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

조회 수 4190 추천 수 11 2008.10.15 00:18:11
>
>- 된장 고추장등 장 담그기는 중요한 연례행사로 날을 잡아서 만들잖아요..
>그럼 술담글때도 초하루..보름...요런식으로 좋은 날짜와 자시경.축시경..등좋은
>시간이 따로 있을 까요??
>
>-항아리단지와누룩은 준비가 되어있고 이번주말에 관악산에 올라가서
>약수물을 떠오려고 하는데요...
>물....어떤물이 좋을까요1
>1.약간 차가운 정수기물
>2.자연상태그대로의 약수물
>3.아리수
>4.숯을넣어둔제주 삼다수
>


떳다님 안녕하세요.^^  재미난 질문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우리 선조들이 정해 놓은 길을을 말씀 드리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매월 초하루는 술 빚는 길일입니다.

1715년 산림경제에 나오는 술 빚는 길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력
1월 : 정묘, 을유, 갑진, 정미, 병진, 기미일
2월 : 기사, 정사일
3월 : 기사, 병자, 경자, 을사일
4월 : 을축, 정묘, 정축, 신묘, 을묘일
5월 : 병인, 갑신, 경신일
6월 : 임신, 무인, 기묘, 정유, 기유일
7월 : 경오, 무자, 무술, 경술일
8월 : 기사, 정해, 계사, 기해일
9월 : 신사, 무자, 병신, 무신, 신해, 경신일
10월 : 정묘, 갑술, 기묘, 계사, 갑오, 경자, 기미일
11월 : 기축, 무인, 갑신, 을미, 임인, 무신, 갑인일
12월 : 정묘, 임신, 기묘, 갑신, 경자, 임인, 을묘, 경신일



술을 놓는 위치에 따라

봄에는 동쪽, 여름에는 남쪽, 가을에는 서쪽, 겨울에는 북쪽에서 술을 빚는 것이 좋다.


문헌에는 술 빚기를 금기하는 일도 있습니다.

무자, 갑진 일은 좋지 않고, 정유일도 술을 빚지 않는데 그 이유는 술의 시조 두강이 죽은 날이기 때문입니다.


물은 ~~

2 > 4> 1.3     자연 그대로의 맛 좋은 약수물로 술을 빚는 것이
가장 맛이 좋습니다. 그렇지만 아무리 좋은 물이라도
반드시 끓여 식힌 물을 이용해야 술을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물 속에 들어있는 많은 성분과 균들때문인데요.
이러한 것들이 우리가 필요로 하는 미생물의 증식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을 끓여 잡균들을 사멸시키고 불 필요한 성분들을 증발시켜 버리기
때문입니다. ^^

관악산에 좋은 약수물을(힘드시겠어요^^) 떠오셔서
끓여 식혀 사용하신다면 가장 좋을 듯 합니다.


참고> 물 맛이 아무리 좋아도, 누룩이 아무리 좋아도 술의 맛을 내는 것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술력입니다. 원료가 아무리
좋아도 그 사람이 술의 원리를 잘 모른다면 좋은 술을 만들 수 없겠죠.^^



좋은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이양주빚을때... [2]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단양주 신맛 [1]

쑥술만들기 [1]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발효시킬떄 뚜껑 [2]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 charlie
  • 2022-01-14
  • 조회 수 5700

증류주 보관법... [1]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향온주 빚을때... file [2]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 酒人
  • 2008-09-18
  • 조회 수 5744

술 거르는 시기 [1]

  • aladinn
  • 2015-03-26
  • 조회 수 5748

안녕하세요 백국균 밀입국을 만들어 주모를 띄우는데 물표면에 두껍게 층이생깁니다. [3]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 酒人
  • 2006-09-15
  • 조회 수 5769

밑술은 효모의 증식이 주 목적이죠? [2]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 루악
  • 2015-07-22
  • 조회 수 5795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 서련
  • 2018-09-29
  • 조회 수 5808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이양주 밑술 상태 [1]

  • Emiju
  • 2021-01-10
  • 조회 수 5818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청주 제조원가 계산서...

  • 고래
  • 2013-06-27
  • 조회 수 5843

고구마술 담그기 1(재료준비) file [1]

  • 도사
  • 2008-10-22
  • 조회 수 5846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씨앗술 만들기. [2]

  • 창힐
  • 2012-08-14
  • 조회 수 5850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삼지구엽주 ?

  • 녹야
  • 2008-08-08
  • 조회 수 5896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XE Login