에 곰팡이가 피었어요ㅠ [1] 스투찌 2014-03-17 3975
669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3979
668 [질문 2]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2] 초초보 2014-02-13 3984
667 감향주3 만들기에 도전했습니다...주인님의 시간좀 뺏을게요.. [3] 바보 2013-02-02 3985
666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3986
665 초보 질문입니다. [1] 김경희 2007-01-15 3988
664 전통주 기초강의 1. 술이란 酒人 2006-03-17 3990
663 호산춘...배우고나서 첫 실험 올겨울은 술을 두번 담구고 끝? 세번으로 ㄱㄱ [1] 창힐 2014-02-24 3990
662 맑은 술 증류 후 [3] 방구석신선 2023-02-06 3992
661 <b>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b> 酒人 2006-12-12 3998
660 술독 입구 봉하는거요,, [2] 산우 2007-04-27 3999
659 연잎주 질문? [3] 오렌지컴 2014-10-03 4004
658 삼양주 1차 덧술 후 신맛 [2] 꺄초쇌두 2024-03-06 4005
657 정신없이 글을 쓰다보니... [2] 酒人 2006-03-03 4019
656 전통주 청주와 탁주 사용법 [2] mekookbrewer 2020-09-12 4023
655 초일주 또 질문입니다...^^;; [2] 투덜이 2012-06-11 4030
654 재료의 양에 따라 발효기간이 차이가 있는지요? [5] 보리콩 2010-06-13 4031
653 이양주를 해보는 중입니다 궁금한것이 있어서요 [2] 수오기 2014-09-26 4032
652 보쌈이 무엇인가요 [1] 무등산 2018-04-12 4036
651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오씨 2018-12-01 4040
650 [re] 답변입니다. [5] 酒人 2006-08-02 4044
649 증류에 관해 질문요 [1] [1] 바커스 2012-05-12 4045
648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050
647 누룩투입시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3-08 4050
646 책에 나와있는 "류가향" 은 어떤 술인가요? [2] 허주영 2014-08-10 4054
645 현미 쌀 타피오카 절감 등의 전분가 file 酒人 2006-04-27 4058
644 막 초보입니다. 덧술이후 술 거를 시기에 대하여 문의합니다. file [2] 막걸남 2010-09-19 4059
643 쌀 종류에 따른 술맛이 궁금합니다. [2] 오렌지컴 2014-09-23 4063
642 주안님에 맛이 독한 술 처리법을 읽어보고... [2] 오렌지컴 2014-09-13 40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